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kyrgyz
»
2_wordclass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추적: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doc:kyrgyz:2_wordclass:31_pro:31_pro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키르기즈어에서 다음과 같은 대명사가 있다. - 인칭대명사 - 소유대명사 - 지시대명사 - 의문대명사 - 부정(negation)대명사 - 부정(indefinite)대명사 - 재귀대명사 #### 인칭대명사 - 인칭대명사는 명사처럼 격에 따라 변화된다. 문장에서 주어, 술어, 보어, 한정어 기능을 나타낸다. - 속격 인칭대명사가 수식하는 명사에 재쉬소유표지 사용이 필수적이다. menim ata[m] ‘나의 아버지’, bizdin ølko[byz] ‘우리 나라’, anɨn kiteb[i] ‘그의 책’, silerdin mugalim[iŋer] ‘너희들의 선생님’. ^ 격 ^ 단수 ||^ 복수 ||| |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NOM | men | sen | al | biz | siler | alar | | GEN | menin | senin | anɨn | bizdin | silerdin | alardin | | DAT | maga | saga | aga | bizge | silerge | alarda | | ACC | meni | seni | anɨ | bizdi | silerdi | alardɨ | | LOC | mende | sende | anda | bizde | silerde | alarda | | ABL | menden | senden | andan | bizden | silerden | alardan | {{{eg>kirg1245 (talapova2018:000) Senin ʤaš-ɨŋ kanča-da? you.GEN age-REFL how_many-Q ‘너의 나이는 어떻게 되니?’ }}} {{{eg>kirg1245 (talapova2018:000) Siler-de kandaj sunuš bar? you-LOC what proposal be-Q ‘너희들에게 어떤 제의가 있습니까?’ }}} #### 소유대명사 - 키르기즈어에서 인칭대명사 이외 소유대명사(taandyk atooch)도 있다. - 인칭대명사(menin ‘나의’, senin ‘너의’)는 명사구를 수식하지만 소유대명사는 독립 문장성분으로서 주어, 목적어, 술어 기능을 나타내고 명사구를 수식하지 않는다. - 소유대명사는 기본적으로 수식하는 인칭대명사와 수식받는 명사구의 절 전체를 대체한다. meniki ‘나의 것’, bizdiki ‘우리의 것’ 등이다. 따라서 문장에서 명사화된 요소의 기능을 담당하여 명사와 동일하게 격, 수에 따라 곡용된다. meniki-nen(ABL) ‘나의 것에서’, alardɨkɨ-na(DAT) ‘그들의 것으로’. - 키르기즈어에서 다음과 같은 소유대명사가 있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1인칭 | meniki ‘나의 것’ | bizdiki ‘우리의 것’ | | 2인칭 반말 | seniki ‘너의 것’ | silerdiki ‘너희들의 것’ | | 2인칭 존대 | sizdiki ‘당신의 것’ | sizderdiki ‘당신들의 것’ | | 3인칭 | anɨkɨ ‘그의 것’ | alardɨkɨ ‘그들의 것’ | {{{eg>kirg1245 (talapova2018:000) Siz-din yj-yŋyz čoŋ ʤana ʤarɨk. Bizdiki da čoŋ ʤana ʤarɨk. you-GEN house big and bright. our.POSS also big and bright ‘당신의 집은 크고 밝다. 우리의 것도 크고 밝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lar-dɨn tyšym-y bizdiki-nen mɨktɨ. Biz-din tyšym-ybyz alardɨkɨ-na ʤet-pe-j-t. they-GEN income-REFL our.POSS-ABL advancing. our-GEN income-REFL their.POSS-DAT reach-NEG-PRES-3SG ‘그들의 수입은 우리 것보다 앞선다. 우리의 수입은 그들의 것에 미치지 않는다.’ }}} #### 지시대명사 - 키르기즈어에서 화제의 대상이 화자 기준으로 가까운 거리(시야)에 있으면 bul, ošol이 사용된다. ošol은 발화속 방금 전의 화제가 되고 있었던 대상에 대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화자 기준으로 조금 더 먼 거리(시야)에 있는 대상에 대해서는 ušul (ušu), tigi, tetigi 지시대명사가 사용된다. - 지시대명사는 문맥에 따라 같은 형태로서 수사, 형용사, 명사 기능 모두 담당한다. - 문장에서 명사의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 수, 격에 따라 곡용된다. | this | bul (bu) | | that (close distance) | ošo(l), al | | that (far distance) | ušu(l), tigi(l), tetigi(l) | | 이렇다, 그렇다 | ošondoj, ušundaj, mɨndaj | | 이정도, 그정도 | ošončo, anča, mɨnča | - 지시대명사의 단수는 격변화시 음운적 변화가 일어나며 복수는 어근에 복수표지가 결합해서 교착적으로 곡용된다. ^ ::: ^ 단수 ^복수^ |NOM| bu(l), ošo(l), tigi(l) | bu-lar | |GEN| munun, ošonun, tiginin | bu-lar-dɨn | |DAT| buga, ošogo, tigige | bu-lar-ga | |ACC| munu, ošonu, tigini | bu-lar-dɨ | |LOC| mɨnda, ošondo, tiginde | bu-lar-da | |ABL| mɨndan, ošondon, tiginden | bu-lar-dan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din ajant-ɨnda ko:n, darbɨz, aškabak øst-ø-t. Ošo-lor-dun bar-ɨ ʤakšɨ sat-ɨl-a-t. we-GEN area-LOC melon water-melon, pumpkin grow-PRES-3PL. That-PL-GEN all-REFL well sell-PASS-PRES-3SG ‘우리의 농지에서 참외, 수박, 호박이 자란다. 그것들의 모두가 잘 팔린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Tetigi ajant-ta paxta ajda-l-gan. that area-LOC cotton sow-PASS-PST ‘거기 농지에서 목화가 심어졌다.’ }}} #### 의문대명사 - 명사와 대명사에 대한 의문대명사는 kim ‘누구’, emne ‘무엇’이다. Bu kim? ‘누구입니까?’, al emne? ‘그것이 무엇이냐?’. - 한정어 지시대명사는 kandaj, ‘어떠하다’, kajsɨ ‘어느’, emne ‘어떠하다’이다. kajsɨ kitep? ‘어느 책?’, kandaj kitep kerek? ‘어떤 책이 필요합니까?’ - 수사 의미기능의 지시대명사는 kanča, neče ‘얼마’, kančanči, nečenči ‘몇번째’이다. azɨr kančančɨ sabak? ‘지금은 몇 번째 수업입니까?’ ^ ::: ^ 단수 ^복수^ |NOM| kim, emne, kanča | kimder, emneler, kančalar | |GEN| kimdin, emnenin, kančanɨn | kimderdin, emneledin, kančalardɨn | |DAT| kimge, emnege, kančaga | kimderge, emnelerge, kančalarga | |ACC| kimdi, emneni, kančanɨ | kimderdi, emnelerdi, kančalardɨ | |LOC| kimde, emnede, kančanda | kimderde, emnelerde, kančalarda | |ABL| kimden, emneden, kančadan | kimderden, emnelerden, kančalardan | {{{eg>kirg1245 (talapova2018:000) Stol emne-den ʤasa-l-gan? table what-ABL make-PASS-PST ‘책상이 무엇으로 만들어졌느냐?.’ }}} {{{eg>kirg1245 (talapova2018:000) Siz kajsɨ mektep-te oku-j-suz? you what school-LOC study-PRES-2SG ‘당신은 어느 학교에서 공부합니까?’ }}} #### 부정(Negation)대명사 - 부정대명사는 eč를 기타 대명사에 결합해서 실현된다. eč kim ‘아무도’, eč nerse ‘아무것도’, eč bir ‘어떤 것도’, eč kačan ‘아무 때도’. {{{eg>kirg1245 (talapova2018:000) Men bygyn eč kim-di kør-gøn ʤok-mun. I today any one-ACC see-NEG NEG-1SG ‘나는 오늘 누구도 보지 않았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Eč kačan unut-ba-j-m. any when forget-NEG-PRES-1SG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다.’ }}} #### 재귀대명사 ^ ^ 단수 |||^ 복수 |||| | ::: ^ 1인칭 ^ 2인칭반말 ^ 2인칭존대 ^ 3인칭 ^ 1인칭 ^ 2인칭반말 ^ 2인칭존대 ^ 3인칭 ^ | NOM | øzym | øzyŋ | øzyŋyz | øzy | øzybyz | øzyŋør | øzyŋyzdør | øzdøry | | GEN | øzymdyn | øzyŋdyn | øzyŋyzdyn | øzynyn | øzybyzdyn | øzyŋørdyn | øzyŋyzdørdyn | øzdørynyn | | DAT | øzymø | øzyŋø | øzyŋyzgø | øzynø | øzybyzgø | øzyŋørgø | øzyŋyzdørgø | øzdørynø | | ACC | øzymdy | øzyŋdy | øzyŋyzdy | øzyŋ | øzybyzdy | øzyŋørdy | øzyŋyzdørdy | øzdøryn | | LOC | øzymdø | øzyŋdø | øzyŋyzdø | øzyndø | øzybyzdø | øzyŋørdø | øzyŋyzdørdø | øzdøryny | | ABL | øzymdøn | øzyŋdøn | øzyŋyzdøn | øzynøn | øzybyzdøn | øzyŋørdøn | øzyŋyzdørdøn | øzdørynøn | {{{eg>kirg1245 (talapova2018:000) Alar øzy-lør-dyn masele-ler-di ʤana alar-dɨn sebep-ter-di talku:la-š-tɨ they self-PL-GEN question-PL-ACC and these-GEN reason-PL-ACC consider-MUT-PST ‘그들이 그들의 문제와 그것들의 이유들을 토론했다.’ }}} {{{eg>kirg1245 (talapova2018:000) Biz øzy-byz bil-be-j-biz. we self-REFL know-NEG-PRES-1PL ‘우리 스스로 모른다.’ }}}
doc/kyrgyz/2_wordclass/31_pro/31_pr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9 10:56 저자
안대섭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