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lisu
»
0_general
»
05_writing : 문자 (writing)
추적:
•
pro_refl : 재귀사 (reflexive, reflexive pronoun) : 0% :
•
subr_adv : 부사절 (adverbial clause)
•
subr_rel : 관계절 (relative clause)
•
21_wordclass : 단어부류 체계 (word class system)
•
23_verb : 동사 (verb)
doc:lisu:0_general:05_writing:05_writing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05_writing : 문자 (writing) 지금은 문자를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리수족은 지역별 시기별로 4가지 문자를 해용해 왔었다. ###(1) 라틴 대문자를 사용한 병음문자 1912년 –1914년 사이에 전도 목적으로 먄마 塞耶巴多가 라틴 대문자를 거꾸로 또는 그대로 배열 조합하여 만든 문자로 기독교 신자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2) "格框式"문자 1913년 영국 전도사 王慧仁이 운남성 무정(武定)현의 방언을 토대로 만든 문자이다. 이 문자는 종교적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3) 표음문자 20세기 초기 위서현(维西县) 농부 汪仁波가 만든 음성문자이다. 총 천개가 넘는 글자가 있는데, 상형문자도 있고, 의미가 비슷한 단어는 문형도 비슷한 모양으로 나타내는 문자도 있지만 일정한 체계에 따라 만든 문자로는 보이지 않는다. 叶枝, 康普 등 네 지역 16,000여명의 리수족이 사용했던 문자이다. ###(4) 병음문자 1954-1957년 사이에 중국 정부에서 알파벳을 중심으로 하되 리수어의 음성특성을 반영하여 음성문자를 만들었다. 리수어 특유의 탁음(浊音)인 浊塞音, 浊擦音은 알파벳을 중복하여 표현하였다. bb/b/, dd/d/, jj/dz/, ss/z/ 등이 그러하다. 55조는 l, 35조는 q, 33조는 x, 42조는 r, 31조는 t로 표시하고 44조는 성조를 따로 표시하지 않았다. 이 문자 체계로 많은 사전, 교과서 등 출판물이 출간되었고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doc/lisu/0_general/05_writing/05_writin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