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manchu
»
2_wordclass
»
23_verb : 동사 (verb)
추적:
doc:manchu:2_wordclass:23_verb:23_verb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3_verb : 동사 (verb) ### 종결어미 #### 평서문 (Declarative) |Past |[-ha/-he/-ho, -ka/-ke/-ko], [-habi/-hebi/-hobi, -kabi/-kebi/-kobi], [-mbihe], [-mbihebi]| |Present|[-mbi]| |Future|[-mbi], [-ra/-re/-ro]| ##### 1. -mbi - 동사 어간에 붙여서 현재 혹은 미래 시재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87) indahūn dobori tuwahiya[-mbi], coko erde hūla[-mbi] dog night guard-NPST chicken early.in.the.morning sing-NPST 개는 밤에 (집을) 지킨다. 닭은 이른 아침에 운다. }}} {{{eg>manc1252 (Gorelova2002:287) si aiba-de gene[-mbi] you where-DATL go-NPST 너 어디에 가느냐? }}} {{{eg>manc1252 (Gorelova2002:288) tere han-de bi beye aca-me gene[-mbi] that khan-DATL I myself meet-CVB go-NPST 나는 그 왕에게 직접 만나러 가겠다. }}} ##### 2. -ha/-he/-ho, -ka/-ke/-ko - 동사 어간에 붙여서 과거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90) juwe di be jafa[-ha] two king ACC capture-PST 두 황제를 잡았다. }}} ##### 3. -habi/-hebi/-hobi, -kabi/-kebi/-kobi - 동사 어간에 붙여서 비한정 과거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90) nimanggi i elden de bithe hūla[-habi] snow GEN light DATL book read-PST.INDEF 눈의 빛으로 책을 봤다. }}} ##### 4. -mbihe - 동사 어간에 붙여서 비한정과거 혹은 과거에 행동의 지속을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92) mahala boo-de weile[-mbihe] hat home-DATL make-PST.INDEF 집에서 모자를 만들었다. }}} {{{eg>manc1252 (Gorelova2002:292) bi kemuni ere-be niyalma de ere[-mbihe] I still this-ACC people DATL rely-PST.INDEF 난 여전히 이 사람에게 의지하고 있었다. }}} ##### 5. -mbihebi - 아주 먼 옛날에 자주 생긴 행동을 가리킨다. {{{eg>manc1252 (Gorelova2002:292) hūwangheo beye nimala fata[-mbihebi] empree herself mulberry pick-PST 황후 본인이 (옛날에 자주) 오디를 땄었다. }}} ##### 6. -ra/-re/-ro - 동사 어간에 붙여서 미래 시재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93) gebu algin duin dere de hafuna[-ra] name fame four direction DATL reach-FUT 명성은 사방으로 퍼질 것이다. }}} #### 명령문 (Imperative) ##### 1. -ø - 동사 어간으로 문장을 끝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97) tacikū-i juse, mini gisun be donji[-ø] school-GEN kid(PL), my word ACC hear-IMP 학생들, 내 말을 들어라. }}} ##### 2. -cina - 자신보다 사회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 상용되어 화자의 완곡한 원망을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301) uba-de te[-cina] this.place-DATL live-IMP 이곳에 사십시오. }}} #### 기원문 (Optative) ##### 1. -ki {{{eg>manc1252 (Parkeunyong1969:120) ing de doro tsaidzung tsaiho be tuwana-me gene[-ki] army DATL inside Tsaidzung Tsaiho ACC go.to.look-CVB go-OPT Tsaidzung과 Tsaiho를 보러 병영 안으로 가자. }}} ##### 2. -kini {{{eg>manc1252 (Parkeunyong1969:121) ere giranggi gese šatame buce[-kini] this bone(GEN) as to.be.white die-OPT 이 뼈처럼 백골이 되어 죽기 바란다. }}} #### 허락문 (Jussive) ##### -kini - 동사 어간에 사용되어 어떤 행동이 실현가능하다면 그렇게 해도 상관없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eg>manc1252 (Parkeunyong1969:121) ini gūni-ha ba-be jabu[-kini] his think-PTCP place-ACC reply-JUS 그의 생각한 바를 대답해도 좋다. }}} ### 비종결어미 #### 분사 어미(Participle) ##### 1. 관형적 기능 ##### a. Imperfect : -ra/-re/-ro {{{eg>manc1252 (Gorelova2002:255) tere niru-re faksi ji-he manggi han hendu-me that paint-PTCP craftsman come-PRF after khan say-CVB (그림을) 그리는 장인이 간 후에 왕이 말하기를 }}} ##### b. Perfect : -ha/-he/-ho (일부 동사 어근에 –ka/-ke/-ko가 적용된다) {{{eg>manc1252 (Gorelova2002:255) ere abala-me gehe[-he] gucu-sa ji-ci ai se-me ala-mbi this hunt-CVB go-PTCP companion-PL come-CVB what say-CVB tell-NPST 이 사냥하러 간 친구들이 오면 뭐라고 하겠는가 }}} - –ka/-ke/-ko를 붙인 동사 {{{lex>manc1252 (Gorelova2002:252) - badara- : 확대하다 -> badara[ka] : 확대했던 - dule- : 지나가다 -> dule[ke] : 지나갔던 - soro-: 피회하다 -> soro[ko] : 피회했던 }}} ##### 2. 명사적 기능 {{{eg>manc1252 (Gorelova2002:257) ajige ju-se damu sefu i jilgan be donji[-ha] de fayangga gemu tuhe-mbi se-cina little kid-PL only teacher GEN voice ACC hear-PTCP DATL courage all collapse-NPST say-OPT 어린이들이 단지 스승의 목소리를 들었을 때에 용기가 모두 무너진다고 했다. }}} {{{eg>manc1252 (Gorelova2002:258) muda-me jide[-re] be jugūn de aca[-ha] manggi return-CVB go-PTCL ACC road DATL meet-PTCL after 돌아갈 때에 길에서 만난 후에 }}} #### 부동사 어미(Converb) ##### -me (1) 병렬 - -me를 통해서 여러 행동의 병렬 관계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68) bithe de foro[-me], hergen be tolo[-me], yasa tuwa[-me] gala jori[-me] urebu-me hūla-mbi book DATL turn-CVB, letter ACC count-CVB, eye observe-CVB hand point-CVB rehearse-CVB read-NPST 책에 향하고 글을 계산하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가리키며 복습한다. }}} {{{eg>manc1252 (Gorelova2002:268) muse sibiya makta[-me] dasame dende-ki we(INCL) lots throw-CVB again divide-OPT 우리 제비를 뽑고 다시 나누자 }}} {{{eg>manc1252 (Gorelova2002:271) muda[-me] ji-he return-CVB come-PST 돌아왔다 }}} (2) 목적 - -me를 통해서 동기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70) morin be dali[-me] boo-de ji-he horse ACC hide-CVB house-DATL come-PST 말을 감추러 집에 왔다. }}} (3) 설명 - 주로 “hendu-(말하다)”, “jabu-(대답하다)”, “ala-(고하다)”와 같은 동사에 사용된다. {{{eg>manc1252 (Parkeunyong1969:125) geren amba-sa fonji-me cenghiyang ai turgun-de inje-mbi many minister-PL ask-CVB prime.minister what reason-DATL come-NPST 여러 대신들이 묻기를, “승상이 어떤 일로 오셨습니까?” }}} (4) 습관 용법 - -me 다음에 modal verbs 따라오는 경우: {{{eg>manc1252 (Gorelova2002:271) bi nure omi[-me bahana-]rakū I wine drink-CVB be.able-PTCP(NEG) 나는 와인을 마실 수 없다. }}} {{{eg>manc1252 (Gorelova2002:271) muke gaji[-me mute-]hakū min-de bu-fi ulebu-rakū water bring-CVB can-PTCP(NEG) I-DATL give-CVB feed-PTCP(NEG) 물을 가져올 수 없으니 나에게 먹여주지 않을 것이다. }}} ##### -fi - 어떤 행동을 행하고 다시 다른 행동을 행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276) si boo-de isina[-fi], majige teye[-fi], buda je[-fi] dere obo[-fi] jai ji-ki you home-DATL arrive-CVB a.little rest-CVB, food eat-CVB face wash-CVB then come-OPT 너 집에 도착한 후에, 조금 쉬어서 밥을 먹고 나서 세수한 후에 다시 와라. }}} ##### -ci (Conditional Converb) {{{eg>manc1252 (Gorelova2002:278) muse uka-me tuci[-ci] sain o-mbi we run.away-CVB go.out-CVB good become-NPST 우리가 도망치면 좋을 것이다. }}} {{{eg>manc1252 (Parkeunyong1969:111) bi donji[-ci] sin-de emu sargan jui bi I hear-CVB you-DATL one girl kid be 내가 들으니 너에게 딸이 한 명 있다. }}} {{{eg>manc1252 (Parkeunyong1969:112) daha se-me hūla[-ci] dahalakū o-fi give.up say-CVB shout-CVB give.up(NEG) be(AUX)-CVB 항복하라고 소리치더라도 항복하지 않아서 }}} ##### -cibe (Concessive Converb) - 어떤 행동이 행하지더라도 또는 가정하더라도 여상했던 결과는 나타나지 않느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eg>manc1252 (Parkeunyong1969:113) bi udu wang sytu i banji-ha sargan jui waka bi[-cibe], mim-be tana gu-i adali gosi-me uji-mbihe I although Wang Sytu GEN give.birth.to-PTCP girl kid not be-CVB I-ACC pearl jade-GEN as love-CVB raise-PST.INDEF 비록 나는 Wang Sytu에게 태어난 딸이 아니더라도 나를 주옥처럼 아끼고 키웠다. }}} ##### -tala/-tele/-tolo (Terminal Converb) - 연결된 어간의 행동이 완료할 때까지 그와 관련이 있는 다른 행동을 계속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eg>manc1252 (Parkeunyong1969:131) dungdzo diyocan be gai-ha-ci boco de dosi-fi emu biya funce[-tele] baita icihiya-me tuci-rakū Dungdzo Diyocan ACC get-PTCP-CVB beauty DATL sink-CVB one month over-CVB thing do-CVB come.out-PTCP(NEG) Dungdzo가 Diyocan을 취했으니 미모에 빠져서 한 달 넘도록 일을 처리하러 나오지 않는다. }}} ##### -hai/-hei/-hoi - 동사 어간에 붙인 접미사이다. 과거부터 행해오던 동작을 지속하면서 그와는 다른 새로운 행동이 행해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eg>manc1252 (Parkeunyong1969:166) guwan gung dengjan dabu-fi te-hei gere-ke manggi Guwan Gung light turn.on-CVB sit-CVB day.break-PTCP after 관공이 불을 겨서 앉은 채로 날이 밝아진 후에 }}} ##### -rahū - 동사 어간에 “-rahū”를 붙여서 우려의 의미를 나타낸다. {{{eg>manc1252 (Gorelova2002:307) banuhūn heolen ojo[-rahū] lazy negligent become-PTCP(NEG) (그가) 게으르고 태만해질까 염려된다. }}}
doc/manchu/2_wordclass/23_verb/23_verb.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4 00:15 저자
김혜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