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miao
»
1_phonology
»
11_cons : 자음 (consonant)
추적:
doc:miao:1_phonology:11_cons:11_con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1_cons : 자음 (consonant) #### 자음특징 먀오어에는 59개의 자음이 존재하며 자음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 파열음, 파찰음이 유기, 무기와 유성음의 3가지로 나뉜다. ##### 2. 소설음이 있다. ##### 3. 연구개음, 소설음에 원순화가 일어난다. ##### 4. 양순음과 연구개음에 구개음화와 비 구개음화의 대립이 있다. 양순음에는 또한 권설음화와 비 권설음화의 대립이 있다. ##### 5. 몇몇 비음과 변음은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이 있다. #### 자음표 | bilabial | plosive | [p], [p_h], [b], [p_j], [p_h_j], [b_j], [pz`], [p_hz`], [bz`] | | bilabial | nasal | [m], [m_0], [m_j], [mz`] | | velar | approximant| [w] | | alveolar | plosive fricative | [ts], [ts_h], [dz] | | alveolar | fricative | [s] | | alveolar | plosive | [t], [t_h], [d] | | alveolar | nasal | [n], [n_0]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l], [l_0], [l_j], [l_0_j] | | retroflex | plosive | ʈ, ʈʰ, ɖ, ɳ | | retroflex | fricative | ʂ, ʐ | | alveolo-palatal | affricate |[ts\], [ts\_h], [dz\] | | alveolo-palatal | nasal | ȵ, ȵ̥ | | alveolo-palatal | fricative | ɕ, ʑ | | velar | plosive | k, kʰ, g | | velar-palatal | plosive | kʲ, kʰʲ, gʲ | | velar | nasal | ŋ | | velar-palatal | nasal | ŋʲ | | velar-labial | plosive | kʷ, kʰʷ, gʷ | | velar | nasal | ŋʷ | | Uvular | plosive | q, qʰ, ɢ | | Uvular-labial | plosive | qʷ, ɢʷ | | Uvular | fricative | χ | | Uvular-labial | fricative | χʷ | #### 자음 설명 1.연구개성모와 소설성모에 원순화가 일어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kwaN35] 가지 - [XwaN53] 곳 - [qwe53] 검다 2. 영성모 음절을 발음할 때 파찰음 성분이 포함된다. 음위로 구분하지 않으므로, 표기하지는 않는다. - [o53] 혹은 [?o53] 태우다. - [u53] 혹은 [?u53] 물. 3. pj, phj, bj, mj와 pʐ,bʐ,mʐ가 몇몇 단어에서 혼동되어 읽힌다. 예) ‘불다’의 뜻을 가진 단어를 [phj@N53]으로 읽기도 하고 [phz`@N53]으로 읽기도 한다. 예) 양(量)의 뜻을 가진 단어를 [bja53]으로 읽기도 하고 [bz`@53]으로 읽기도 한다. 4.ʈ,ʈh, ɖ의 실제 독음은 파찰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5.성모 m̥은 m̥aŋ³⁵ “夜” 한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6.성모 d는 각 단어에서 무성음화시킬 수 있다. 예) ‘件’은 [dE53]으로 읽는데 이것을 [d_0E53]으로 무성음화하여 읽을 수 있다.
doc/miao/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5:45 저자
박성하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