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egidal
»
1_phonology
»
11_cons : 자음 (consonant)
추적:
doc:negidal:1_phonology:11_cons:11_con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1_cons : 자음 (consonant) ### 자음 음소 목록(18개)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 bilabial | plosive | [p], [b] | | dental | plosive | [t], [d] | | palatal | plosive | c, ɟ (ч з̌) | | velar | plosive |[k], [g] | | uvular | plosive | (q) | | labio-dental | fricative | [v](w), [f] | | alveolar | fricative |[s] | | velar | fricative | x, (ɣ) | | uvular | fricative | (χ) | | bilabial | nasal |[m] | | dental | nasal |[n] | | palatal | nasal | ɲ | | velar | nasal |[N] | | palatal | approximant |[j] |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l] | | dental | trill | ([r]) | - 괄호 안은 위치에 따른 변이음 ##### 자음의 특성 - г는 모음 사이에서 마찰음으로 발음된다.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гоɣо : 짖다 }}} 11 - 하류 방언. 모음 사이 파열음 к는 마찰음 х로 발음된다. - 위 두 변이음은 모음 а, о, ē 와 만날 때 uvular 속성을 띤다.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қачиҳāн : 강아지 - қōқчāн : 발굽 }}} 12 ##### 자음군 - 어두와 어말에서는 단일자음만, 어중에서는 자음군이 올 수 있다. - 접미사는 두 개의 자음군으로 시작되는 것이 많다.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ӣ- : 들어가다 - ӣ-вкạ̄н- : 들여보내다 }}} {{{lex>negi1245 (tsintsius1997:190) - токса- : 뛰어가다 - токса-кта- : 뛰어다니다 }}}
doc/negidal/1_phonology/11_cons/11_co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4/15 16:34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