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egidal
»
8_lexicology
»
81_voca : 어휘 체계 (vocabulary)
추적:
doc:negidal:8_lexicology:81_voca:81_voca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81_voca : 어휘 체계 (vocabulary) - 네기달인(퉁구스인)의 모든 전통적인 생활영역, 즉 어로, 어류가공, 동물, 어구 및 사냥도구, 수공업 및 공예(바느질, 수선, 가죽가공, 목재가공, 배와 집 건설, 자수) 도구, 전통 의상 및 신발 제작, 전통음식 요리 등은 고유어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민물고기, 바닷고기의 명칭이 100개에 이른다. - 의성어, 의태어가 다수 있고, 이 특징은 남부퉁구스어에 공통이다. 어웡키어에는 그러한 단어가 훨씬 적다. - 제1(기본)어휘층(만주퉁구스어 공통): 인칭대명사, 친족명칭, 계절명, 하루 중 시간 명칭, 신체일부 명칭 등 (수백개) {{{lex>negi1245 (nedyalkov2001:342) - би : 나 - сӣ : 너 - бӣ : 이다(be) - амин : 아버지 - энин : 어머니 - болонӣ : 가을 - долбони : 밤 }}} - 제2어휘층: 공통퉁구스어 어휘층. 사슴목축 어휘, 수렵도구명칭, 군사장비 명칭 등. {{{lex>negi1245 (nedyalkov2001:342) - пэктирэ̄вун : 무기 - кото : 칼 - ойон : 사슴, 순록 }}} - 제3어휘층: 이웃 민족(울치, 나나이, 오로치)언어와 공통 어휘. 어로, 가축, 토속신앙 관련 어휘 - 네기달어에만 있는, 어원이 불분명한 차용어 그룹이 있다. 아래 중 일부는 네기달어 고유어일 수도 있다. {{{lex>negi1245 (nedyalkov2001:342) - апқақта : 참나무 - бчакта : 단풍나무 - чопоҳо: 꼬집(분량), 작은조각 - ҳоҳойа : 직접 갈대로 만든 담배 파이프 - чухэты- : 기뻐하다 }}} - 러시아어 차용어. 19세기 중후반부터 차용어의 대부분을 차지 {{{lex>negi1245 (nedyalkov2001:342) - тупла : 구두 < туфли - сокно : 나사(직물) < сукно - маскэ : 돈 < бумажка - чомпур : 총구 청소용 꽂을대 < шомпол }}} - 특히 소련 시대 사회정치, 문화의 발달과 식자율 증가로 인해 러시아어의 영향이 더욱 확대되었다. (Революция, партия, государство, колхоз, школа, клуб, кино, радио, самолет)
doc/negidal/8_lexicology/81_voca/81_voca.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1 10:58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