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ivkh
»
4_ss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추적:
doc:nivkh:4_ss:46_val:46_val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태 #### 결과태 - -кыта-/-ɣыта/-хыта-(아무르방언), -ӽар-/-гар-(동사할린방언) {{{eg>gily1242 (gruzdeva2001:362) к’ува вых-д’ thread snapped-IND 실이 끊어졌다 }}} {{{eg>gily1242 (gruzdeva2001:362) к’ува вых-кыта-д’ thread snapped-RES-IND 실이 끊어진 결과가 되었다 }}} #### 재귀태 Рефлексив - 재귀-정대명사에서 온 접두사 п’(и)- {{{eg>gily1242 (gruzdeva2001:362) н,а н,ын, н’ивх т’ир-тоӽ п’-ифк-т’ UNK beast man tree-UNK himself-tie-IND 짐승을 잡는 사람(사냥꾼)은 나무에 자신을 묶었다 }}} #### 상호태 - 접두사 в-, о-(아무르방언, 동사할린방언)를 붙인다. - 타동사에 대명사표지 대신에 이 접두사를 붙이면 상호동사가 된다. {{{lex>gily1242 (gruzdeva2001:362) - й-ор- : 만나다(타동사) & в-ор- : 서로 만나다 }}} - 대명사 표지가 없는 타동사의 경우 상호태는 어휘적으로 표현된다. 즉 п’н,афӄн,афӄ(ху), п’н,афӄ(ху)п’н,афӄ(ху) орӽорӽ (서로서로)라는 단어를 붙인다. {{{lex>gily1242 (gruzdeva2001:362) - п’н,афӄн,афӄ(ху), п’н,афӄ(ху)п’н,афӄ(ху), орӽорӽ : 서로서로 }}}
doc/nivkh/4_ss/46_val/46_va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31 11:04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