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usu
»
2_wordclass
»
21_wordclass : 단어부류 체계 (word class system) : 100% :
추적:
•
B_biblio : 참고문헌 (bibliography) : :
•
B_biblio : 참고문헌 (bibliography)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phonproc_hiatus : 모음충돌회피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doc:nusu:2_wordclass:21_wordclass:21_wordclas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1_wordclass : 단어부류 체계 (word class system) : 100% : - 누수어의 어휘 체계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누수어와 다른 언어의 동원사 - 누수어는 티베트버마어파(Tibeto-Burman languages)에 속한 언어이기 때문에 어휘 중 상당한 부분이 원시 티베트버마어파(Tibeto-Burman languages)에서 유래된 것이다. 예: 화(불): mi⁵⁵(怒苏語), me(藏語), mi³³(羌語), ṃ(u)³¹du⁵⁵(彝語), mi⁵⁵(缅語). ###(2) 누수어 고유어 - 怒族은 장기적으로 산 속에서 거주하기 때문에 누수어의 언어에는 이러한 지리적 환경이 반영되어 있다. 예를 들어, 누수어에는 일반적인 방위명사인 ‘상, 하, 좌, 우’ 이외에도, 산의 위치 등을 고려한 방위명사가 있다. 예: 수평 방향의 근칭은 tɕʰi⁵⁵bɑ³¹이고, 원칭은 tɕʰɑ⁵⁵tɕʰi⁵⁵bɑ³¹이며, 초원칭은 tɕʰɑː⁵⁵tɕʰi⁵⁵bɑ³¹이다. 그리고 수직 방향의 근칭, 원칭, 초원칭, 산세 위, 아래 등 방향과 관련된 근칭, 원칭, 초원칭은 모두 따로 어휘화되어 있다. ### (3)다른 언어로부터의 차용어 - 누수어 중 대부분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와 리수어(Lisu language)로부터의 차용어이고, 바이어(白語), 미얀마어, 티베트어로부터의 차용어도 있는데 양적으로 많지 않다. 예: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 io⁵⁵tɕi⁵³ɑ³¹ ‘중요하다’ 리수어로부터의 차용어: sɯ⁵⁵le³¹du⁵⁵ '기호'
doc/nusu/2_wordclass/21_wordclass/21_wordclas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