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nusu
»
2_wordclass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100% :
추적: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DAT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subr_adv : 부사절 (adverbial clause)
•
11_cons : 자음 (consonant)
doc:nusu:2_wordclass:24_adj:24_adj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100% : - 누수어의 형용사는 정도부사 mɑ³¹iɑ̃³¹ ‘아주/매우’, kɑɹ³⁵ ‘더(욱)’, kɑɹ³⁵le³¹kɑɹ³¹ ‘가장’ 그리고 否定 부사 mɑ⁵⁵의 수식을 받지만 금지 부사 tʰɑ⁵⁵ ‘dont’의 수식을 받는 않는다. ##(1) 형용사의 정도와 접사 간의 관계 - 형용사 ‘크다’, ‘높다’, ‘두껍다’ ‘길다’ 등 형용사 앞에 ˀmə⁵⁵가 붙으면 정도가 높음을 나타내고 이 형용사들의 반의어 앞에는 접두사 ˀɑ³¹가 붙으면 정도가 낮음을 나타낸다. 예: ˀmə⁵⁵ʐi⁵⁵tʰɑ³⁵ ‘상대적으로 크다’ ˀɑ³¹tɕʰɔ̠⁵³tʰɑ³⁵ ‘상대적으로 작다’ ##(2) 색깔 형용사의 중첩 - 중첩된 부분의 첫 번째 음절이 高升調로 바꾸고 두 번째 음절이 원래의 성조를 유지할 경우 정도가 높아짐을 나타낸다. 예: bɑ³⁵ba³¹tʰɑ³⁵ ‘새하얗다’ - 중첩된 두 음절의 성조가 같을 경우 정도가 낮음을 나타낸다. 예: bɑ³¹bɑ³¹tʰɑ³⁵ ‘조금 하얗다’ -1음절 형용사가 중첩된 후, 앞에 접두사가 추가되면 성조가 달라지고 정도가 낮음을 나타낸다. 예: mɯ⁵⁵bɑ³¹bɑ³¹tʰɑ³⁵ ‘아주 하얗지 않다’ mɯ⁵⁵nɑ⁵³nɑ⁵³tʰɑ³⁵ ‘아주 까맣지 않다’ -1음절 형용사가 중첩된 후, 앞에 kʰɑ³⁵가 오면 정도가 가장 높음을 나타낸다. {{{eg>nusu1239 (sunhongkai1986:71) kʰɑ³⁵xɹɯ³⁵xɹɯ³⁵ɑ⁵⁵ tʰi⁵³ dzəɹ kʰui³¹ ɑ³¹ tallest one CL have PTCL 가장 높은 그루가 있다. }}} -1음절 형용사가 중첩된 후, 앞에 dʑi³¹ ‘같다’가 붙을 수 있다. 이 때 문장은 비교문이다. {{{eg>nusu1239 (sunhongkai1986:72) [ɣɯ⁵⁵ ɕɑ³⁵ m̩⁵⁵ lɔ⁵³ dʑi³¹ʐi⁵⁵ʐi³¹.] pot this two CL same.big 이 두 냄비의 크기는 같다. }}} ##(3)형용사의 자동형과 타동형 - 일부 형용사는 자동형과 사동형의 대립이 있다. 사동형은 대부분 굴절의 방법을 통해서 구현된다. 예: ɡuɑ̃ɹ⁵³ ‘굽다’ -> kʰuɑ̃ɹ⁵³ ‘굽게 하다’ ##(4) 형용사와 문법화된 동사의 결합 - 문법화된 동사 lɑ³⁵ ‘오다’와 결합하여 ‘어떤 성질 혹은 상태가 발전 중임을 나타낸다. 예: lɔ³⁵ ‘따뜻하다’ -> lɔ³⁵lɑ⁵ ‘따뜻해지다’ ##(5) 형용사의 명사화 -형용사 뒤에 명사화소 ɑ³¹가 올 수 있고, 소수이지만 추상적 의미를 가진 형용사 뒤에 명사화소 kʰue³⁵가 와서 형용사를 명사화시킨다. 예: dʑɔ⁵³ ‘새롭다’ -> dʑɔ⁵³ɑ³¹ ‘새로운 것’ ʐɑ⁵⁵ ‘어렵다’ -> ʐɑ⁵⁵kʰue³⁵ ‘어려움’
doc/nusu/2_wordclass/24_adj/24_adj.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6:49 저자
이민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