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oroch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추적:
doc:oroch:4_ss:48_tame:tame_mod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 명령법 - 접미사 : -ва, -вэ, -во,/ -ɣа, -ɣэ, -ɣо /-ка, -кэ, -ко - 복수 명령법에는 -сẏ, -су를 더한다. {{{eg>oroc1248 (Lebedeva1997:221) гуӈ-кэ speak-IMP 말해 }}} {{{eg>oroc1248 (Lebedeva1997:221) гуӈ-кэ-су speak-IMP-IMP.PL 말하세요 }}} - 비고. Avrorin & Boldyrev (2001:317)에서는 동사 어간에 따라서,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과 가장 많이 쓰이는 명령법 접미사로 -ɣа, 그리고 그 음운적 변이형으로 -ва, -ка를 제시한다. - -н어간 동사와 쓰이는 명령법 접미사: -ка (와 모음조화에 따른 변이형)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318) эгди ǯэп-пэ! much.ADV eat-IMP 많이 먹어! }}} - 2인칭 단수 부정 명령법은 동사의 원형 앞에 부정 첨사 эǯи를 써서 만든다.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319) са[:]гди ẏли-ти эǯи нʹэнэ-йэ big.ADJ river-ALL NEG head.toward.V-INF 큰 강으로 가지 마 }}} - 2인칭 복수(VU) 부정 명령법은 단수 부정 명령의 형태에 동사원형 인칭-수에 따른 변화형을 쓴다. 이 때 어간은 장모음화 된다(동사원형의 йа가 어간의 모음으로 병합된다).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319) ама, би[:] аса-мẏ эǯи сиӈгэрэ[:]-су father my girl-ACC.1SG NEG offend-PRS.2PL 아버지, 제 아내를 화나게하지 마세요 }}} ### 조건법 - 특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가능한 상황이지만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실행되지 않을 행위를 지칭한다. - 동사의 미래시제 (-ǯаӈа 또는 -ǯа[:]) + 과거형 조동사 бичи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ваǯаӈаи бичи '내가 죽일텐데' | ваǯаӈапи бичи , ваǯаӈамẏ бичи | | 2 | ваǯаӈаси бичи | ваǯаӈасẏ бичи | | 3 | ваǯаӈанʹи бичи | ваǯаӈати бичи |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320) си[:] ǯиха-ва бу[:]-киси, би[:] кино-ти ӈэнʹ-ǯэӈ-эи бичи 2SG money-ACC give-UNK 1SG cinema-ALL go-COND-1SG AUX.PST 만약 네가 내게 돈을 준다면, 내가 극장에 갈텐데 }}} - 현재피동분사형 + 과거형 조동사 бичи 으로 조건법을 나타낼 수도 있다.(AvrorinBoldyrev2001:321) - Аврорин Лебедева (1968:205) (Avrorin & Boldyrev2001:321에서 재인용) 및 에는 -муча ~ -мча 접미사를사용한 조건법 형태도 등장하지만, 이러한 예는 극소수라고 밝히고 있다. 한편, Lebedeva (1997:221)에는 '어간 + -мẏча, -мучэ, -мча, -мчэ 접미사 + 인칭접미사' 형태를 중심으로 기술되어있다. {{{eg>oroc1248 (Lebedeva1997:221) эмэ-мчэ-и come-COND-1SG 내가 올텐데 }}} {{{eg>oroc1248 (Lebedeva1997:221) эмэ-мчэ-си come-COND-2SG 네가 올텐데 }}} ### 인식양태 - 확실하지 않은 사건이나 상태에 대해 기술할 때 사용된다 - 양태어휘로 표현한다: биǯэ[:] ~ биǯэ[:]йэ ~ бинʹǯэ 'probably, possibly, seemingly' - Avrorin &Boldyrev (2001:322-323)에는 ‘확실법(확실성의 서법)’으로 구분되어있다.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323) бу-кки-нʹи, биǯэ[:] die-PST-3SG probably.ADV 그는 아마 죽었을 것이다 }}} ### 당위양태 - 행위의 당위성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 Avrorin &Boldyrev (2001:323-343)에는 ‘강한서법’으로 구분되어있다. - 문장 뒤에 첨사 -ма를 붙인다.
doc/oroch/4_ss/48_tame/tame_mod.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2/01 15:37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