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oroch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tame_tense : 시제 (tense)
추적:
doc:oroch:4_ss:48_tame:tame_tense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tame_tense : 시제 (tense) ### 현재시제 (Avrorin & Boldyrev 2001:297-303) - 동사 어간 + 현지시제 접미사 -и + 인칭 접미사 - 인칭 접미사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ви ~ -йи | -пи (incl.), -му (excl.) | | 2 | -си | -су | | 3 | - нʹи | -ти | - 1인칭 단수 접미사 중에서 -ви가 -йи보다 더 많이 쓰인다. - 현재시제 접미사 -и는 모음으로 끝나는 모든 동사어간에 결합한며, 장음 и[:]로 결합하는 예가 많다.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297) гэл-и[:]-си ask-PRS-2SG 너는 묻는다( <- гэлэ-и-си) }}}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297) буд-и[:]-нʹи die-PRS-3SG 그(녀)는 죽어간다 ( <- будэ-и-нʹи) }}} - 동사어간이 н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현재시제 접미사 -и 앞에 -а/-э/-о 모음이 더해진다. 동사어간이 -п인 경우에는 -та/-тэ/-то; 불규칙 어간에는 да/дэ/до 음절이 덧붙여진다. - 불규칙 어간의 예 {{{lex>oroc1248 (AvrorinBoldyrev2001:298) - бу- : die - га- : take, buy - наг- : hit (a target) - о- : become }}}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298) бити га-да-и-пи PRON.1PL.INCL take-PRS-PRS-1PL.INCL 우리는 산다(take/buy something) }}} - 현재시제의 부정문: 부정 조동사 э- + 현재시제 부정 접미사 -си(н) + 인칭 접미사 + 동사원형 - 부정 조동사의 현재시제 활용형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эсими | эсипи (incl.), эсиму (excl.) | | 2 | эсиси | эсису | | 3 | эсинʹи | эсити |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298) си э-си-си нʹэлэ-йэ 2SG NEG-PRS-2SG be.afraid-INF 당신은 겁나지 않는다. }}}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299) би инаки-ма далавẏ-и-ви 1SG dog-ACC feed-PRS-1SG 나는 개에게 밥을 준다 }}}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299) си[:] на[:]мẏ-дẏ б-и[:]-си 2SG beach-DAT live-PRS-2SG 너는 바닷가에 산다 }}} ### 과거시제 (Avrorin & Boldyrev 2001:303-309) - 과거시제 인칭 접미사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ми | -пи (incl.), -му(excl.) | | 2 | -си | -су | | 3 | -нʹи | -ти | - 동사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면 과거시제 접미사는 : -ха(н)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ба[:]-ха-ми 'I found' | ба[:]-ха-пи (incl.), ба[:]-ха-мẏ(excl.) | | 2 | ба[:]-ха-си | ба[:]-ха-сẏ | | 3 | ба[:]-ха-нʹи | ба[:]-ха-ти | - -н어간 뒤에는 -ки(н)이 결합하는데, 이 때 자음동화의 결과로 동사의 어간이 ӈ으로 변한다. -п어간 뒤에서는 접미사 -ки(н) 대신 -пи(н)이 쓰인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диггаӈ-ки-ми 'I said' | диггаӈ-ки-пи (incl.), диггаӈ-ки-мẏ(excl.) | | 2 | диггаӈ-ки-си | диггаӈ-ки-сẏ | | 3 | диггаӈ-ки-нʹи | диггаӈ-ки-ти | - 과거시제 부정문: 부정 조동사 э- + 과거시제 접미사 -чи(н) + 인칭접미사 + 동사원형 - 부정 조동사의 과거시제 활용형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э-чи-ми | э-чи-пи (incl.), э-чи-му(excl.) | | 2 | э-чи-си | э-чи-су | | 3 | э-чи-нʹи | э-чи-ти | ### 미래시제 (Avrorin & Boldyrev 2001:309) - 세 가지의 미래시제가 있다. #### 제1미래시제 - 접미사: -ǯа(н) - 의미: 가까운 미래. 인칭에 따라서 동사의 의미가 가미된다. 1인칭 제1미래는 주어가 행위를 가까운 미래에 완료하려는 의지를 지닌 행동을 지칭한다. - 주어가 2인칭 단수일 때는, 명령법보다는 약한 제안 (주어가 행위를 완료하기를 제안하는 것)을 의미한다. 드물게 가까운 미래를 의미하기도 한다.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310) минти ǯима-ǯа[:]-си! PRON.1SG.ALL come-FUT1-2SG 내게 와 (우리집에 놀러와) }}} - 제1미래가 3인칭 주어와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으나, 가까운 미래에 행위가 완료될 가능성을 지칭한다. {{{eg>oroc1248 (AvrorinBoldyrev2001:311) иммэ киндэ-ǯэ[:]-нʹи needle.NOM break-FUT1-3SG 바늘이 부러질 것이다 }}} - 제1미래시제의 부정 조동사 변화형 (+ 동사원형)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эǯэ[:]йи | эǯэ[:]пи (incl), эǯэ[:]му (excl.) | | 2 | эǯэ[:]си | эǯэ[:]су | | 3 | эǯэ[:]нʹи | эǯэ[:]ти | #### 제2미래시제 - 접미사: -ǯаӈа - 의미: (때로는 의무적인 의미가 강조된) 미래행위를 지칭 - 제2미래시제의 부정 조동사 변화형 (+ 동사원형)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эǯэӈэйи | эǯэӈэпи (incl), эǯэӈэму (excl.) | | 2 | эǯэӈэси | эǯэӈэсу | | 3 | эǯэӈэнʹи | эǯэӈэти | #### 제3미래시제 - 접미사: -та - 의미: 제3미래시제는 부정문에만 쓰이며, 강항 부정을 의미한다 ^ 인칭 ^ 단수 ^ 복수 ^ | 1 | атами бийэ 'I won't live' | атапи бийэ (incl.), атамẏ бийэ (excl.) | | 2 | атаси бийэ | атасẏ бийэ | | 3 | атанʹи бийэ | атати бийэ |
doc/oroch/4_ss/48_tame/tame_tens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19 18:57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