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oroqen
»
1_phonology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추적:
•
22_noun : 명사 (noun)
•
12_vowel : 모음 (vowel)
•
22_noun : 명사 (noun)
doc:oroqen: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모음조화 단어 내부 혹은 단어와 문법형태소 간에 모음조화가 일어난다. 아래 표의 왼쪽은 첫음절 모음이고 위쪽은 첫음절 외에 모음이다. | | a | ɪ | ɔ | ʊ | ᴇᴇ | ə | i | o | u | ee| y | | a | + | + | - | + | + | - | - | - | - | - | - | | ɪ | + | + | - | + | + | - | - | - | - | - | - | | ɔ | + | + | + | + | + | - | - | - | - | - | - | | ʊ | + | + | - | + | + | - | - | - | - | - | - | | ᴇᴇ | + | + | - | + | + | - | - | - | - | - | - | | ə | - | - | - | - | - | + | + | - | + | + | - | | i | -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u | - | - | - | - | - | + | + | + | + | + | - | | ee | - | - | - | - | - | + | + | - | + | - | - | | y | - | - | - | - | - | + | + | - | + | + | + | a계열 모음은 양성모음이고 ə계열 모음은 음성모음이기 때문에 ‘a, ɪ, ɔ, ʊ, ᴇᴇ’와 ‘ə, i, o, u, ee, y’는 같은 단어에서 나타나지 못한다. ### 자음동화 #### 1. 역행동화 ##### (1) 완전 역행동화 | n+ŋ > ŋŋ | igəʧəən(독수리) + ŋi(GEN) → igəʧəə-nŋi [ikəʧhɐːŋŋi] (독수리의) | | t+k > kk | kat-(베다) + kal(2SG.IMP) → katkal [khakhkhaɚ] (베라) | | t+ʧ > ʧʧ | ɪt-(충분하다) + ʧaa(3SG.PST) → ɪtʧaa [ɪʧʧhaː] (충분했다) | | b+m > mm | ʤəb-(먹다) + mi(부동사) → ʤəbmi [ʧəmmi] | | t+n > nn | kat-(베다) + na(이동목적) + ran(3SG.NPST) → katnaran [khannaran] (그가 베러 간다.) | | t+m > mm | tat-(배우다) + mi(부동사) → tatmɪ [thammɪ] | | n+m > mm | ulguʧəən-(말하다) + mun(원망상) + əm(1SG.NPST) → ulguʧəənmunəm [ulkuʧhɐːmmunəm] (내가 말하고 싶다.) | ##### (2) 부분 역행동화 | n+k > ŋk | taan-(끌다) + kal(2SG.IMP) → taankal [thaːŋkhaɚ] (끌어라.) | | b+ʧ > pʧ | ʤəb-(먹다) + ʧəə(3SG.PST) → ʤəbʧəə [ʧəphʧhɐː] (그는 먹었다.) | | b+n > mn | ʤəb-(먹다) + nə(이동목적) + rən(3SG.NPST) → ʤəbnərən [ʧəmnərən] (그가 먹으러 간다.) | #### 2. 순행동화 ##### (1) 완전 순행동화 | 1 | t+r > tt | tat-(배우다) + ran(3인칭 단수 현재-미래 직설형) → tattan [thaththan] (그는 배운다.) | | | l+r > ll | ədəl-(강을 건너다) + rən(3인칭 단수 현재-미래 직설형) → ədəllən [ətəllən] (그는 강을 건너다.) | | 2 | m+w > mm | təm (뗏목) + wə(대격) → təmmə [thəmmə] (뗏목을) | ##### (2) 부분 순행동화 | m+r > mn | ʊm-(마시다) + ran(3인칭 단수 현재-미래 직설형) → ʊmnan [ʊmnan] (그는 마신다.) | #### 3. 융합동화 | 1 | n+w > nm > mm | mʊrɪn(말) + wa(대격) → mʊrɪnma [mʊrɪmma] (말을) | | 2 | b+r > bt > pt |ʤəb-(먹다) + rən(3인칭 단수 현재-미래 직설형) → ʤəbtən [ʧəphthən] (그는 먹는다.) | | 3 | g+r > gt > kt | ʊg-(타다) + ran(3인칭 단수 현재-미래 직설형) → ʊgtan [ʊkhthan] (그는 탄다.) | ### 자음 위치 전환 | k+w > kp > pk | ʤuuduk(집에서) + wi(재귀소유인칭표지) → ʤuudukwi [ʧu:tuphkhi](자기 집에서) | ### 음운 융합 ‘모음 + ɣ + 모음’이 장모음으로 융합된다. | əməgəl(안장) | [əməɣəɚ] > [əmɐ:ɚ] | | təgəkə(네가 앉아라.) | [thəɣəkhəɚ] > [thə:khəɚ] | | mɔgɔrɔn(고생하다) | [mɔɣɔrɔn] > [mɔ:rɔn] | | bʊgalaa(곳에서) | [pʊɣalaː] > [pɔ:la:] | | nʊganɪn(그 사람) | [nʊɣanɪn] > [nɔ:nɪn] |
doc/oroqen/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4 12:13 저자
kalina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