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ossetic
»
4_ss
»
41_cl : 절(clause)
»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추적:
doc:ossetic:4_ss:41_cl:cl_coreagr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 주어와 술어의 일치 술어는 주어와 인칭, 수 일치를 보인다. 그러나 주어가 복수의 의미를 지닌 집합명사인 경우, 문법적으로는 단수여도 술어는 복수형 어미를 쓴다. {{{eg>osse1243 (Isaev1966:251) Фос ра-цӕу-ынц cattle.NOM.SG PFV-go-PRS.3PL 가축떼가 간다 }}} 주어가 복수형이지만 비한정적대상을 지닌 경우에는 술어를 단수로 쓸 수 있다. {{{eg>osse1243 (Isaev1966:251) Кӕрт-ы сывӕллӕт-тӕ хъаз-ы yard-INE.SG child-PL.NOM play-PRS.3SG 마당에서 아이들이 놀고있다 }}} ### 직접 목적어 표지 {{{eg>osse1243 (Isaev1966:251) Фӕрӕт-ӕй фад-ы суг ax-ABL chop-PRS.3SG firewood.NOM 그는 도끼로 장작를 벤다 }}} 위 문장에서 직접목적어인 {суг}는 무정명사이자 비한정 대상을 가리키므로 무표적인 주격을 썼다. 직접목적어가 유정명사 또는 한정적인 대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속격을 쓴다. {{{eg>osse1243 (Isaev1966:251) Фыд йӕ чыздж-ы йӕ хъӕбысы ныккод-та father.NOM PRON.3SG.GEN daughter-GEN.SG PRON.3SG.GEN UNK hug-PST.TR.3SG 아버지는 자신의 딸을 안았다 }}} {{{eg>osse1243 (Isaev1966:251) Уӕддӕр уы-цы бӕлас-ы афӕлдӕх-той UNK.all DIST-INT.PTCL tree-GEN.SG bring.down-PST.TR.3PL 그들은 저 나무를 쓰러뜨렸다 }}}
doc/ossetic/4_ss/41_cl/cl_coreagr.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7/23 06:10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