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ossetic
»
4_ss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추적:
•
val_recp : 상호태 (reciprocal voice)
doc:ossetic:4_ss:45_wo:45_wo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오세트어에서 고정된 어순 관련 규칙은 아래와 같다. (이하 어순의 내용은 Abaev 1970:712) - 수식어가 피수식어를 선행한다 - 후치사는 피수식어 뒤에 온다 - 전접어(enclitic)은 어구의 첫 단어에 붙는다 위의 경우를 제외하면 오세트어의 어순은 비교적 자유롭다. 아래는 어순의 법칙이 아닌 경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 주어부가 술부 앞에 오는 경향이 있다 - 부사구나 목적어는 술어 앞에 오는 경향이 있다. - 일반적인 시간이나 장소에 관련된 부사구는 문장 앞에 오는 경향이 있다 {{{eg>osse1243 (Abaev1970:712) Иухатт зӕронд Уырызмӕг нарт-ы ныхас-ы иунӕгӕй дур-ыл рӕдзӕ-мӕдзӕ кодта once.ADV old Urizmag Nart-GEN square-GEN UNK stone-ELA alone-alone doze.UNK 어느날 노년의 우리즈막(오세트 서사문학의 영웅)이 나르트 광장에서 혼자 돌 위에서 졸고 있었다 }}} {{{eg>osse1243 (Isaev1966:252) ӕвзонг хохаг лӕппу хъӕлдзӕг-ӕй ра-уад-∅ йе мбӕлтт-ӕм young.ADJ mountain.ADJ youth happiness-ABL UNK.PFV-run-PST.3SG POSS.PRON.3SG comrade-ALL.PL 젊은 산악 청년이 즐겁게 자신의 동무들에게 뛰어나갔다 }}} 그 외에 어순은 뉘앙스를 표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어서, 문장의 logical stress를 가진 단어가 문장의 끝이나 때로는 제일 앞에 올 수 있다.
doc/ossetic/4_ss/45_wo/45_w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2/01 15:40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