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pumi
»
2_wordclass
»
36_ptcl : 첨사(particle)
추적:
doc:pumi:2_wordclass:36_ptcl:36_ptcl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36_ptcl : 첨사(particle) - 푸미어의 조사는 수를 나타내는 보조사, 구조 조사, 어기 조사 등이 있다. 수를 나타내는 조사는 이미 명사 부분에서 다루었고 여기서 문장 구조와 관련 있는 구조 조사와 어기 조사만 다룬다. ### (1) 구조 조사 - 구조 조사는 단어나 구 뒤에 있고 단어나 문장 성분 사이의 여러 관계를 나타낸다. 구조 조사는 문법 기능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 ① 한정 조사 - 소유와 한정의 의미를 나타내고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있다. 단수는 [gA55]로, 복수는 [z`A55]로 표시된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lAu13s@55 gA55 dZ@13dZ@13] teacher PTCL book 선생님의 책. }}} {{{eg>pumi1242 (lushaozun2009:563) [s`E55yE~55 z`A55 pa13z`A13] commune.member PTCL food 사원들의 식량. }}} #### ② 행위주 조사 -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있고 단수는 [gue55iE13], 복수는 [z`ue55iE13]로 표시되는데 주로 동작의 행위주를 나타낸다. 다음과 같은 경우일 때만 행위주 보조사가 삽입된다. - 문장 안에 이중 목적어가 있을 때 주어 뒤에 행위주 조사가 삽입된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lAu12s@55 gue55iE13 E55 ts\i55 dZ@13dZ@13 ti13 pu13 d@13-k_huE~13-si55]. teacher PTCL 1SG PTCL book one CL the.same-give-PST 선생님이 나에게 책 한 권 줬다. }}} - 피동주가 동물 명사일 때 주어 뒤에 행위주 조사가 삽입된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diE~13miA13 z`ue55iE13 stS@55 ni13 t_h@13-sE13-si55]. militia PTCL muntjac two opposite-kill-PST 민병대가 문자크 두 마리를 죽였다. }}} - 주어가 행위주인 것을 강조할 때 행위주 조사가 삽입된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lAu13s@ gue55iE13 dZ13dZ13 dz`y13-z`Mu55]. teacher PTCL letter write-PRS 선생님이 편지를 쓰고 있다. }}} - 또한, 행위주 조사가 어떤 동작을 할 때 이용되는 도구를 나타낼 수 있다. #### ③ 피동주 조사 - 단수는 [ts\i55], 복수는 [bie55]로 표시된다. 주로 인칭 명사와 기타 동물 명사나 대명사 뒤에 쓰고 동작의 대상이나 동작의 수혜자를 나타낸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s\o13sE55 z`ue55iE13 laU13S@55 ts\i55 dZ13dZ13 ti13 pu13 d@13-k_huE~13-si55]. student PTCL teacher PTCL letter one CL the.same-give-PST 학생들이 선생님에게 편지 한 통 주었다. }}} #### ④ 장소 조사 - 사물이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보조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Gu13] -속/안에 있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tS@55 Gu13 dZ@55 Z255]. river PTCL fish EXIST 강 속에 물고기가 있다. }}} [k_hu13] -정상에 있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sGo55 k_hu13 siE~13sbo~55 diA~u55] mountain PTCL tree EXIST 산 정상에 나무가 있다. }}} [to55] -위에 있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3) [tSA55 to55 sgiA~u13 diA~u55]. ground PTCL grass EXIST 땅 위에 풀이 있다. }}} [po55] -밑에 있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4) [tSA55 po55 tS@55 kui55] ground PTCL water EXIST 땅 밑에 물이 있다. }}} - 행동, 동작의 출처를 나타내는 조사로는 [nA~u13]이 있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4) [pE13ts\i~55 nA~u13 kue55si55ts\_hy55]. Beijing PTCL Hexi.District 북경에서 허시취(河西區)까지. }}} #### ⑤ 비교 조사 - 비교 보조사로는 [to55]가 있는데 사물 명칭 뒤에 삽입됨으로써 비교를 삼는 대상을 나타낸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4) [s\o13sE~55 to55 lAu13s@55 sgyE~55]. student PTCL teacher tall 학생이 선생님보다 키가 크다. }}} #### ⑥ 지정 조사 - 지정 조사로는 [gM13]만 있다. - [gM13]이 항상 판단문에서 쓰이고 명사나 대명사 뒤에 쓰이고 주로 판단의 대상을 지정하거나 강조하는 것을 나타낸다. {{{eg>pumi1242 (lushaozun2009:564) [di13 dZ@13dZ@13 nE13 gM13 diMu13]. that book 2SG PTCL EXIST 그 책이 네 책이다. }}} ### (2) 어기 조사 - 어기 조사는 보통 문장 끝에 쓰이고 여러 다른 말투를 나타낸다. 주로 다음과 같은 어기 조사가 있다. #### ① [mA13] 의문 {{{eg>pumi1242 (lushaozun2009:564) [t@55gM55 pE13ts\i~55 nA~u13 x@13-Z@13-si55 mA13]? 3SG Beijing PTCL inwards-come-PST Q 그는 북경에서 왔습니까? }}} #### ② [diA13] 추측 {{{eg>pumi1242 (lushaozun2009:564) [tE13 m755 qo13 dZA~u13-z`Mu55, siA~13 spy55 tS_hA~u55 diA13]! now weather very cloudy-PRS tomorrow snow fall INTERJ 지금 날씨가 아주 흐려서 내일 눈이 오려나 봐요! }}} #### ③ [ku15] 명령 {{{eg>pumi1242 (lushaozun2009:564) [dZM13 t_hiE~55 ku55]! tea drink IMP 차 드세요! }}} #### ④ [mo13] 감탄 {{{eg>pumi1242 (lushaozun2009:564) [tS@55 Gu13 qo13 xai55 mo13]! water PTCL very deep INTERJ 물이 깊구나! }}} #### ⑤ [A13] 반문 {{{eg>pumi1242 (lushaozun2009:564) [E55 k_h@13-to~55-sa~55, nE13 mi55 stu55 A13]? 1SG outwards-see-PST 2SG INF see Q 나는 봤는데, 너는 못 봤어? }}}
doc/pumi/2_wordclass/36_ptcl/36_ptc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2/28 16:53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