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pumi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tame_tense : 시제 (tense)
추적:
•
val_pass : 피동 (passive)
•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
val_refl : 재귀태 (reflexive voice) : 0% :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doc:pumi:4_ss:48_tame:tame_tense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tame_tense : 시제 (tense) - 푸미어의 시제는 미래시제, 현재시제, 과거시제로 나뉜다. 시제는 어떤 성분을 추가하는 것과 동사 어근의 굴절 변화로 표시된다. ### ① 미래시제와 현재시제 - 동사 뒤에 다른 성분이 추가되고 어근에 변화가 없다. - 동사 뒤에 [Se55]가 추가되면 동작을 곧 시작한다는 것과 1인칭 단수를 나타낸다. - 동사 뒤에 [ʐu@~55]가 추가되면 동작을 하고 있다는 것과 1, 2인칭의 복수를 나타낸다. - 제3인칭의 동사는 시제를 구분하는 추가 성분만 있고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다. - 제1인칭과 제2인칭의 복수 형태가 동일하다. [dz@55] 먹다 | 수 | 인칭 | 미래시제 | 현재시제 | 과거시제 | | 단수 | 1 | [dz@55Se55] | [dz@55z`o~55] | [k_h@13dziE~55sa~55] | | 단수 | 2 | [dz@55So55] | [dz@55z`u55] | [k_h@13dziMu55si55] | | 단수 | 3 | [dz@55qa55] | [dz@55z`Mu55] | [k_h@13dzy55si55] | | 복수 | 1 | [dz@55S@~55] | [dz@55z`u@~55] | [k_h@13dzi~55si55] | | 복수 | 2 | [dz@55S@~55] | [dz@55z`u@~55] | [k_h@13dzi~55si55] | | 복수 | 3 | [dz@55qa55] | [dz@55z`Mu55] | [k_h@13dzy55si55] | ### ② 과거시제 - 1인칭 단수 동사 뒤에 [sa~55]가 추가되고 나머지 경우일 때 동사 뒤에 [si55]가 추가될 뿐만 아니라 어근 자체도 굴절 변화가 일어난다. {{{eg>pumi1242 (lushaozun2009:552) [E55 dzi55 k_h@13-dziE~55-sa~55.] 1SG meal outwards-eat-PST 나는 밥을 먹었다. }}} {{{eg>pumi1242 (lushaozun2009:552) [nE13 Z`@55 dzi55 k_h@13-dziMu55-si55.] 2SG too meal outwards-eat-PST 너도 밥을 먹었다. }}} - 푸미어의 동사가 과제시제일 때 동사 앞에 어떤 성분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어근 자체도 굴절 변화가 일어난다. | 원래 단모음 | 변화된 모음 |||||| | 인칭 | 1 || 2 || 3 || | 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i] | [i] | [i~] | [Mu] | [i~] | [iu] | [iu] | | [y] | [o] | [u@~] | [u] | [u@~] | [ua] | [ua] | | [2] | [io] | [y@~] | [iu] | [y@~] | [ua] | [ua] | | [E] | [E] | [E] | [E] | [E] | [uE] | [uE] | | [@] |[iE~][E~]| [i~]| [iMu] | [i~] | [y] | [y] | | [A] | [A] | [yE~] | [u] | [yE~] | [A] | [A] | | [o] | [o] | [yE~] | [u] | [yE~] | [o] | [o] | | [7] | [7] | [@~] | [Mu] | [@~] | [y] | [y] | | [M] | [M] | [@~] | [Mu] | [@~] | [u] | [u] | - 동사의 모음이 [i], [@]일 때는 위 표에 따라 변화하는데 예외적인 단어가 있다. - [ni13](듣다)라는 동사가 과거시제일 때 1인칭 단수가 [nA~U13]로 바뀌고 복수에 변화가 없다. - 2인칭 단수일 때 [NIaU13]로 바뀌고 다른 인칭일 때는 위 표와 같은 변화를 가진다. {{{eg>pumi1242 (lushaozun2009:553) [E55 pAu13kAu55 ts\i55 t_h@13-nA~u13-sa~55.] 1SG report PTCL opposite-listen-PST 나는 리포트를 들었다. }}} {{{eg>pumi1242 (lushaozun2009:553) [nE13 z`@55 pAu13kAu55 ts\i55 t_h@13-niAu13-si55.] 2SG too report PTCL opposite-listen-PST 너도 리포트를 들었다. }}} - 푸미어 동사의 과거시제는 주로 동사 자체의 굴절 변화와 추가 성분으로 표현되지만 앞에 이동성을 나타내는 성분이 추가될 때 해당 성분이 과거지제를 나타내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앞에 있는 동사가 타동사일 때 더욱 그렇다. {{{eg>pumi1242 (lushaozun2009:553) [E55 dzi55 k_h@13-dziE~55-sa~55.] 1SG meal outwards-eat-PST 나는 밥을 먹었다. }}} {{{eg>pumi1242 (lushaozun2009:553) [t@55gM55 jE13 dzi55 k_h@13-dzy55-si55.] 2SG too meal outwards-eat-PST 너도 밥을 먹었다. }}}
doc/pumi/4_ss/48_tame/tame_tens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2/28 17:57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