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qiang
»
2_wordclass
»
27_num : 수사 (numeral)
추적:
•
61_clink : 접속 (clause linking)
•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
23_verb : 동사 (verb)
•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
wform_redup : 중첩(reduplication)
•
04_genetic : 계통 (genetic affiliation, genealogy)
doc:qiang:2_wordclass:27_num:27_num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7_num : 수사 (numeral) 창어의 수사는 크게 기수사와 서수사와 분류된다. ### (1) 기수사 #### 1) 한 자릿수 - [a31] 1 - [J_+_0i55] 2 - [ts_hi55] 3 - [dZɿ33] 4 - [RuA33] 5 - [Xts`u33] 6 - [s\iN33] 7 - [ts`_he33] 8 - [Xgu@33] 9 #### 2) 두 자릿수 10~19는 접두사 [XA31]를 어근에 부가하여 구성된다. 즉, 다음과 같다. - [XA31dy33] 10 - [XA31tSɿ33] 11 - [XA31J_+_0i33] 12 20~90은 어근에 접미사 [sA33]를 부가하여 구성된다. 즉, 다음과 같다. - [ts_hi31sA33] 30 - [dzɿ31sA33] 40 #### 3) 분수와 배수 표현법 - 분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eg>qian1264 (sunhongkai2006:351) [dZɿ33 Xdz`o33 Xte55 a31 Xdz`o33] four divide in one divide 4분의 1 }}} - 배수는 수사에 [ts\_ha55] ‘배’를 나타내는 성분을 부가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ts_hi55ts\_ha55] 3배 #### 4) 복합수사 - ‘백’, ‘천’, ‘만’은 모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수사 ‘1’과 결합해야만 쓰일 수 있다. 이것은 한어의 경우와 동일하다. [a31ts`_hi] 일백, [a31Xto55] 일천 - 여러 자릿수를 표현할 때는 중간에 [na33] ‘와/과’를 삽입하여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eg>qian1264 (sunhongkai2006:352) [ts_hi31sA33 na33 RuA33] thirty and five 삼십오(35) }}} {{{eg>qian1264 (sunhongkai2006:352) [a31ts`_hi55 na33 XA31dy33 na33 a31] onehundred and ten and one 백십일(111) }}} ### (2) 서수사 - 창어의 서수사는 모두 한어에서 차용된 것 음력의 날짜를 계산할 때만 창어 고유의 방식으로 나타낸다. 즉, 수사의 뒤에 [ts\y33]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ts\y33]는 한어의 ‘초하루(初)’의 ‘초(初)’에 해당하며 어순은 반대이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ts\y31ts\y33] 음력 초하루, - [J_+_0i55ts\y33] 음력 초 이튿날.
doc/qiang/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6:30 저자
박성하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