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qiang
»
8_lexicology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추적: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doc:qiang: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 연합관계 -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pi55](아버지)' + '[ma55](어머니)' → '[pi55ma55](부모)' ##### 수식관계 (1) 피수식어가 수식어 뒤에 오는 경우 - 대부분 명사와 명사 사이의 합성으로 형성된다. - 그리고 일부분은 지시대명사와 양사 혹은 수사와 양사 간 복합으로 형성된다. - 용언과 명사의 복합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드물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z`A55](가죽)' + '[phu55](옷)' → '[z`A55phu55](가죽옷)' '[tsɿ31](이)' + '[p@33](해)' → '[tsɿ31p@33](올해)' '[Xo55](사냥하다)' + '[khu@55](개)' → '[Xo55khu@55](사냥개) (2)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오는 경우 - 명사와 성질, 상태를 나타내는 용언의 합성으로 형성된다. - 이러한 방식으로 합성된 단어는 모두 명사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Nu33](암소)' + '[Xa33](야생)' → '[Nu33Xa33](야생소)' ##### 서술관계 - 서술관계 합성사는 대부분 심리활동을 나타내는 용언이다. - 그 중 대부분은 '[Xtie33m@33](마음)'의 축소형식과 성질상태 용언과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Xtie55](마음)' + '[nA33](좋다)' → '[Xtie55nA33](즐겁다)’ ##### 지배관계 - 지배관계 합성사는 많지 않다. - 대부분은 명사에 동작 용언이 더해져서 형성된다. - 소수는 다른 품사와 동작 용언이 더해져서 형성된다. '[pa33](돼지)' + '[khye55](굽다, 훈제하다)' → '[pa33khye55](절여 말린 돼지고기)' ##### 보충관계 - 보충관계 합성사 중 어떤 것은 용언이 보조용언을 대동하여 합성사를 형성한다. - 그리고 어떤 것은 명사가 양사를 대동하여 합성사를 형성한다. '[dz\e241](날다)' + '[qe33](가다, 가능하다)' → '[dz\e241qe33](날개)' '[qh@31](쌀)' + '[Xgy33](개)' → '[qh@31Xgy33](쌀알)'
doc/qiang/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6:40 저자
박성하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