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sui
»
2_wordclass
»
22_noun : 명사 (noun)
추적:
doc:sui:2_wordclass:22_noun:22_noun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2_noun : 명사 (noun) - 수이어의 명사는 일반명사, 시간명사, 장소명사, 방위명사의 4가지 종류가 있다. ### 명사의 주요 특징 #### (1) 사물의 유형구별 사물의 유형을 구별할 때, 일반명사는 해당되는 양사를 써서 나타낸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0) [to2 kui2] CL buffalo 물소 }}} #### (2) 명사의 성 -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 앞에 각기 다른 양사를 써서 다른 성별을 나타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ni4는 여성을 나타내는 양사이고, ai3은 남성 혹은 범칭의 사람을 나타내는 양사이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1) [ɣa2 ni4 miu1] two CL miaonationality 두 명의 묘족 여성 }}} {{{eg>suii1243 (zhangjunru1980:31) [haːm1 ai3 zən1] three CL people 세 명의 사람 }}} - 동물의 성별을 나타낼 때는 접두사 ni4(암컷), tak5(수컷)등을 일반적으로 그것들을 수식하는 명사의 앞에 부가시킨다. - 일부 지역에서는 명사의 뒤에 위치시키기도 하며, 의미는 동일하다. - 이들은 양사로 쓰일 수 없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1) [ɕi5 to2 tak8-kui2] four CL MASC-buffalo 네 마리의 물소 }}} {{{eg>suii1243 (zhangjunru1980:31) [ɣa2 to2 ni4-fa2 naːi6] two CL FEM-sheep this 이 두 마리의 암컷 양 }}} - 그러나 일부 단어에서는 성별을 나타내는 성분이 반드시 명사의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접미사로 처리해야 한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1) [m̥u5-pui1] pig-MASC 수컷돼지 }}} #### (3) 명사의 수 표현 - 일반명사는 수량구의 수식을 받을 수 있으나, 기수사의 수식을 직접 받을 수는 없다. - 그러나 친족명칭 등의 명사는 직접 기수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또한 뒤에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의 수식을 받을 수도 있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1) [ti3 sum5 dwa1] one CL salt 한 꼬집의 소금 }}} {{{eg>suii1243 (zhangjunru1980:31) [luŋ2 haːm1] uncle three 세 번째 큰아버지 }}} #### (4) 명사, 대사, 술어의 수식 일반명사는 명사, 대사, 술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2) [kai5 qaːi5] egg chicken 계란 }}} {{{eg>suii1243 (zhangjunru1980:32) [ep7 ndiu1] duck 1PL 우리들의 오리 }}} {{{eg>suii1243 (zhangjunru1980:32) [zən1 daːi1] people good 좋은 사람 }}} {{{eg>suii1243 (zhangjunru1980:32) [nam3 pjaːu6] water boiling 끓인 물 }}} #### (5) 방위명사 - 방위명사는 수사, 양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AA4+tsa5(那, 저것)'의 방식으로 중첩하여, '진일보'의 의미를 나타낸다. - 방위명사는 장소명사 'ʔwaːŋ5'와 결합할 수 있고,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2) [te3te4 tsa5] lower~ that 저기 가장 아래쪽 }}} #### (6) 명사중첩 - 명사 중첩 현상은 흔하지 않다. - [tsap8 mu2](每山)으로 나타내고, [nu2nu2](山山)으로 나타내는 경우는 많지 않다. #### (7) 시간명사 - '年', '月', '日'등은 양사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므로, 직접 수사 및 지시대체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시간명사는 문장에서 부사어와 관형어로 쓰인다. - 수이족은 농촌에서 주로 수이족달력(水历)을 사용하는데, 음력과 비교해보면 월의 순서가 다르다. - 九(1월), 十(2월), 十一(3월), 十二(4월), 正(5월), 二(6월), 三(7월), 四(8월), 五(9월), 六(10월), 七(11월), 八(12월) - 에를 들어, 음력 9월은 수이어로 [njen2-tsjeŋ1]이다. #### (8) 장소명사 - 수이어의 장소명사는 수사, 지시대체사, 방위명사, 일부 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eg>suii1243 (Zhangjunru1980:33) [tsap8 ⁿdjoŋ3] each place 곳곳에 }}}
doc/sui/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2 17:00 저자
박성하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