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tatar-cn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추적:
doc:tatar-cn:4_ss:48_tame:48_tame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1) 동사의 시제 ####1) 과거시제 - 과거 시제 표지는 발화시 이전에 동작이 이미 완료되었거나 변화가 이미 일어남을 나타낸다. - 동사 어간에 과거 시제 표지 -də/-dɨ/-tə/-tɨ를 붙고 그 들 뒤에 다시 체계 2에 속한 인칭 표지를 붙는다. - -də/-dɨ는 모음 혹은 유성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뒤에 붙는다. - -tə/-tɨ는 무성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붙는다. - ɑʃɑ-: eat {{{eg>tata1255 (chenzongzhen2008:567) ɑʃɑ-də-m. eat-PST-1SG 나는 먹었다. }}} {{{eg>tata1255 (chenzongzhen2008:567) ɑʃɑ-də-q. eat-PST-1PL 우리는 먹었다. }}} - 태 표지가 따로 없을 경우 부정 표지가 동사 어간에 바로 붙고 그 다음에 시제표지가 붙으며 마지막으로 인칭 표지가 붙는다. {{{eg>tata1255 (chenzongzhen2008:567) kør-mɛ-dɨ-ɡiz. look-NEG-PST-2PL(2SG) 너희들(당신)은 보지 않았다. }}} ####2) 현재-미래시제 - 현재-미래시제 표지는 발화시에 동작이 진행되고 있는 것, 또는 앞으로 어떤 동작을 진행할 것임을 나타낸다. - 동사 어간에 표지 -ɑ/-ɛ/-j가 붙는다. 그들 뒤에 체계 1에 속한 인칭 표지가 붙는다. - -j는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모음이 만약에 ɑ, ɛ인 경우, 각각 ə, ɨ로 변함)에 붙는다. - -ɑ/-ɛ는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eg>tata1255 (chenzongzhen2008:568) ɑʃə-j-mən. eat-PRS.FUT-1SG 나는 먹어. (나는 먹을 거야) }}} - 이에 대한 부정문은 다음과 같다. {{{eg>tata1255 (chenzongzhen2008:568) ɑʃɑ-mə-j-mən. eat-NEG-PRS.FUT-1SG 나는 안 먹어. (나는 안 먹을 거야) }}} - 현재-미래시제는 습관적으로 진행되는 동작 또는 계속하여 존재하는 상황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 {{{eg>tata1255 (chenzongzhen2008:569) køz-lɛr-ɨm-nɨ tɑl-dər-ɑ! eye-PL-1SG.POSS-ACC tire-CAUS-PRS.FUT 그것은 나의 눈을 피곤하게 하곤 한다. }}} ###(2) 서법 ####1) 가정법 - 동사 뒤에 가정 표지 -sɑ/-sɛ를 부가한 후 체계 2의 인칭 표지를 부가함으로써 나타난다. - ɑʃɑ:먹다 + -sɑ:ASSUM + -m: 1SG: ɑʃɑsɑm: 내가 먹으면/먹는다면 - ɑʃɑ:먹다 + -sɑ:ASSUM + -ŋ: 2SG: ɑʃɑsɑŋ: 네가 먹으면/먹는다면 - ɑʃɑ:먹다 + -sɑ:ASSUM + -Ø: 3SG ɑʃɑsɑ: 그가 먹으면/먹는다면 #### 가정법에 대한 부정 - 동사 어간 뒤에 우선 부정 표지 -mɑ/-mɛ가 붙은 후 가정법 표지 -sɑ/-sɛ가 붙으며 체계2에 속한 인칭 표지가 마지막으로 붙는다. - bar-: 가다 + -ma:NEG + -sɑ: ASSUM + -m:1SG -> barmasɑm: 내가 안 가면/내가 안 간다면 - bar-: 가다 + -ma: NEG + -sɑ:ASSUM + -ŋ: 2SG -> barmasɑŋ: 네가 안 가면/네가 안 간다면 {{{eg>tata1255 (chenzongzhen2008:568) bɑlɑ dʒijlɑ-mɑ-sɑ, ɑnɑ syt bir-mɨ-j. child cry-NEG-ASSUM mother milk give-NEG-PRS.FUT 아이가 울지 않으면 엄마가 젖을 먹이지 않는다(먹이지 않을 것이다). }}} ####2) 祈使법(명령법) - 1인칭 祈使법(명령법) 표지는 주로 상대방과 상의, 상대방에게 문의, 또는 호소하는 의미를 나타낸다. - 2인칭 祈使법(명령법) 표지는 주로 명령, 요청, 청구의 의미를 나타낸다. - 3인칭 祈使법(명령법) 표지는 주로 바람, 허락의 의미를 나타낸다. ####1) 노년층에 쓰이는 명령법 표지의 체계 | |SG|PL| |1|-jm/əjm/-ɨjm|-jq/-jk/-əjq/-ɨjk| |2|Ø|-ʁəz/-ɡɨz/-əʁəz/-ɨɡɨz| |3|-sən/sɨn|-sən/-sɨn 또는 sənnɑr/-sɨnnɛr| - 2인칭 복수형이 2인칭 단수로 쓰일 때 존대를 나타낸다. - 모음으로 시작한 표지는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근 뒤에 붙고 자음으로 시작한 표지는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붙는다. - 동사 어간이 모음 ɑ, ɛ로 끝날 경우, j로 시작한 표지를 붙기 전에 모음이 각각 먼저 ə와 ɨ로 변한다. - dʒərlɑ-: 부르다 - dʒərlɑ-: 부르다 + -jm: 1SG.IMP -> dʒərləjm: 내가 (노래를) 부른다. - dʒərlɑ-: 부르다 + -Ø: 2SG.IMP -> dʒərlɑ: 네가 (노래를) 불러라! ##### 祈使법(명령법)에 대한 부정 - 동사 어간 뒤에 부정 표지 -mɑ/-mɛ를 붙인 후 앞에 제시한 표지들을 붙인다. - 1인칭에 쓰이는 부정 표지의 모음 ɑ와 ɛ는 각각 ə와 ɨ로 변한다. - syjlɛ-:말하다 - syjlɛ-: 말하다 + -mɨ: NEG + -jm:1SG.IMP -> syjlɛmɨjm: 나는 말하지 않는다. - syjlɛ-: 말하다 + -mɛ: NEG + -Ø:2SG.IMP -> syjlɛmɛ: 너는 말하지 말아. ####1) 젊은 층에 쓰이는 명령법 표지의 체계 | |SG|PL| |1|-jm/-əjm/-ɨjm|-jq/-jk/-əjq/-ɨjk| |2(일반형)|Ø 또는 -ŋ/-əŋ/-ɨŋ|-ŋlɑr/-ŋlɛr/-əŋlɑr/-ɨŋlɛr| |2(존대형)|-ŋəz/-ŋɨz/-əŋəz/-ɨŋɨz|-ŋəzlɑr/-ŋɨzlɛr/-əŋəzlɑr/-ɨŋɨzlɛr| |3|-sən/sɨn|-sən/-sɨn 또는 sənlɑr/-sɨnlɛr| - 모음으로 시작한 표지는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근 뒤에 붙고 자음으로 시작한 표지는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붙는다. - 동사 어간이 모음 ɑ, ɛ로 끝날 경우, j로 시작한 표지가 붙을 때 모음이 각각 먼저 ə와 ɨ로 변한다. - 동사 어간이 모음 ɑ, ɛ로 끝날 경우, j로 시작한 표지가 붙을 때 모음이 각각 먼저 ə와 ɨ로 변한다. - ɑl-:가지다 - ɑl: 가지다 + -əjm: 1SG.IMP -> ɑləjm: 내가 가진다. - ɑl: 가지다 + -əjq: 1PL.IMP -> ɑləjq: 우리가 가진다. - ɑl: 가지다 + -Ø: 2SG.IMP -> ɑl: 네가 가져라. - ɑl: 가지다 + -əŋəz: 2SG(존대).IMP -> ɑləŋəz: 당신이 가져라. ##### 부정 - 동사 어간 뒤에 부정 표지 -mɑ/-mɛ를 붙인 후 앞에 제시한 표지들을 붙인다. - 동사 어간이 모음 ɑ, ɛ로 끝날 경우, j로 시작한 표지가 붙을 때 모음이 각각 먼저 ə와 ɨ로 변한다. - ojnɑ-: 놀다 - ojnɑ-:놀다 + -mə:NEG + -jm:1SG.IMP -> ojnɑməjm: 나는 놀지 말자. - ojnɑ-:놀다 + -mə:NEG + -jq:1PL.IMP -> ojnɑməjq: 우리가 놀지 말자. - ojnɑ-:놀다 + -mɑ:NEG + -ŋəz:2SG(존대).IMP -> ojnɑmɑŋəz: 당신이 놀지 말아요. - ɛjt-: 말하다 - ɛjt-:말하다 + -mɨ:NEG + -jm: 1SG.IMP -> ɛjtmɨjm: 내가 말하지 말자. - 동사 어간이 모음이 ɑ, ɛ로 끝날 경우, 1인칭 명령형의 형식은 그 동사들의 1인칭 현재-미래 시제의 단축형과 같다. - bɑʃlɑ: 시작하다 - bɑʃlɑ-: 시작하다 + -jm:1SG.IMP -> bɑʃləjm: 내가 시작하자. - bɑʃlɑ-: 시작하다 + -j: PRS.FUT + -m:1SG -> bɑʃləjm: 내가 시작한다. - 그에 대한 부정형도 마찬가지이다. - bɑʃlɑ-: 시작하다 + mə: NEG -> -jm: 1SG.IMP -> bɑʃləməjm:나는 시작하지 말자. - bɑʃlɑ-: 시작하다 + mə: NEG -> -j: PRS.FUT + -m:1SG -> bɑʃləməjm:나는 시작하지 않는다. - 따라서 일부 사람들이 구어에서 명령법 표지의 자음 m을 n로 바꿔서 양자를 구분한다. - bɑʃlɑ-: 시작하다 + -jn:1SG.IMP -> bɑʃləjn: 내가 시작하자. - bɑʃlɑ-: 시작하다 + -j:PRS.FUT + -m: 1SG -> bɑʃləjm: 내가 시작한다. 내가 시작할 것이다.
doc/tatar-cn/4_ss/48_tame/48_tam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2:40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