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tuva
»
0_general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추적: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doc:tuva: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 방언 분류와 사용 지역 - 서부방언 : 바룬-헴칙(Barun-Khemchikskiy), 바이-타이가(Bay-Tayginskiy) 몬군-타이가(Mongun-Tayginskiy) 구 - 동북방언 : 토주(Todzhinskiy) 구, 피이-헴 구 일부 - 동남방언 : 탄디(Tandinskiy), 테스-헴(Tes-Khemskiy), 에르진(Erzinskiy) - 중부방언 : 준-헴칙(Dzyn-Khemchikskiy), 오뷰르(Ovyurskiy), 숫-홀(Sut-Khol'skiy), 울룩-헴(Ulug-Khemskiy), 피이-헴(Pay-Khemskiy) 구 ### 방언의 특징 #### 1) 서부방언의 특징 ###### 일부 대명사 어두 모음이 a가 됨 {{{lex>tuvi1240 (sat2005:119) - андыг : 그러한 (서부방언) & ындыг : 그러한 (표준어) }}} ###### 어두 н- 탈락 {{{lex>tuvi1240 (sat2005:119) - огаан : 초록의 (서부방언) & ногаан : 초록의 (표준어) }}} ###### 조건법의 복잡한 형태 {{{eg>tuvi1240 (sat2005:119) бардым изе UNK UNK 내가 간다면 (표준어 барзымза) }}} {{{eg>tuvi1240 (sat2005:119) борзым азе UNK UNK 내가 간다면 (표준어 барзымза) }}} {{{eg>tuvi1240 (sat2005:119) барзымзе UNK 내가 간다면 (표준어 барзымза) }}} #### 2) 동북방언의 특징 ###### 어두 й가 ч에 대응 {{{lex>tuvi1240 (sat2005:119) - йок : 아니오 (서부방언) & чок : 아니오 (표준어) }}} ###### 공통튀르크어 조건법 형태 {{{eg>tuvi1240 (sat2005:119) барзам UNK 내가 간다면 (표준어 барзымза) }}} ###### 향격의 특수한 형태 -гыды 와 변이형태소 {{{lex>tuvi1240 (sat2005:119) - хемгиди : 강으로 & хемче : 강으로 (표준어) }}} ###### 사슴목축, 사냥 관련 어휘, 동식물명의 풍부한 어휘 ###### 억양의 비음적 특징 #### 3) 동남방언의 특징 - 모음 사이 위치에서 무성음이 발음됨 - 일반 구어와 표준어에 포함되지 않은 몽골 어휘의 사용 #### 4) 중부방언 - 표준어의 기반이며. 대다수의 투바인이 사용한다. 표준어가 형성되기 전까지 방언간 소통의 매개 역할을 하였다.
doc/tuva/0_general/02_dialect/02_dialec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21 20:32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