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udmurt
»
1_phonology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추적: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doc:udmurt:1_phonology:13_supra:supra_stress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supra_stress : 강세 (stress) - 비교적 뒤늦게 차용된 러시아 외래어(러시아어의 강세 유지), 일부 동사, 대명사, 부사어를 제외하고 대부분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갖는다 - 강세가 있는 음절은 다른 음절에 비해 약 1.5배 더 길다 - 강세가 없는 모음이라도 축소되지는 않는다 - 강세로 문법적 의미가 구분되기도 한다: 직설법 현재시제 3인칭 단수 vs. 명령법 2인칭 복수(제 1 활용인 경우)/ 명령법 2인칭 단수(제 2활용인 경우) ###### 제 1활용 동사의 예 {{{eg>udmu1245 (Alatyrev1983:566) кошк-е́ leave-3SG.PRS 떠나다 }}} vs. {{{eg>udmu1245 (Alatyrev1983:566) ко́шк-е leave-IMP.2PL 떠나세요 }}} ###### 제 2활용 동사의 예 {{{eg>udmu1245 (Alatyrev1983:566) вера́-∅ speak-3SG.PRS 말하다 }}} vs. {{{eg>udmu1245 (Alatyrev1983:566) ве́ра-∅ speak-IMP.2SG 말하세요 }}} - 접두사 ог-, оло-, но-, коть- 를 지닌 대명사나 부사어; 대명사 ва́ньмы́ (we all), ва́ньды́ (you all), ва́ньзы́ (they all) 등은 화자의 강조점에 따라 정서적, 논리적 강세를 따라 아무 음절에나 강세 가능
doc/udmurt/1_phonology/13_supra/supra_stres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7 13:03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