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veps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추적: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doc:veps:4_ss:48_tame:48_tame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시제 - 시제는 현재, 과거 비완망상, 과거 완망상, 대과거로 나뉜다. - 현재 시제(또는 미래시제) 는 별도의 표지를 갖지 않는다. - 과거 비완망상은 표지 –i- 이다. (예: lug-i-n 나는 책을 읽었다.) - 과거 완망상과 대과거는 복합시제이며, 조동사 olda 와 함께 쓰인다. - 미래시제를 갖지 않는다. - 현재시제가 곧 미래 시제를 나타낸다. - 러시아어의 ‘확실한 미래’ 를 현재형으로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 과거 완망상 olen lugenu(나는 다 읽었다.) - 대과거 olin lugenu(오래전에 나는 읽었다.) - 직설법은 모든 시제가 표현되며, 조건법은 현재, 과거 완망상, 대과거만 나타난다. - 가정과 명령법은 현재형만 쓰인다. ### 현재시제 동사변화 | 1SG | -n | | 1PL | -m (-mei) | | 2SG | -d | | 2PL | -t(-tei) | | 3SG | -b | | 3PL | -tas, -das(-ba) | - 동사 말하다(sanuda) 의 현재시제 동사 변화 |1SG|sanu-n| |1PL|sanu-m| |2SG|sanu-d| |2PL|sanu-t| |3SG|sanu-b| |3PL|sanu-das| - 동사 내리다(отпускать) 의 현제시제 동사변화 |1SG|pästa-n| |1PL|pästa-m| |2SG|pästa-d| |2PL|pästa-t| |3SG|pästa-b| |3PL|päst-tas|
doc/veps/4_ss/48_tame/48_tam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4 23:08 저자
김희연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