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vot
»
0_general
»
02_dialect : 방언 (dialect)
추적:
doc:vot: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02_dialect : 방언 (dialect) ### 방언 분류와 사용 지역 - 서부보트방언 : 주로 마티야(Mattiya)(mati, maive)와 그 인근 마을, 루가(Luga) 강 하구의 루지치(Luzhitsy), 페스키(Peski), 크라콜리예(Krakoli'e), 메즈니키(Mezhniki) 마을. - 동부보트방언 : 이체피노(Itsepino)에만 보존. 사실상 단 한 사람의 화자. - 쿠로비차(Kurovitsa) 마을 방언(kukkuzi) (절멸) - 크레빈(krevin) 방언 (절멸) 본 자료(Языки народов СССР, 1966) 기술의 주요 바탕 : 서부보트방언. 코틀리(kattila) 마을의 방언 ### 방언의 특징 #### 1) 서부보트방언의 특징 ###### a. 크라콜리예와 인근 마을 - 비인칭 형태의 현재표지: 어간 모음에 붙는 요소 -ta: -ta: 또는 해당 단어의 제1 부정형의 단모음의 장모음화 - -ss(a), -ss()로 끝나는 재귀 동사가 사용됨 - 어말 모음 탈락/약화 현상이 잦음. ###### b. 마티야, 크라콜리예 마을과 그 인근 - 장모음 요소 앞의 단일자음은 겹자음이 된다. ###### c. 코틀리(Kotly) 마을, 폰딜로보(Pondilovo) 마을 인근 - 중고모음 e:, o:, o.. 이 이중모음화. #### 2) 동부보트방언의 특징 - 어말의 -G는 몇 가지 형태로 남아있음. - 어말의 -h는 많은 단어에 남아있음. tareh pereh - 어미 -n(1인칭 단수)은 사라짐. - 장모음 요소 앞의 단일자음은 겹자음이 됨. ###### 동부보트방언에만 있는 어휘 - akanuZ : 곡물창고 - uhlu : 양동이 - l'el'o : 꽃 - paime: : 목동
doc/vot/0_general/02_dialect/02_dialec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5 08:56 (바깥 편집)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