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yakut
»
1_phonology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추적:
doc:yakut: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 자음동화 ###### 순행동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мас : 나무 + -га : 위에 -> маска : 나무 위에 }}} ###### 역행동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таҕыс : 나가다 + -ыы : NMLZ -> тахсыы : 출구 }}} ###### 상호동사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ат : 말 + -бар : POSS.1SG.DAT (м : POSS.1SG, ҕар : DAT) -> аппар : 나의 말에게 }}} ###### 완전동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ат : 말 + -га : DAT -> акка : 말에게 }}} ###### 불완전동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мас : 나무 + -лар : PL -> мастар : 나무들 }}} ###### 음절간동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баҕана : 기둥 (표준어) & маңана : 기둥 (방언) }}} ###### 유성음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түөрт : 4 + -үс : ORDZ -> төрдүс : 넷째 }}} - sleptsov2005에 따르면 4 - төөрт ###### 무성음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таҕыс : 나가다 + -а : CVB -> тахса : 나가면서 }}} ### 음운 규칙이 아닌 전통에 따라 이루어지는 음운 교체 ###### 복수 표지 –лар의 음운변화 - 동사/명사에 따라 서로 다른 음운변화를 일으킨다. - -лар의 л은 –р로 끝나는 명사에 결합시 д로 교체된다: 이화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үөр : 떼 + -лар : PL -> үөрдэр : 떼, 무리 }}} - -лар의 л은 –р로 끝나는 분사에 결합시 동일한 음으로 교체된다.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көтөр : 새 + -лөр : PL -> көтөллөр : 새들 }}} - 따라서 같은 어근에서 파생된 단어도 서로 달라질 수 있다. {{{eg>yaku1245 (ubryatova1966:407) көт-өрдөр көтөл-лөр fly-3PL bird-PL 새들이 날아간다(확인요3인칭복수어미) }}} - 친족어, 나이, 사회적 신분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에서는 –лар의 어두 л는 т로 변화되고 어근의 마지막 음절 자음인 р와 н를 완전동화시킨다.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доҕор : + -лар : PL-> доҕоттор : 친구들 - хотун : 여주인 + -лар : PL -> хотуттар : 여주인들 - тойон : 주인 + -лар : PL -> тойоттор : 주인들 }}} - 복수를 만드는 이러한 방법은 다른 명사들에도 점차 적용된다. - орун(장소) 유형의 어간에서 모음으로 시작되는 접사가 첨가된 후 고모음이 탈락될 때 일어나는 자음동화는 명사류와 동사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 명사에서는 고모음이 탈락될 때, 어간말음 н은 선행공명음을 동화시킨다. 동사에서는 선행공명음이 후행음을 동화시키거나, 모음 탈락이 일어나지 않는다. 즉 동화과정이 문법 형태를 구별하는 또 하나의 수단이 되는 것이다. {{{lex>yaku1245 (ubryatova1966:407) - алын : 밑 + -а : UNK -> анна : 밑에 - алын- : 새다 + -ар : 3SG(확인요) -> аллар : (물) 샌다 - аалын- : 문지르다 + -ар : 3SG -> аалынар : 문지른다 }}} ### 자음탈락 - 어간의 마지막 자음과 인칭소유접사의 첫 자음의 경계에서는 어간과 접사가 합해지며 자음이 탈락한다. ###### 1) -к(-х), -м으로 끝나는 어간의 마지막 자음은 3인칭 단수 소유격 접사의 첫 자음과 합해진다. {{{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оһох + -ыгар : POSS.3SG.DAT -> оһоҕор : 그의 난로(DAT) - бум + -ыгар : POSS.3SG.DAT -> буомар : 그의 장애(DAT) }}} ###### 2) 마지막 자음군 лт, рт에서는 т가 탈락하고 접사의 첫 자음은 무성음화한다. {{{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бааһырт : 상처입다 + -быт : PTCP -> бааһырпыт : 상처입은 }}} ###### 3) 동사의 어간말음 й는 사동태 접사와 결합할 때 탈락한다. {{{lex>yaku1245 (ubryatova1966:406) - утуй- : 자다 + -т : CAUS -> утут- : 자게 하다 }}}
doc/yakut/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11:14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