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yami
»
2_wordclass
»
22_noun : 명사 (noun)
추적: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22_noun : 명사 (noun)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doc:yami:2_wordclass:22_noun:22_noun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22_noun : 명사 (noun) #### 개방적 부류의 명사 - 개방적 부류의 명사에는 흔히 붙는 접사들이 있다. a. '동반'의 의미를 나타내는 ka-: ka-kteh 형제자매, ka-vakes 여성 친구 b. 명사화소 ka-: ka-piapia(a tao) 예쁜 사람, ka-tavtava 뚱뚱한 모습, c. 명사를 파생하는 접사: ka-…-an: ka-soli-an 구고마 밭 구역 ### 명사의 격 표지 - 야미어의 격 표지 두 가지 체계가 있다. 人名이나 친족어 뒤에 붙는 격 표지와 일반 명사 뒤에 붙는 격 표지가 따로 있다. 두 체계는 다음과 같다. |명사의 격|人名/친족어의 격(SG)|人名/친족어의 격(PL)|일반 명사에 붙는 격| |NOM|si|sira|o| |GEN|ni|nira|no| |LOC|ji|jira|do| |OBJ|-|-|so| {{{eg>yami1254 (hedehua2018:85) ya mi-yakan so vinyay si Paloy. AUX AF-eat OBL meat NOM Paloy Paloy가 돼지고기를 먹고 있다. }}} {{{eg>yami1254 (hedehua2018:85) ya mi-yakan so vinyay si kanakan. AUX AF-eat OBL meat NOM child 아이가 돼지고기를 먹고 있다. }}} ###### 주격 표지와 야미족의 문화 - 야미어 사람의 이름은 장자/장녀의 출생에 따라 변화된다. - 가량 자식이 없을 때 si Paloy라고 하지만 장자나 장녀를 얻은 후 syaman Panakpen( ← si aman Panakpen) 'Panakpen의 아버지'로 바뀐다. 장손자/장손녀를 얻은 후 다시 syapen Tagaan( ← si apen Tagaan ) 'si Tagaan의 할아버지/할머니'로 바뀐다. ##### 격 표지 + mina의 용법 - 과거에 발생했던 일, 했던 말, 이미 돌아간 사람을 언급할 때 격 표지 뒤에 mina를 추가한다. 예컨대, si mina Paloy '죽은 si Paloy', o mina ciring na'그가 했던 말'은 그 예이다. ##### 격의 구체적인 사용 - 격 표지는 명사의 앞에 온다. - 동작주 초점이 쓰이는 문장에서 주격표지는 주어를 표기한다. - 비동작주 초점이 쓰이는 문장에서 주격표지는 피동작주를 표기한다. - 처소초점이 쓰이는 문장에서 주격표지는 처소/목표를 표기한다. - 도구초점이 쓰이는 문장에서 주격표지는 도구, 수혜자, 전송되는 대상, 원인을 나타낸다. {{{eg>yami1254 (hedehua2018:82) ya mi-tokzos si ama no paltog so among do wawa. AUX AF-shoot NOM father GEN spear.gun OBL fish LOC sea 아버지가 바다에서 수중총으로 물고기를 쏜다. }}} {{{eg>yami1254 (hedehua2018:82) na cita-en ni ama o vakong ni wari. 3SG.GEN look-PF GEN father NOM book GEN younger.brother 아버지가 남동생의 책을 보고 있다. }}} {{{eg>yami1254 (hedehua2018:83) na tokzos-an ni ama o vozaw ito. 3SG.GEN shoot-CF GEN father NOM wild.pig DIST 아버지가 그 멧돼지를 쏜다. }}} {{{eg>yami1254 (hedehua2018:83) na i-pi-tokzos ni ama o paltog so among. 3SG.GEN CF-CAUS-shoot GEN father NOM spear.gun OBL fish 아버지가 수중총으로 물고기를 쏜다. }}} {{{eg>yami1254 (hedehua2018:83) na i-pan-dengdeng si ina ni ama so mogis. 3SG.GEN CF-CAUS-cook NOM mother GEN father OBL rice 아버지가 어머니를 위해 밥을 짓고 있다. }}} {{{eg>yami1254 (hedehua2018:83) na i-toro o nizpi ni ama ji wari. 3SG.GEN CF-give NOM money GEN father LOC younger.brother 아버지가 남동생에게 돈을 준다. }}} ###### 두 종류 주격 표지의 용법 - NOM: 주격 표기로는 o, si, sira가 있다. 주격은 주어를 표기한다. 주어는 자동사의 동작주일 수도 있고 타동사의 피동작주, 처소, 도구일 수도 있다. - si/sira 뒤에 ama'아버지', ina'어머니'와 같은 친족어가 오고, 친족어 뒤에 인칭대명사가 오지 않은 경우, 이때 si ama, si ina, sira ina 같은 표현은 자동으로 '나의 아버지'와 '나의 어미니' 그리고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로 해석된다. - 친족어 뒤에 인칭대명사의 속격형이 올 수 있다. sira ina na(na: 3SG.GEN)가 그 예인데, 이때 이 표현의 의미는 '그의 부모'의 의미를 나타낸다. - 만약에 친족어 앞에 주격 표지로 si가 아니라 o를 사용한다면, 친족어 뒤에 인칭대명사가 반드시 추가 되고, 그래야 소유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로 o ina ko '나의 어머니가'가 있다. ###### 속격표지의 용법 - 사람의 이름 앞이나 친족어 앞에는 ni/nira, 일반 명사 앞에는 no를 사용한다. - 소유자를 표기한 이외에 타동사의 동작주를 표기한다. - 非동작주 초점 표지가 쓰이는 문장에서 속격 표지가 동작주를 표기한 것이고, 동작주 표지가 쓰이는 문장에서 속격 표지가 나타나면 동작주도, 피동작주도, 처소도 아닌 이외의 논항을 표기한다. 속격 표지 no가 도구를 표기하는 것이 그 예이다. - 非동작주 초점 표지가 쓰이는 문장에서도 속격 표지로 도구를 표기한다. - 소유격은 속격과 같은 표지를 사용한다. {{{eg>yami1254 (hedehua2018:82) ya mi-tokzos si ama no paltog so among do wawa. AUX AF-shoot NOM father GEN spear.gun OBL fish LOC sea 아버지가 바다에서 수중총으로 생선을 쏜다. }}} {{{eg>yami1254 (hedehua2018:88) na bakbak-an yaken no kawalan. 3SG.GEN beat-CF 1SG.NOM GEN banboo 그는 대나무로 나를 때린다. }}} ###### 사격표지의 용법 - 사격 표지 so는 동작주 표지가 쓰이는 문장에서 피동작주를 표기한다. - 사격 표지는 비동작주 초점이 쓰이는 문장에서 주격 표지를 취한 성분과 동작주가 아니라 피동작주를 표기하기도 한다. {{{eg>yami1254 (hedehua2018:85) ya mi-yakan so vinyay si Paloy. AUX AF-eat OBL meat NOM Paloy Paloy가 돼지고기를 먹고 있다. }}} {{{eg>yami1254 (hedehua2018:83) na i-pi-tokzos ni ama o paltog so among. 3SG.GEN CF-CAUS-shoot GEN father NOM spear.gun OBL fish 아버지가 수중총으로 물고기를 쏜다. }}} ###### 처격표지의 용법 - 인명과 친족에 뒤에는 ji/jira, 일반 명사 뒤에는 do를 사용한다. - 처격 표지는 동작주 초점이 쓰이는 문장에서 주어가 아닌 다른 논항을 표기한다. {{{eg>yami1254 (hedehua2018:65) ya m-ian do vaay da o mavakes. AUX AF-EXIST LOC home 3PL.GEN NOM woman 그 여자는 그들의 집에 있다(직역: 그들의 집에 있는 사람은 그 여자이다.). }}} {{{eg>yami1254 (hedehua2018:74) i-pa-cita na do mavakes o karam no meakay. CF-CAUS-look 3SG.GEN LOC woman NOM mouse GEN man 남자는 여자에게 쥐를 보여준다. }}} {{{eg>yami1254 (hedehua2018:91) m-angay ko do Jimowrod. AF-go 1SG.NOM LOC Jimowrod 나는 홍두촌에 갈 것이다. }}} - 처격 표지는 시간과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명사구에도 붙는다. {{{eg>yami1254 (hedehua2018:91) m-itkeh do ma-ep a ka-yokay na do ma-araw. AF-sleep LOC STAT-night COP then-awake 3SG.GEN LOC STAT-day 밤에 자고 낮에 일어난다. }}} {{{eg>yami1254 (hedehua2018:91) sino o ngaran mo do tao? who NOM name 2SG.GEN LOC people 너의 야미어 이름이 뭐야? }}} - 비동작주 초점이 쓰이는 문장에서 처격은 주어를 제외한 다른 논항을 표기한다. {{{eg>yami1254 (hedehua2018:91) adkan-an mo do zo~zogo-an na. kiss-CF 2SG.GEN LOC RECP~forehead-LOC 3SG.GEN 너는 그의 이마에 뽀뽀해. }}} #### 시간 명사 - 시간적 가깝고 먼 것은 거리상의 가깝고 먼 것과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 | |遠(과거)-近(현재)-遠(미래)| | | | nokango 과거의 어느 시점 || simango 현재/미래의 어느 시점 || nomango 미래의 어느 시점 | |nokakwa 아주 오래 전|nokaikwa 얼마 전|sicyaikwa 현재|simaikwa 멀지 않은 미래|nomaokwa 이후| | |nokacitwai na 방금|sicyatwai ya 지금|citwai na 좀 있다가| | | |nokaypisa 지난 번|sicyaikwa ya 이 번|siypisa 다음 번|noypisa 다음 번| | |nokakyab 어제|sicyaraw ya 오늘|simaraw 내일| | | |nokamnasavean 지난 달|do vean ya 이번 달|simaksavean 다음 달| | | |nokamnasawan 작년|sicyawan ya 금년|simaksakawan 내년| | | |nokapepnezak (과거의) 오전|sicyapnrzak ya (현재의) 아침|sipnezak (내일의) 아침| | | |nokamararaw (과거의) 정오|sicyamararaw ya (현재의) 정오|simararaw (오늘의 정오)| | | |nokmaep 어젯밤|sicyamaep ya 오늘밤(현재)|simaep(simaep)| |
doc/yami/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3:32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