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yami
»
4_ss
»
51_neg : 부정 (negation)
추적:
doc:yami:4_ss:51_neg:51_neg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51_neg : 부정 (negation) ####1) 명사 술어에 대한 부정 - 술어가 명사가 명사일 때: 해당 명사 앞에 baken이나 adan를 추가함으로써 부정문을 형성한다. adan의 원래 '낡다'이다. adan의 강도가 더 약하다. {{{eg>yami1254 (hedehua2018:149) beken a sinsi si Masaray. NEG COP teacher NOM Masaray Masaray가 선생이 아니다. }}} {{{eg>yami1254 (hedehua2018:150) adan a yaken o kabang ya. NEG COP 1SG.NOM NOM bag PROX 이 가장은 내 거 아니다. }}} - beken는 YN 의문문에 대한 답('아니다')로 사용할 수 있다. - noon는 YN 의문문에 대한 답('네')로 사용할 수 있다. {{{eg>yami1254 (hedehua2018:162) tosya k<om>an so semen? dont't.want eat<AF> OBL watermellon 사과 안 먹어? }}} - 위 문장에 대한 답으로 'noon, tosya!(응, 안 먹어)가 된다. {{{eg>yami1254 (hedehua2018:162) ka m-angay do Taypey? 2SG.NOM AF-go LOC Taypey 타이베 갈 거야? }}} - 위 문장에 대한 답으로 'beken(아니야)' 혹은 'noon(응)'가 된다. {{{eg>yami1254 (hedehua2018:166) beken a kabang mo o ya? NEG COP bag 2SG.GEN NOM PROX 이 가방은 네 거 아니야? }}} - 이 문장에 대한 답한 답은 다음과 같다. {{{eg>yami1254 (hedehua2018:166) noon, ta yaken ori. yes, NEG 1SG.NOM MED.NOM 응, 내 거 아니야. }}} ####2) 동사 술어에 대한 부정 - 술어가 동사일 때 해당 동사 앞에 부정사 ji나 jya를 추가함으로써 부정을 나타낸다. ji는 直述문에 jya는 명령문에 쓰인다. 부정사 ji/jya 뒤에 오는 동사 어근/어간과 동사에 붙는 초점 표지 형태상의 변화가 일어난다. - 동사에 붙는 완망상 표지 ni-는 부정문에서 ani-로 변한다. - 긍정문에서 동사의 형태 변화와 부정문에서 동사의 형태변화의 대조표는 다음과 같다. | |긍정 실현(realis)문의 동사 형태|부정 실현(realis)문의 동사 형태| |동작주 초점|<om>/mi-/ma-/maN-|ji N-어근| |동작주 초점|ma-상태 동사|ji a-| |동작주 초점|maka-/maci-/mapi-/mapa-/mipa-|ji maka-/maci-/mapa-mipa, ji ani-maka-/maci-/mapi-/mapa-/mipa-| |피동작주 초점|-en|ji N-...-a, ji ani-| |피동작주 초점|ma-|ji a-..., ji anima-| |처소 초점|-an|ji N-...-i, ji ani-...-an| |처소 초점|ka-...-an|ji a-...-i| |도구 초점|i-|ji N-...-an, ji a-...-an, ji ani-i-| |ka 류 동사|ka-|kaji N...-an, kaji a-...-an| {{{eg>yami1254 (hedehua2018:150) ya ji lavi si Masaray. AUX NEG AF.cry NOM Masaray Masaray가 울고 있지 않다. }}} {{{eg>yami1254 (hedehua2018:152) ji ko ani-mi-yakan so among. NEG 1SG.NOM PST.PFV-AF-eat OBL fish 나는 그때 생선을 먹지 않았다. }}} {{{eg>yami1254 (hedehua2018:154) ji mo ngaap-a ( ← N.aap-a ) o vakong ko. NEG 2SG.NEG SBJV.take-PF ( ← SBJV.take-PF ) NOM book 1SG.GEN 내 책을 가져가지마. }}} {{{eg>yami1254 (hedehua2018:155) na ji ani-bakbak-an no rarakeh o kanakan. 3SG.NEG NEG PST.PFV-beat-CF GEN old.people NOM child 어르신이 아이를 때리지 않았다. }}} {{{eg>yami1254 (hedehua2018:156) ko ka-tenng-an imo. 1SG.NOM non.controllable-know-non.controllable 2SG.NOM 나는 당신을 알아요. }}} {{{eg>yami1254 (hedehua2018:156) ko ji a-tenng-i imo. 1SG.NOM NEG SBJV.non.controllable-know-non.controllable.SBJV 2SG.NOM 나는 예전에 당신을 몰랐어요. }}} - ka-류 동사의 예 {{{eg>yami1254 (hedehua2018:157) inom a kaji mo a.awaw-an. AF.drink COP AUX(then) 2SG.GEN SBJV.be.thirsty-CF.SBJV 너는 물을 마시면 목이 그만 마를 거야. }}} - 존재문/소유문/방향문에서는 부정사 abo가 쓰인다. - ji abo가 존재 여부를 묻는 의문문에 대한 답(~에 없다/절대로 (어디에) 없다)로 사용될 수 있다. {{{eg>yami1254 (hedehua2018:159) ya abo o gako do jya. 3SG.NOM NEG NOM school LOC PROX.LOC 여기에 학교가 없다. }}} {{{eg>yami1254 (hedehua2018:159) abo o nizpi no rarakeh. NEG NOM money GEN old.people 어르신이 돈이 없다. }}} {{{eg>yami1254 (hedehua2018:160) ya ji ani-m-ai ori. 3SG.NOM NEG PST.PFV-AF-come MED.NOM 그 사람이 오지 않았다. }}} - 부정사 abo가 동사 부정사인 ji가 오면 '절대로 ~ㄹ 수 없다/~가능성이 없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eg>yami1254 (hedehua2018:160) ji abo o ka-pi-pa-aay no rarakeh a. NEG NEG NOM NMLZ-CAUS-CAUS-be.late GEN old.people PTCL 어르신이 절대로 지각하게 하는 일이 없다. }}} ####3) 명제 전체에 대한 부정 - 앞에서는 술어에 쓰이는 명사/동사에 대한 부정이고 다음은 명제 전체에 대한 부정을 제시한다. - 명제 전체에 대한 부정을 나타낼 때 부정사 ta를 사용한다. {{{eg>yami1254 (hedehua2018:160) ta ko pa ni-k<om>an. NEG 1SG.NOM still PST.PFV-eat<AF> 나는 아작 밥을 먹지 않았어.(너희들 내가 밥을 먹었다고 생각하지? 그건 아니야) }}}
doc/yami/4_ss/51_neg/51_ne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7 17:42 저자
서취아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