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아창어 阿昌语의 단어 합성법에는 병렬식, 수식식, 주술식, 동목식, 부가식(附注式)과 다층식의 6가지 종류가 있다. ### (1)병렬식 - 병렬식 합성사에는 2음절과 다음절(4음절)이 있으며, 형태소의 구성은 명사+명사, 형용사+형용사, 동사+동사가 있다. - 병렬식 합성사의 의미 관계는 관련어의 복합과 반의 복합이 있다. {{{eg>acha1249 (shijian2009:0) 2음절 ku³¹ʨin³³ foodstuffs 곡식 kɯ³¹ŋa³³ size 크다 작다 다음절(주로 4음절이다.) ɑ³¹kə³³ɑ³¹kɑŋ³¹ 좋고 나쁨 good bad ɑ³¹pͪɑ³¹ ɑ³¹n̥it³¹ parents 부친 모친 }}} ### (2)수식식 - 수식 합성사의 명사를 수식하는 형태소는 주로 명사, 형용사와 동사가 있다. - 명사형태소가 명사형태소를 수식 할 때 수식성을 가지고 있는 형태소는 중심 형태소 앞에 온다. - 형용사 형태소가 명사 형태소를 수식할때, 수식성을 가지고 있는 형태소는 중심 형태소의 뒤에 온다. - 동사 형태소가 명사 형태소를 수식살 때 수식성을 가지고 있는 동사가 앞에 오고 명사가 뒤에 온다. - 명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명사형태소+ 형용사형태소=명사, 동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eg>acha1249 (shijian2009:0) tʂuŋ³¹ lɑŋ³¹ N N 산골짜기 }}} {{{eg>acha1249 (shijian2009:0) ʦu³³ mɑŋ³⁵ N N 노인 }}} {{{eg>acha1249 (shijian2009:0) təʰ³³ ʦa³³~³⁵ V N 아이를 맞이하다 }}} ###(3)주술식 - 주술식 합성사의 경우 명사 형태소가 앞에 위치하고, 동사 형태소가 뒤에 위치한다. {{{eg>acha1249 (shijian2009:0) puŋ³¹ so³¹ N V 산 귀신 }}} ###(4) 동목식 - 동목(동사목적어)식 합성사는 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 뒤에 ɛiˀ 가 붙는 것은 “的”의 의미이다. {{{eg>acha1249 (shijian2009:0) mu³¹ kͪut³¹ɛiˀ⁵⁵ live work 농민 }}} ### (5)부가식 - 부가식 합성사는 명사 형태소, 혹은 동사 형태소에서 양사 형태소를 따로 구별한 조합이다. - 양사 형태소는 명사형태서 혹은 동사형태소의 부가 작용을 한다. {{{eg>acha1249 (shijian2009:0) ʂɯŋ³¹ pɑŋ³³~³¹ N NUM 나무 }}} {{{eg>acha1249 (shijian2009:0) mʲi³¹ paˀ⁵⁵ku³³ V NUM 불끄기 }}} ### (6)다층식 - 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앞의 명사, 동사는 동목구조, 이것이 마지막 명사를 수식) {{{eg>acha1249 (shijian2009:0) ʨɑ³³ ʨɑ³¹~⁵⁵ ʑɑˀ³¹ N V N 식당 }}} - 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앞의 명사, 동사는 주술구조, 이것이 함께 뒤의 명사를 수식) {{{eg>acha1249 (shijian2009:0) pɛi³³ toʰ³¹~⁵⁵ ʑɑ³¹ N V N 동쪽 }}} - 명사형태소+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 (앞의 명사와 뒤의 동목구조인 명사, 동사가 주술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