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_num : 수사 (numeral) 100% - 바이어의 수사는 기수사와 서수사 두 종류가 있다. ###(1) 기수사 {{{lex>baic1239 (zhaoyanzhen2012:71) - 1: ji⁴⁴/ji³⁵/ɑ³¹ - 2: kõ³³/ne⁴⁴/si³³ - 3: sɑ̃⁵⁵ - 4: ɕi⁴⁴ - 5: ŋv̩³³ - 6: fv̩⁴⁴ - 7: tɕʰi⁴⁴ - 8: piɑ⁴⁴ - 9: tɕɯ³³ - 10: tsɛ⁴² - 10: pɛ⁴⁴ - 1,000: tɕʰĩ⁵⁵ - 11,000: ŋv̩⁴² }}} ##### 십 이상 숫자의 표현 방법 예: sɑ̃⁵⁵tsɛ⁴²: 30, ŋv̩³³pɛ⁴⁴: 500 - ‘이십’과 ‘사십’은 중국어(廿niàn, 卌xì)로부터의 차용어+‘ɕi³¹/ji³¹’의 식으로 표현한다 예: ni³¹ɕi³¹:20, ɕi³¹ ji³¹:40 - ‘一’은 ji⁴⁴/ji³⁵/ɑ³¹로 표현할 수 있는데: 백/천/만과 결합할 경우 ɑ³¹를 사용한다. 예: ɑ³¹pɛ⁴⁴:100 - 1이 백/천/만과 결합할 경우 일 경우 ji⁴⁴를 사용한다. 예: tsɛ⁴²ji⁴⁴:11 - 1이 년대나 특징 사건이나 물건을 대표하는 표현에 쓰일 경우 ‘ji³⁵’를 사용한다. 예: ji³⁵tɕo³¹u³¹pɑ³⁵: 1958(년), tɕo³¹ji³⁵pɑ³⁵: 九一八(역사 사건) - 2는 ‘kõ³³/ne⁴⁴/si³³’로 표현할 수 있는데 10, 20, 40, 100과 결합하여 12, 22, 42, 200을 형성할 경우 ne⁴⁴를 사용한다. 예: tsɛ⁴²ne⁴⁴:12 - '천', ‘만’과 결합하여 ‘2천’, ‘2만’을 형성하는 경우 ‘kõ³³'를 사용한다. 예: kõ³³ tɕʰĩ⁵⁵: 2천 - 萬 앞에 숫자가 두 개가 있는 경우 ‘二’는 ne⁴⁴를 사용한다. 예: tsɛ⁴²ne⁴⁴ŋv̩⁴²: 12만 - ne⁴⁴는 ti³¹와 결합하여 ti³¹ne⁴⁴ ‘두 번째’를 형성할 수 있다. - kõ³³는 양사 혹은 일부 명사와 결합하여 구를 형성할 수 있다. 예: kõ³³tsɯ⁵⁵: 두 그루 ###(2) 서수사 - ‘一~十’ 서수사는 해당 기수사 앞에 ti³¹를 추가하는 식으로 표현한다. {{{eg>baic1239 (xulin2006:198) ti³¹ji⁴⁴ jĩ²¹ first PTCL 첫 번째 것 }}} - ‘十’ 이상의 서수사에는 ‘ti³¹’를 쓰지 않고 기수사의 형태로 쓴다. 예: tsɛ⁴²ji⁴⁴ '十一'; tsɛ⁴²ne⁴⁴ ###(3) 여린 수의 표현 방법 - 서로 인접해 있는 두 숫자를 함께 쓰이는 방법 {{{eg>baic1239 (xulin2006:199) kõ³³ sɑ̃⁵⁵ ji²¹ two three PTCL 두세 명 }}} - 1과 2이 결합할 경우 비교적 작은 여린 수, 천과 만이 결합하면 큰 여린 수를 나타낸다. {{{eg>baic1239 (xulin2006:199) ɑ³¹ pɯ̃⁵⁵ kõ³³ pɯ̃⁵⁵ one time two time 한두 번 }}} {{{eg>baic1239 (xulin2006:199) tɕʰĩ⁵⁵ pɯ̃⁵⁵ ŋv̩⁴² pɯ̃⁵⁵ thousand time ten.thousand time 천만 번 }}} - ‘十’, ‘百’, ‘千’, ‘萬’ 뒤에 'no⁵⁵'를 추가하면 ‘십 여’ ‘백 여’ 등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xulin2006:199) tsɛ⁴² no⁵⁵ jĩ²¹ ten more PTCL 십여 개 }}} ###(4) 수사구의 표현 방법 ####1) 수사는 명사를 직접적으로 수식 불가능하고 대신 ‘수사+양사+명사’ 구조를 써야 한다. {{{eg>baic1239 (xulin2006:199) jĩ²¹kɛ̃⁵⁵ ɑ³¹ jĩ²¹ people one PTCL 한 사람 }}} ####2) ‘수사+양사’ 구조 앞에 지시 대명사가 올 수 있다. {{{eg>baic1239 (xulin2006:199) ke⁴² lɯ⁵⁵ ŋv̩³³ pe²¹ bowl this five PTCL 이 다섯 개의 그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