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_verb : 동사 (verb) - 동사 형태는 동사 범주, 수, 격, 시제, 타동성, 태, 상과 그 외 요소들과 연관되어 있는 많은 활용과 서법 형태들을 가진다. ### 베슈틴어 동사의 형태 | | 어간 | 어간 | | | | 접두사 | 어근 | 접미사1 | 접미사2 | 접미사3 | | 부류/수 | 복수, 역수동태 | 복수, 역수동태, 사동 | 부정형, 시제, 상, 조동사, 부사, 부정 | 격, 조동사 | ### 부류 범주 - 베슈틴어 동사에는 명사 범주에 맞춰 활용되는 부류 동사, 명사 범주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부류 동사가 존재한다. #### 접두사 부착 - 명사 부류에 맞춰 활용하는 부류 동사는 2와 4 부류에서 접두사 й- 를 사용한다. {{{lex>bezh1248 (Comrie2015:335) - й-егь-ал '열다' - й-атI-ал '원하다' - й-икь-ал '살해하다' }}} #### 접요사 부착 - 몇몇 동사는 어근 모음이 변화하여 부류를 표시한다. {{{lex>bezh1248 (Comrie2015:335) - г-о-в-ал 'go' (1부류) - г-и-й-ал 'go' (2부류) - г-у-в-ал 'go' (3, 4부류) }}} ### 수 - 사실상 동사에서 복수를 표시하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다른 체즈어들과 달리 베슈틴어는 동사에서 복수를 표시하는 다양한 형태적 방법을 가지고 있다. - 복수 표시에는 어간의 모음 연장, 접요사, 접요사와 함께 쓰이는 접두사, 접미사, 접미사와 함께 쓰이는 접두사 등이 쓰일 수 있다. #### 어간의 모음 연장 {{{lex>bezh1248 (Comrie2015:337) - гьакI-ал : гьа-а-кI-ал '고르다' - чах-ал : ча-а-х-ал '쓰다' }}} #### 접요사 부착 - -ба-, -ва-, -ваба-, -иа-ба- {{{lex>bezh1248 (Comrie2015:337) - нилI-ал : ни-иа-лI-ал '주다' - чах-ал : ча-а-х-ал '쓰다' - гот-ал : го-ва-тал '정돈하다' }}} - 부류에 따라 활용하지 않는 동사들은 접요사 부착만을 사용할 수 있다. #### 접두사와 접요사 부착 - б-/м- + -ба-, б-/м- + -ва-, б-/м- + -ваба, б-/м- + -иаба {{{lex>bezh1248 (Comrie2015:337) - и-ех-ал : м-е-иаба-х-ал '만지다' - й-окIо-л-ал : б-о-ва-кIо-л-ал '모으다' }}} ### 타동성과 자동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