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 성조 값의 변화 - 2음절에서 앞 음절이 늘 성조 값에 변화가 있고 뒤 음절에는 변화가 없다. ##### 1조(53), 3조(31), 5조(45)의 변화 - 홀수 성조{1조, 3조, 5조, 7조(31)} 앞에 보통 33으로 바뀌고 일부는 11로 바뀐다. {{{lex>chad1240 (lirulong2012:42) - [tau53wan53] : 정오 -> [tau33wan53] : 정오 - [tau31k_hau31] : 술을 빚다 -> [tau33k_hau31] : 술을 빚다 - [kai45tsən45] : 닭의 볏 -> [kai33tsən45] : 닭의 볏 }}} - 짝수 성조{2조(21), 4조(23), 6조(35), 8조(23)} 앞에 보통 11로 바뀌고 일부는 33으로 바뀐다. {{{lex>chad1240 (lirulong2012:42) - [naŋ53tsəm21] : 콧구멍 -> [naŋ11tsəm21] : 콧구멍 - [fa31kəm23] : 천둥 -> [fa11kəm23] : 천둥 - [k_həm45pəm35] : 진흙 -> [k_həm11pəm35] : 진흙 - [m_0i53kuk23] : 팔꿈치 -> [m_0i11kuk23] : 팔꿈치 }}} ##### 2조(21), 4조(23), 6조(35)의 변화 - 뒤에 어떤 성조를 가진 음절이 오든 앞 음절의 성조는 보통 11로 바뀌고 일부는 33로 바뀐다. {{{lex>chad1240 (lirulong2012:42) - [pi21la53] : 눈꺼풀 -> [pi11la53] : 눈꺼풀 - [ni23no31] : 쥐 -> [ni11no31] : 쥐 - [məm35t_hu21] : 붕어 -> [məm11t_hu21] : 붕어 - [na21tsau45] : 주방 -> [na33tsau45] : 주방 }}} ##### 7조(短5; 長31)의 변화 - 입성을 가진 음절이 앞에 있을 때, 7조에서 장음을 가진 성조(長31)가 그대로 유지된다. - 나머지 경우 뒤에 어떤 성조가 오든 앞 음절의 성조가 모두 31로 바뀐다. {{{lex>chad1240 (lirulong2012:42) - [sa:t31pe53] : 섣달 그믐날 - [p_hek31nai35] : 지금 - [kut5ȵy21] : 골수 -> [kut31ȵy21] : 골수 - [liok23tou35] : 옥수수 -> [liok31tou35] : 옥수수 - [sət23lok23] : 확실하다 -> [sət31lok23] : 확실하다 }}} ### 성조의 약화 - 일부 음절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성조가 짧아지거나 가벼워지는 경우가 있다. - 이때 모음이 바뀌거나 심지어 일부 음소가 탈락되기도 한다. - 여기서 경성의 성조 값은 표기하기 않기로 한다. {{{lex>chad1240 (lirulong2012:43) - [k_we21si35] : 아니다 -> [kəsi35]: 아니다 - [lo23sei53] : 선생님 -> [ləsei53] : 선생님 - [kuŋ53lau23] : 늙은이(남자) -> [kəlau23] : 늙은이(남자) - [puo21lau23] : 늙은이(여자) -> [pəlau23] : 늙은이(여자) }}} - 조사도 보통 경성으로 발음된다. {{{lex>chad1240 (lirulong2012:43) - [ti] : -의(的) - [pa] : -했다(了) - [to] : -하고 있다(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