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1) 파생법 - 접두사와 접미사를 붙는 방식으로 단어를 만든다. 다랑어에 접두사가 아주 풍부하며, 접두사를 가진 단어는 50%에 가깝다. 접두사는 보통 경성으로 발음하며, 성모에는 복합자음이 나타나지 않고, 운모에는 i, ɑ, ɯ 3개의 단모음 밖에 없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7) | pɑ³¹-: pɑ³¹-ɹɑi⁵³ 개구리 | pɯ³¹-: pɯ³¹-me⁵³ 경련 | phɑ³¹-: phɑ³¹-dʑi⁵⁵ 바나나 | | phɯ³¹-: phɯ³¹-ɹɑi⁵⁵ 회전하다 | bɑ³¹-: bɑ³¹-bu⁵⁵ 의사 | bɯ³¹-: bɯ³¹-liɑi⁵⁵ 돼지 | | mɑ³¹-: mɑ³¹-ŋɑ³⁵다섯 | mɯ³¹-: mɯ³¹-xuɑ⁵⁵ 부자 | dzɑ³¹-: dzɑ³¹-wa⁵⁵ 낫 | | sɯ³¹-: sɯ³¹-sɑ⁵⁵ 은박지 | tɑ³¹-: tɑ³¹-pɑɯ⁵⁵ 늙다 | tɯ³¹-: tɯ³¹-kiɯ⁵⁵ 왼쪽 | | thɑ³¹-: thɑ³¹-bɯm⁵⁵ 나무의 이름 | thɯ³¹-: thɯ³¹-tiɑ⁵⁵ 턱 | dɑ³¹-: dɑ³¹-lɑ⁵⁵ 울타리 | | dɯ³¹-: dɯ³¹-ɹɯŋ⁵⁵ 크다 | nɑ³¹-: nɑ³¹-mɯn⁵⁵ 불 | lɯ³¹-: lɯ³¹-mɯn⁵⁵ 꼬리 | | ɹɯ³¹-: ɹɯ³¹-boŋ³⁵ 뼈 | tɕi³¹-: tɕi³¹-ke⁵⁵ 맷돌 | dʑɑ³¹-: dʑɑ³¹-mɑ⁵⁵ 삽 | | ȵɑ³-¹: ȵɑ³¹-boŋ³⁵ 방추 | kɑ³¹-: kɑ³¹-pɹɑi⁵⁵ 넷 | kɯ³¹-: kɯ³¹-lɯu⁵⁵ 문틀 | | khɑ³¹-: khɑ³¹-liau⁵⁵ 밭 | khɯ³¹-: khɯ³¹-lɑu⁵³ 황해쑥 | gɑ³¹-: gɑ³¹-ɹoŋ⁵⁵ 미나리| | gɯ³¹-: gɯ³¹-ɹɑu⁵⁵ 당나귀 | ɑ³¹-: ɑ³¹-sɯŋ⁵⁵ 살아 있는 | xɑ³¹-: xɑ³¹-po⁵⁵ 폐 | }}} - 소수의 단어에는 어근에 2 개의 접두사를 붙을 수 있다. 예컨대, ɑ³¹-tɯ³¹-mɹoŋ⁵⁵ ‘동무, 친구’ , tɑ³¹-kɯ³¹-lo⁵⁵ ‘물조개’가 있다. - 접미사를 붙어서 단어를 만드는 것도 생산성이 높은 단어형성법이다. 하지만 그 수량은 접두사보다 적다. 비교적 흔한 것은 다음과 같은 3가지이다. - (1) 형용사 어근 뒤에 접미사 -dɑ⁵⁵를 붙어서 단어를 만든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xɹɑ⁵³-dɑ⁵⁵ 맹렬히 타오르는 (불) | tu⁵⁵lu⁵⁵-dɑ⁵⁵ 구형의 | phɹɑɯ⁵⁵-dɑ⁵⁵ 가는 (실) | | geŋ⁵⁵weŋ⁵⁵-dɑ⁵⁵ 둥근 | xɹɑu⁵³-dɑ⁵⁵ 회색의 | ti⁵⁵ku⁵⁵-dɑ⁵⁵ (등뼈가) 굽은 | }}} - (2) 동사 어근 뒤에 접미사 -gɑ³¹를 붙어서 단어를 만든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ɹoŋ⁵⁵-gɑ³¹ 농담을 하다 | diɯ³⁵-gɑ³¹ 비슷하다 | kie⁵⁵-gɑ³¹ 토론하다 | | khu⁵⁵-gɑ³¹ 말다툼하다 | ɹu⁵⁵-gɑ³¹ 단결하다 | ɑ³¹tɯm⁵⁵-gɑ³¹ 화목하다 | }}} - (3) 일부 색채 형용사 어근 뒤에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는 수식 성분을 붙어서 원래 형용사에 새로운 의미를 추가하게 된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lio⁵³ 흰색의 | lio⁵³-tiai⁵³-dɑ⁵⁵ 아주 희다, 귀엽게 희다 | lio⁵³-dim⁵³-dɑ⁵⁵ 눈부시게 희다 | | lio⁵³-ɬai⁵⁵-dɑ⁵⁵ 희읍스름하다| lio⁵³xɹɯm⁵³-dɑ⁵⁵ 약간 희다 | lio⁵³-dio³⁵dɑ⁵⁵ 검고 하얗다| }}} ### 2) 합성법 - 합성어를 형성하는 어근 간의 관계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 (1) 병렬관계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me⁵⁵jɑŋ⁵⁵ (여자) + mɑ³¹wɑ³⁵ (남편) ⟶ me⁵⁵jɑŋ⁵⁵mɑ³¹wɑ³⁵ (부부) | | ȵoŋ³⁵ (너) + xɑŋ³⁵ (나) ⟶ ȵoŋ³⁵xɑŋ³⁵ (자기, 자신) | | tɑ³¹plo⁵⁵ (받치다) + sɑɯ⁵³ (깔다) ⟶ tɑ³¹plo⁵⁵sɑɯ⁵³ (요, 매트리스) | }}} #### (2) 주술관계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nɑ³¹boŋ³⁵ (옥수수) + a³¹bo⁵⁵ (폭발하다) ⟶ nɑ³¹boŋ³⁵a³¹bo⁵⁵ (팝콘) | | ɑ³¹tio⁵⁵ (손) + kɑ³¹sɑ⁵³ (능숙하다) ⟶ ɑ³¹tio⁵⁵kɑ³¹sɑ⁵³ (손재주, 솜씨) | | sɑ⁵⁵ (힘줄, 혈관) + thu⁵³ (뛰다) ⟶ sɑ⁵⁵thu⁵³ (맥) | }}} - 주술관계의 합성어에서 사람의 심리적 활동을 반영하는 동사가 많다. tɑ³¹we⁵⁵ ‘사상’의 어근인 we⁵⁵에 동사 형태소를 붙어서 새 단어를 만든 것이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we⁵⁵ (사상) + tiɯŋ⁵³ (도달하다) ⟶ we⁵⁵tiɯŋ⁵³ (그리워하다) | | we⁵⁵ (사상) + tɑɹɯ⁵⁵ (재수 없다)⟶ we⁵⁵tɑɹɯ⁵⁵ (걱정하다) | | we⁵⁵ (사상) + ȵɑŋ³⁵ (병이 나다)⟶ we⁵⁵ȵɑŋ³⁵ (상심하고 마음을 괴롭히다) | }}} #### (3) 지배관계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tɯ³¹kɯ⁵⁵ (언어) + ji³⁵jɑ³¹ (교환하다) ⟶ tɯ³¹kɯ⁵⁵ji³⁵jɑ³¹ (번역하다) | | ɡɹoŋ⁵³ (발) + wi³⁵jɑ³¹ (감싸다) ⟶ ɡɹoŋ⁵³wi³⁵jɑ³¹ (전족(纏足)하다) | | ɑ³¹tio⁵⁵ (손) + ɕim⁵³jɑ³¹ (씌우다) ⟶ ɑ³¹tio⁵⁵ɕim⁵³jɑ³¹ (장갑) | }}} #### (4) 수식관계 -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중심어가 앞에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심어가 뒤에 있는 것이다. - 중심어가 앞에 있는 것: {{{lex>diga1241 (sunhongkai2007:608) | ɑ³¹m⁵⁵ (구름) + ɕi⁵³ (붉다) ⟶ ɑ³¹m⁵⁵ɕi⁵³ (노을) | | me⁵⁵jɑŋ⁵⁵ (여자) + miŋ⁵⁵iŋ⁵⁵ (새롭다) ⟶ me⁵⁵jɑŋ⁵⁵miŋ⁵⁵iŋ⁵⁵ (신부) | | tɑ³¹bu⁵⁵ (뱀) + thɑi⁵⁵ (맵다) ⟶ tɑ³¹bu⁵⁵thɑi⁵⁵ (독사뱀) | }}} - 중심어가 뒤에 있는 것: {{{lex>diga1241 (sunhongkai2007:609) | ɡɹoŋ⁵³ (발) + bɯ³¹lɯm⁵⁵ (눈) ⟶ ɡɹoŋ⁵³bɯ³¹lɯm⁵⁵ (복사뼈) | | thɯŋ⁵⁵ (시체) + gɯm³⁵ (상자) ⟶ thɯŋ⁵⁵gɯm³⁵ (널감, 관재) | | kɹu⁵³ (머리) + nɑŋ³⁵ (잎) ⟶ kɹu⁵³nɑŋ³⁵ (귀) | }}} #### (5) 보충관계 {{{lex>diga1241 (sunhongkai2007:609) | tɑ³¹mɑŋ⁵⁵ (약) + bɹɑ³⁵ (조각 편) ⟶ tɑ³¹mɑŋ⁵⁵bɹɑ³⁵ (얇고 동근 모양의 약) | | tɑ³¹ko⁵⁵ (책, 편지) + plɑ⁵⁵ (장) ⟶ tɑ³¹ko⁵⁵plɑ⁵⁵ (종이) | | lɑ⁵⁵ (말하다) + ŋ̊ŋ³⁵ (주다) ⟶ lɑ⁵⁵ŋ̊ŋ³⁵ (소개하다) | }}} ### 3) 의성법 -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물체가 내는 소리에 따라 그 물체 또는 동작을 명명한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9) | keŋ³¹keŋ⁵³ 앵무새 | kɑ⁵⁵ko³¹ 뻐꾸기 | kɹeŋ³¹kɹeŋ⁵³ 새의 한 가지 | | bɯ³¹ɹuɑ³⁵ (천둥) | khɹɑ⁵³ 벼락, 벽력 | kɯ³¹tɑ⁵³ (암탉이) 울다 | ȵi⁵⁵mɑ³¹트림하다 | }}} - 다른 하나는 어떤 물체가 내는 소리를 흉내내는 의성어이고, 보통 의성어 뒤에 la⁵⁵를 붙어서 부사를 만든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9) | ɹɑŋ⁵⁵ɹɑŋ⁵⁵lɑ⁵⁵ 기세 드높게, 기운차게 | m⁵⁵mɹɑŋ⁵⁵m⁵⁵mɹɑŋ⁵⁵lɑ⁵⁵ 음매을 하고 울다 | | dzɯ³¹liɑi⁵⁵dzɯ³¹liɑi⁵⁵lɑ⁵⁵ 재잘재잘 | ɡlo⁵⁵lo⁵⁵ɡlo⁵⁵lo⁵⁵lɑ⁵⁵ 우르르 | }}} ### 4) 4음연면(聯綿)법 - 다음과 같은 3가지가 있다. {{{lex>diga1241 (sunhongkai2007:609) | ABCD형 | a³¹mɯm⁵⁵mɑ³¹gie 새롭거나 낡은 정도는 반반이다 | ta³¹bɹɯ³⁵mɑ³¹ɡo³⁵ 재산 | | ABAC형 | kɑ³¹pɯ⁵⁵kɑ³¹dɑ⁵⁵ 온갖 추태를 다 부리다 | tɑ³¹ɹe⁵³tɑ³¹kɹɯ⁵⁵ 잡초가 무성하다 | | ABCB형 | kɯ⁵⁵pɹɑ⁵⁵thɑ⁵³pɹɑ⁵⁵ 즐기다 | thɑ⁵³tiɯ⁵⁵tim³⁵tiɯ⁵⁵ 먹고 마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