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_cons : 자음 (consonant) - 에네츠어의 자음은 총 22개이다. 에네츠어는 다수의 음소가 이음(allophone)을 갖는데(1999:10), 이 때 학자에 따라 음소로 인정하는 음의 수에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반자음 w를 음소로 제시하는지, 구개음화된 t를 독립된 음소로 제시하는지의 여부는 학자들마다 다른 견해를 보인다. 본문에서는 구개음화 된 t는 그 유성음 짝 d와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음소로 포함시켰으나, 반자음 w는 소수의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므로 음소의 개수에서 제외하였다. ^조음위치 ^조음방법 ^음소(키릴표기) ^ 음소(라틴표기) ^ ipa ^ |bilabial |plosive |п б | p b | p b | |bilabial |nasal |м | m | m | |bilabial |non-sibilant affricate|(в) | (w) | β | |dental |plosive |т д | t d | t d | |dental |fricative |с з | s z | θ ð | |dental |nasal |н | n | n | |dental |lateral |л | l | l | |dental |trill |р | r | r | |palatal |plosive |ть дь | tʹ dʹ | c ɟ | |palatal |fricative |сь | sʹ | ç | |palatal |affricate |ч | č | tɕ | |palatal |nasal |нь | nʹ | ɲ | |palatal |approximant |й | j | j | |palatal |lateral |ль | nʹ | ʎ | |velar |plosive |к г| k g | k g | | velar |fricative |х | h | x | | velar |nasal |ӈ | ŋ | ŋ | |glottal |plosive |ʼ |ʼ | ʔ | - В(w), ӈ(ŋ), х(x)는 그 쓰임세가 제한적이어서, в(w)는 네네츠어와 함께 쓰는 몇몇 단어나 러시아어 차용어에서; ӈ(ŋ)은 소수 단어의 어두 또는 어형변화에; х(x)는 주로 문법적 포먼트에 나타난다. й(j)는 단어 중간이나 어말에서만 나타난다(1966). - 테레쉔코(1966)는 비음화된 후두음(ʼ)과 비음화되지 않은 후두음(ʼʼ)을 구분하며 다음과 같은 예를 들었다(1966:439-40). {{{lex>fore1265 (Tereshchenko1966:439) - дю : 자고새나 여우 등의 사냥기구 - дюʼ : 100 - дюʼʼ : 지방, 기름 }}} 그러나 2001년에 출간된 소로키나 & 볼리나의 에네츠어 사전에는 위의 단어들이 다음과 같이 등재되어서 후두음의 구분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본문에서는 좀 더 최근의 연구물의 동향에 따라 후두음을 세분하지 않고 하나로 제시하였다. {{{lex>fore1265 (Sorokina_Bolina2001:000) - дюр : 100 - дю(р) : 지방, 기름 & дюро : 지방들, 기름들 }}} (‘자고새나 여우 등의 사냥기구’는 표제어 없음) 두 가지 후두음을 구분하는 테레쉔코의 경우, 명사의 격변화 클래스 역시 두 가지 종류로 세분시켰다(22_noun 항목 참조). - 장자음이 있으나 학자에 따라 같은 동일한 자음을 장자음으로 기술하는지의 여부가 주관적이며, 이와 관련하여 Терещенко(1993:344)는 에네츠어 자음의 장단이 불안정하다고 평가한다. {{{lex>fore1265 (Tereshchenko1966:440) - агга : 큰 - лоттэ : 상자, 가방 - оддо : 작은 배(Sorokina(2001:214)에는 одду로 등재) - тонэ : 오물(생선 이름) -тоннэ : 있다 }}} 비고. {{{lex>fore1265 (Sorokina_Bolina2001:12) - ага : 큰 - тонэ : 있다, 존재하다 }}} (비고. тонэ(tone) ‘오물(생선)’은 비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