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_noun : 명사 (noun) ### 명사 인칭법 #### (1) 소유인칭표지 소유주가 소유하는 소유물을 나타낼 때 소유주에 속격뿐만 아니라 소유물에 소유인칭표지가 결합되어야 한다. 즉 ‘NP-GEN NP-POSS’처럼 double marking 구성으로 쓰인다. 인칭대명사, 사람 이름, 일반 명사가 소유주가 될 수 있다. 청자가 소유주(‘인칭대명사+ -ni’의 경우)를 아는 경우에는 ‘NP-GEN’이 생략할 수 있다. ^ PERS ^ SG ^ PL ^ | 1.EXCL| -wi/-bi; -waya ~ -wəyə ~ -wɔyɔ; -baya ~ -bəyə ~ -bɔyɔ | -mon ~ -mun | | 1.INCL| | -ti ~ -tti | | 2 | -si/-ci | -son ~ sun/-con ~ -cun | | 3 | -nin; -ni/-n | -nin; -ni/-n | ##### 1인칭 소유인칭표지 - 1인칭 단수의 경우 ‘-wi/-bi’ - 모음조화에 따른 ‘-waya ~ -wəyə ~ -wɔyɔ; -baya ~ -bəyə ~ -bɔyɔ’ ###### 용법 - 서술어가 자동사와 형용사일 경우에는 ‘-wi/-bi’ - 서술어가 타동사일 경우에는 ‘-waya ~ -wəyə ~ -wɔyɔ; -baya ~ -bəyə ~ -bɔyɔ’ ###### 음운론적 조건: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bi’와 ‘-baya ~ -bəyə ~ -bɔyɔ’ - 나머지 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wi’와 ‘-waya ~ -wəyə ~ wɔyɔ’ - 양성모음 a, aa, o, oo로 구선된 명사 뒤에는 ‘-waya/-baya’ - 음성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wəyə/-bəyə’ -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wɔyɔ/-bɔyɔ’ {{{eg>huih1238 (kalina:2018) mi-ni bitəgə-wi yəənu-si. 1SG-GEN book-1SG.POSS interest-have 나의 책이 재미있다. }}} {{{eg>huih1238 (kalina:2018) mi-ni bitəgə-wəyə awo əlbuu-səə-ø? 1SG-GEN book-1SG.POSS who take-PST-3 나의 책을 누가 가져갔느냐? }}} ##### 2인칭 소유인칭표지 - 2인칭 단수 ‘-si/-ci’ - 2인칭 복수 ‘-son ~ -sun/-con ~ -cun’ ###### 음운론적 조건 -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 -si - ‘n’으로 끝나는 명사 + -si/-ci (‘n’이 ‘-si 앞에서 탈락) - 양성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 -son/-con - 음성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 -sun/-cun -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 -son ~ -sun - 자음이나 ‘n’으로 끝나는 명사 + -con ~ -cun {{{eg>huih1238 (kalina:2018) si-ni juu-si ilə bisi-n? 2SG-GEN home-2SG.POSS where be-3 네 집이 어디 있냐? }}} {{{eg>huih1238 (kalina:2018) si-ni aagon-ci ədu bi-ji-rən. 2SG-GEN hat-2SG.POSS here be-PROG-3 너의 모자가 여기에 있다. }}} {{{eg>huih1238 (kalina:2018) su-ni xəəxə-sun muu-i ima-saa-ø. 2PL-GEN cat-2PL.POSS water-INACC drink-PST-3 너희들의 고양이가 물을 마셨다. }}} {{{eg>huih1238 (kalina:2018) su-ni təggən-cun ikkin-ji-wi. 2PL-GEN car-2PL.POSS new-PROG-SG.REFL 너희들의 차는 아직도 새 것 같다. }}} ##### 3인칭 소유인칭표지 - 3인칭 단수/복수 소유인칭표지 ‘-nin; -ni/-n’이 있다. - 명사나 명사의 복수표지 뒤에는 ‘-nin’ - 격조사 뒤에는 ‘-ni’ 혹은 ‘-n’ {{{eg>huih1238 (kalina:2018) Mandi-ni addi-nin Xoi-ni bəi. Mandi-GEN grandmother-3POSS Hoi-GEN person 만디의 할머니는 호이 사람이다. }}} {{{eg>huih1238 (kalina:2018) əwən sata-si-nin anta-si. bread sugar/candy-have-3POSS taste-have 빵은 달달한 것이 맛있다. }}} {{{eg>huih1238 (kalina:2018) amixan-se-ni xoni-sal-nin aldoo-saa-ø. uncle-ASS.PL-GEN sheep-PL-3POSS disappear-PST-3 큰아버지네 양들이 없어졌다. }}} {{{eg>huih1238 (kalina:2018) bi taccil-ni xəəmə-wə-n(i) xolxa-ji jit-cuu. 1SG they-GEN meal-ACC-3POSS thief-INS eat-PST.1SG 내가 그들의 밥을 훔쳐 먹었다. }}} {{{eg>huih1238 (kalina:2018) bi Ilga-ni satan-txi-n(i) əmən anta-m isi-gədi. 1SG Ilga-GEN sugar/candy-ABL-3POSS one taste-CVB look-1SG.VOL 내가 일가의 사탕을 한 번/하나 맛볼게. }}} #### (2) 재귀소유인칭표지 재귀소유인칭표지는 단수와 복수로 나누어지고 명사 뒤에 결합하여 쓰인다. 주어가 단수이면 단수 재귀소유인칭표지가 쓰이고 주어가 복수이면 복수 재귀소유인칭표지가 쓰인다. | SG | -wi/-bi | | PL | -wal/-wəl-wɔl ~ -bal/-bəl/-bɔl | ###### 단수 재귀소유인칭표지의 음운론적 조건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bi’ - 나머지 경우에는 ‘-wi’ ####### 복수 재귀소유인칭표지의 음운론적 조건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bal ~ -bəl ~ -bɔl’ - 나머지 경우에는 ‘-wal ~ -wəl ~ -wɔl’ - 양성모음 a, aa, o, oo로 구선된 명사 뒤에는 ‘-wal/-bal’ - 음성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wəl/-bəl’ -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wɔl/-bɔl’ {{{eg>huih1238 (kalina:2018) bi juu-ddi(<-ddu-wi) nənuu-mi. 1SG home-DATL-SG.REFL go.back-1SG 내가 (내) 집에 (돌아)간다. }}} {{{eg>huih1238 (kalina:2018) bu məə-ni təggən-ji-wəl əmə-səə-mun. 1PL.EXCL oneself-GEN car-INS-PL.REFL come-PST-1PL.EXCL 우리는 우리의 차로 왔다. }}} ### 명사의 수 #### (1) 첨가적 복수 첨가적 복수(additive plural) 표지는 ‘-sal ~ -səl ~ -sɔl’에 의해 실현된다. 유정물과 무정물의 구별없이 가산 명사와 결합할 수 있지만 ‘muu(물)’과 같은 불가산 명사와는 결합할 수 없다. - 양성 모음 a, aa, o, oo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sal’ - 음성 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səl’ - 양성 모음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sɔl’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복수 표지가 결합되면 ‘n’이 탈락 {{{lex>huih1238 (kalina:2018) - bitəgə-səl : 책들 - urəl-səl : 아기들 }}} {{{eg>huih1238 (kalina:2018) tar barosi-sal-wa min-du əmbuu-xə. that ladle-PL-ACC 1SG-DATL bring-2SG.IMP 저 국자들을 나한테 가져다 다오. }}} #### (2) 연합 복수 연합 복수(associative plural) 표지는 ‘-sen’에 의해 실현된다. 사람 이름 혹은 친족용어 뒤에 결합하여 화자와 청자를 제외한 제3자들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네’와 중국어의 ‘爸爸他们’, ‘妈妈她们’의 ‘他们/她们’에 해당한다. {{{eg>huih1238 (kalina:2018) əmmə-sen ilə ul-cəə-ø? mother-ASS.PL where go(from.here)-PST-3 엄마 등이 어디 갔느냐? }}} {{{eg>huih1238 (kalina:2018) aba-sen-ji Xoi-do nin-cuu. father-ASS.PL-INS Hoi-DATL go(to.destination)-PST.1SG 아빠 등과 같이 호이에 갔다. }}} ### 격 #### (1) 주격(nominative) 주격 표지가 없다. #### (2) 속격(genitive) 속격 표지 ‘-ni’는 사람과 사물 간의 소유관계를 나타낸다.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ni’가 오면 ‘n’이 탈락된다. {{{eg>huih1238 (kalina:2018) xon-ni uldə sheep-GEN meat 양고기 }}} {{{eg>huih1238 (kalina:2018) mori-ni iggə horse-GEN tail 말꼬리 }}} 인칭대명사나 소유주에 속격 ‘-ni’가 결합할 뿐만 아니라 뒤에 오는 소유물에 다시 소유인칭표지가 결합하여 쓰인다. {{{eg>huih1238 (kalina:2018) mi-ni nuxun-bi jaan baacci-si. 1SG-GEN younger.brother/sister-1SG.POSS ten years-have 내 동생은 열 살이다. }}} {{{eg>huih1238 (kalina:2018) su-ni nuxun-cun tullə bi-ji-rən. 2PL-GEN younger.brother/sister-2PL.POSS outside be-PROG-3 너희들의 동생이 밖에 있다. }}} 속격 표지 ‘-ni’ 뒤에 소유인칭표지가 결합하여 쓰이기도 한다. {{{eg>huih1238 (kalina:2018) si-ni ada-ni-si əkki-nin xeeta-saa-ø. 2SG-GEN elder.sister-GEN-2SG.POSS pants-3POSS get.dirty-PST-3 너의 언니의 바지가 더러워졌다. }}} ‘NP-GEN’ 그 자체로 서술어로 쓰일 수 있다. {{{eg>huih1238 (kalina:2018) mi-ni. 1SG-GEN 내 것이다. }}} #### (3) 대격(accusative) (한정) 대격 표지 ‘-wa ~ -wə ~ -wɔ; -ba ~ -bə ~ -bɔ’는 지칭 대상이 한정적인 경우에 쓰이고 지시대명사 ‘ər(이)/tar(그; 저)’와 어울려 쓰이기도 한다. ‘이 N을 V하다’처럼 지시대명사와 같이 쓰일 수 있다.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ba ~ -bə ~ -bɔ’ - 나머지 경우에는 ‘-wa ~ -wə ~ -wɔ’ - 양성모음 a, aa, o, oo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wa/-ba’ - 음성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wə/-bə’ - 양성모음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wɔ/-bɔ’ {{{eg>huih1238 (kalina:2018) bi ər bitəgə-wə gada-mi. 1SG this book-ACC buy-1SG 내가 이 책을 살 것이다. }}} {{{eg>huih1238 (kalina:2018) si tar muu-si xoŋge-wa min-du əmbuu-xə. 2SG that water-have pot-ACC 1SG-DATL bring-2SG.IMP 물이 있는 냄비를 나한테 갖다줘라. }}} {{{eg>huih1238 (kalina:2018) bi su-ni xəəmə-wə-sun jit-cuu. 1SG 2PL-GEN meal-ACC-2PL.POSS eat-PST.1SG 내가 너희들의 밥을 먹었다./내가 너희들이 먹을 밥을 먹었다. }}} #### (4) 부정대격(indefinite accusative) 부정대격은 ‘-i’와 ‘-a, -ə, -ɔ’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지칭 대상이 한정적/특정적이지 않은 경우에 쓰인다. 대격과는 달리 지시대명사와 어울려 쓰이지 못한다.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모음조화에 따라 ‘-a ~ -ə ~ -ɔ’ - 나머지 경우에는 ‘-i’가 쓰인다. {{{eg>huih1238 (kalina:2018) bi xəəmə-i jittə-mi. 1SG meal-INACC eat-1SG 내가 밥을 먹는다. }}} {{{eg>huih1238 (kalina:2018) Mandi baran bitəgə-i ga-saa-ø. Mandi many book-INACC buy-PST-3 만디가 많은 책을 샀다.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i’가 생략된다. {{{eg>huih1238 (kalina:2018) amixan aagon-a aago-laa-saa-ø. uncle hat-INACC hat-VBZ-PST-3 큰아버지가 모자를 썼다. }}} 명사 부정의 ‘aasin(없다)’의 경우 부정대격과 쓰인다. {{{eg>huih1238 (kalina:2018) min-du juu-i aasin. 1SG-DATL house-INACC no 나에게 집이 없다. }}} #### (5) 조격(instrumental) 조격 표지는 ‘-j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행위의 재료, 도구, 수단’의 의미와 ‘공동’의 의미로 쓰인다. 그 외에 ‘나이 차이’, ‘배분적인 의미’, ‘모양으로’, ‘마음대로’, 그리고 일부 형용사와 결합하여 부사를 만들 수도 있다. ###### 행위의 재료, 도구, 수단 {{{eg>huih1238 (kalina:2018) addi min-du xon-ni uldə-ji silə-i ɔɔ-m boo-sɔɔ-ø. grandmother 1SG-DATL sheep-GEN meat-INS soup-INACC do-CVB give-PST-3 할머니가 저에게 양고기로 탕을 해 주셨다. }}} {{{eg>huih1238 (kalina:2018) nisxun urəl onxan-ji xəəmə-i jittə-n. small child spoon-INS meal-INACC eat-3 아기가 숟가락으로 밥을 먹는다. }}} {{{eg>huih1238 (kalina:2018) bi Xoi-txi təggən-ji gee-do nin-cuu. 1SG Hoi-ABL car-INS city-DATL go(to.destination)-PST.1SG 나는 호이에서 차로 시내에 갔다. }}} ###### 공동 {{{eg>huih1238 (kalina:2018) Mandi nuxun-ji-wi ɔsxɔn-ɔ jawa-naa-saa-ø. Mandi younger.brother/sister-INS-SG.REFL fish-INACC catch-PURP.MOTION-PST-3 만디가 동생과 같이 물고기를 잡으러 갔다. }}} {{{eg>huih1238 (kalina:2018) tar awo-ji arxi-i ima-saa-ø? (S)he who-INS alcohol-INACC drink-PST-3 그는 누구와 술을 마셨느냐? }}} ###### 나이 차이 {{{eg>huih1238 (kalina:2018) Mandi min-txi juur-ji axin. Mandi 1SG-ABL two-INS elder(man) 만디는 나보다 두 살 위다. }}} {{{eg>huih1238 (kalina:2018) ada-wi sin-txi nadan-ji əxin. elder.sister-1SG.POSS 2SG-ABL seven-INS elder(woman) 내 언니가 너보다 일곱 살 연상이다. }}} {{{eg>huih1238 (kalina:2018) bi Ilga-txi əmən-ji nuxun. 1SG Ilga-ABL one-INS younger 나는 일가보다 한 살 연하다. }}} ###### 배분적 의미 수사나 형용사와 결합하여 배분적인 의미로 쓰인다. 한국어의 ‘-씩’에 해당한다. {{{eg>huih1238 (kalina:2018) əmən əmən-ji jik-kə. one one-INS eat-2SG.IMP 하나하나씩 먹어라. }}} {{{eg>huih1238 (kalina:2018) tar-ni ənuxu-nin xɔndɔ xɔndɔ-ji ai ɔɔ-ji-rɔn. (S)he-GEN disease-3POSS little little-INS good become-PROG-3 그의 병은 조금씩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 주어가 유정물인 경우 ‘-ji’ 뒤에 재귀소유인칭표지 중의 복수형 ‘-wal ~ -wəl ~ -wɔl; -bal ~ -bəl ~ -bɔl’이 결합된다. {{{eg>huih1238 (kalina:2018) su toŋ toŋ-ji-wal ii-xəldun. 2PL five five-INS-PL.REFL come.in-2PL.IMP 너희들, 다섯 명씩 들어와라. }}} {{{eg>huih1238 (kalina:2018) xəbbə-səl əmən əmən-ji-wəl xorgan-do ii-ji-rən. lamb-PL one one-INS-PL.REFL pen-DATL come.in-PROG-3 새끼양들은 한 마리 한 마리씩 우리에 들어가고 있다. }}} ###### 모양으로 {{{eg>huih1238 (kalina:2018) ər durən-ji-wəl xeena-wal ɔɔxi-do xadi-m ətə-ccun?! this shape-INS-PL.REFL hay-PL.REFL how.many-DATL cut-CVB can-2PL 너희들은 이 모양으로/이대로 언제 건초를 다 벨 수 있느냐?! }}} ###### 마음대로 {{{eg>huih1238 (kalina:2018) ukkəxən urəl-ki juu-i doran-ji-wi sandaa-ran. male child-TOP home-INACC likes-INS-SG.REFL mess.up-3 (보통) 남자 아이는 집을 마음대로 어지럽힌다. }}} {{{eg>huih1238 (kalina:2018) tar urəl-səl juu-wəl doran-ji-wal sandaa-saa-ø. that child-PL home-PL.REFL likes-INS-PL.REFL mess.up-3 그 아이들이 집을 마음대로 어지럽혔다. }}} ###### 조격 표지 ‘-ji’가 일부 형용사 뒤에 결합하여 부사 파생 접사로도 쓰인다. {{{eg>huih1238 (kalina:2018) bi tar onta-wa ai-ji titə-suu. 1SG that shoes-ACC good-INS put.on-PST.1SG 나는 그 신발을 잘 신었다. /오래 신었다. }}} {{{eg>huih1238 (kalina:2018) su təggən-bəl nandaxan-ji joxaa-saa-son. 2PL car-PL.REFL good-INS repair-PST-2PL 너희들이 차를 잘 수리했다. }}} {{{eg>huih1238 (kalina:2018) tar onaji nuuttə-wi gujəəmtxən-ji ui-səə-ø. that girl/daughter hair-SG.REFL beautiful-INS tie-PST-3 그 여자가 머리를 예쁘게 묶었다. }}} #### (6) 여처격(dative-locative) 여처격 조사는 ‘-do ~ -du’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명사나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와 결합하여 구체적인 ‘-에; -에서’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양성모음 a, aa, o, oo,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do’ - 음성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du’ - ‘juu(집)’의 경우 ‘-du’와 결합할 때 ‘juu-ddu’가 된다. ###### ‘-do ~ -du’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처소’의 의미이다. {{{eg>huih1238 (kalina:2018) Mandi-ni elan urəl-nin sorgol-do ul-ji-rən. Mandi-GEN three child-3POSS school-DATL go(from.here)-PROG-3 만디의 세 아이가 학교를 다닌다. }}} {{{eg>huih1238 (kalina:2018) miti ər ɔrɔi muu-du ii-nəə-gəri. 1PL.INCL this evening water-DATL come.in-PURP.MOTION-HORT 우리가 오늘 저녁에 목욕하러 갑시다. }}} {{{eg>huih1238 (kalina:2018) bəəjin-du odan tokka-saa-ø gunə-n. Beijing-DATL rain fall-PST-3 say-3 베이징에서 비가 왔다고 한다. }}} ###### ‘-do ~ -du’가 가진 ‘처소’의 의미는 ‘시간’, ‘원인’, ‘단위’의 의미로도 쓰인다. {{{eg>huih1238 (kalina:2018) timaasin əddə jaan sag-do əmə-xə. tomorrow morning ten hour/watch-DATL come-2SG.IMP 내일 아침 열 시에 와라. }}} {{{eg>huih1238 (kalina:2018) si-ni lɔxɔ-sɔɔ uuŋkə-səl-ci ədin-du ədi-muu-səə-ø. 2SG-GEN hang-PTCP.PST towel-PL-2SG.POSS wind-DATL wind-PASS-PST-3 네가 널어놓은 수건들이 바람에 날아갔다. }}} {{{eg>huih1238 (kalina:2018) goral xəəmə juur taŋgor-do-wi orin yɔn. flour meal two bowl-DATL-SG.REFL twenty yuan 칼국수 두 그릇에 이십 위안이다. }}} ###### 여처격 조사 ‘-do ~ -du’는 ‘buu-rən(주다)’, ‘ga-m boo-ran(사 주다)’, ‘uuŋii-rən(보내다)’와 같은 수여동사와 어울려 쓰이기도 한다. {{{eg>huih1238 (kalina:2018) aba min-du baran bitəgə-i ga-m boo-saa-ø. father 1SG-DATL many book-INACC buy-CVB give-PST-3 아버지가 저한테 많은 책을 사 주셨다. }}} {{{eg>huih1238 (kalina:2018) bi Mandi-do təggəcci-i ga-cci uuŋii-suu. 1SG Mandi-DATL clothes-INACC buy-CVB send-PST.1SG 내가 만디에게 옷을 사서 보냈다. }}} {{{eg>huih1238 (kalina:2018) si ilga-do muu-i buu-xə. 2SG flower-DATL water-INACC give-2SG.IMP 네가 꽃에 물을 줘라. }}} ###### 지시대명사와 결합된 ‘ədu(여기에)’와 ‘tado(거기에/저기에)’는 모두 구체적인 ‘바로 여기에’, ‘바로 거기에/저기에’라는 의미로 쓰인다. {{{eg>huih1238 (kalina:2018) si-ni soobala-si ədu bi-ji-rən. 2SG-GEN bag-2SG.POSS here be-PROG-3 너의 가방이 여기에 있다. }}} {{{eg>huih1238 (kalina:2018) tado awo təgə-səə-ø? there who sit-PST-3 거기에/저기에 누가 앉았느냐? }}} #### (7) 방위격(directional) ‘-la ~ -lə ~ -lɔ; -dola ~ -dulə ~ -dolɔ’는 처소를 나타내는 명사나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 뒤에 결합하여 구체적이지 않은 ‘쪽에; 주변에’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친족용어나 인칭대명사 뒤에 쓰일 때는 ‘-네 집’, ‘-에게’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la ~ -lə ~ -lɔ’ -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dola ~ -dulə’ - ‘juu(집)’은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지만 ‘-dulə’와 같이 쓰인다. - 양성모음 a, aa, o, oo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la/-dola’ - 음성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lə/-dulə’ - 양성모음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lɔ/-dolɔ’가 결합된다. ###### 처소를 나타내는 명사와의 결합 양상 {{{eg>huih1238 (kalina:2018) sorgol-dola tɔgɔ təŋkə-səə-ø. school-DIR fire break.out-PST-3 학교에서 불이 났다. }}} ###### 친족용어와의 결합 양상 {{{eg>huih1238 (kalina:2018) bi əsi addi-la nin-ji-mi. 1SG now grandmother-DIR go(to.destination)-PROG-1SG 나는 지금 할머니 집에 가고 있다. }}} {{{eg>huih1238 (kalina:2018) ənixən-dulə xəəmə-i jit-kuu-suu. aunt-DIR meal-INACC eat-PURP.MOTION-PST.1SG 내가 큰어머니 집에 밥을 먹으러 갔다. }}} {{{eg>huih1238 (kalina:2018) ada-la-si awo bisi-n? elder.sister-DIR-2SG.POSS who be-3 너의 언니네 집에 누가 있느냐? }}} ###### 지시대명사와의 결합 양상 {{{eg>huih1238 (kalina:2018) ta-la baran bəi orat-caa-ø. that-DIR many person gather-PST-3 그쪽에/저쪽에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 ###### 인칭대명사와의 결합 양상 {{{eg>huih1238 (kalina:2018) si-ni anoxo-si min-dulə bi-ji-rən. 2SG-GEN key-2SG.POSS 1SG-DIR be-PROG-3 너의 열쇠가 나에게 있다. }}} {{{eg>huih1238 (kalina:2018) mun-dulə əmə-xə. 1PL.EXCL-DIR come-2SG.IMP 우리 집으로 와라. }}} #### (8) 탈격(ablative) 탈격은 ‘-txi’에 의해 실현된다. 주로 동작행위의 출발점, 장소, 시간 등의 의미를 표현한다. 그 외에 도착점을 나타내기도 하고 비교격 용법과 부분격 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 출발점, 장소, 시간: ‘-에서; -부터’ {{{eg>huih1238 (kalina:2018) aba timaasin Xoi-txi əmə-ggii-rən. father tomorrow Hoi-ABL come-back-3 아버지가 내일 호이로부터 돌아온다. }}} {{{eg>huih1238 (kalina:2018) nuxun-bi ɔr-txi tixə-səə-ø. younger.brother/sister-1SG.POSS bed-ABL fall-PST-3 동생이 침대에서 떨어졌다. }}} {{{eg>huih1238 (kalina:2018) juur sag-txi elan sag jakka əmən sag aasin-gari. two hour/watch-ABL three hour/watch edge/till one hour/watch sleep-HORT 두 시부터 세 시까지 한 시간 잡시다. }}} ###### 도착점 {{{eg>huih1238 (kalina:2018) ə-txi əmə-xə. this-ABL come-2SG.IMP 이리로 와라. }}} {{{eg>huih1238 (kalina:2018) si aba-txi nin-kə. 2SG father-ABL go(to.destination)-2SG.IMP 너는 아버지한테 가거라. }}} {{{eg>huih1238 (kalina:2018) Mandi sun-txi nin-cəə-ø. Mandi 2PL-ABL go(to.destination)-PST-3 만디가 너희들의 집으로 갔다. }}} ###### 비교격 용법 {{{eg>huih1238 (kalina:2018) ərnig tiinug-txi namaddi. today yesterday-ABL warm 오늘은 어제보다 따뜻하다. }}} {{{eg>huih1238 (kalina:2018) tar-ni xoni-nin miti-ni-txi baran. (S)he-GEN sheep-3POSS 1PL.INCL-GEN-ABL many 그의 양은 우리 것보다 많다. }}} ###### 부분격 용법 {{{eg>huih1238 (kalina:2018) bi si-ni satan-txi-si əmən anta-m isi-gədi. 1SG 2SG-GEN sugar/candy-ABL-2SG.POSS one taste-CVB look-1SG.VOL 내가 너의 사탕을 한 번 맛볼게. }}} #### (9) 부정방향격(indefinite directional) 부정방향격은 ‘-txaaxi ~ -txəəxi ~ -txɔɔx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명확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갈 때 쓰이는 것이다. 즉 행위주가 향해 가는 곳은 목적지가 아닐 수도 있을 때 쓰인다. 한국어의 ‘-을 향해; -쪽으로; -(으)로’에 해당한다. - 양성모음 a, aa, o, oo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txaaxi’ - 음성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txəəxi’ - 양성모음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txɔɔxi’ {{{eg>huih1238 (kalina:2018) əsxun Mandi ɔtɔr-txɔɔxi nin-ji-səə-ø. just.before Mandi a.flock.of.sheep-INDIR go(to.destination)-PROG-PST-3 좀 전에 만디가 양떼 쪽으로 가고 있었다. }}} {{{eg>huih1238 (kalina:2018) sɔttɔ bəi miti-txəəxi əmə-ji-rən. drunken person 1PL.INCL-INDIR come-PROG-3 술에 취한 사람이 우리를 향해 오고 있다. }}} #### (10) 방위탈격(elative) 방위탈격은 ‘-laxi ~ -ləxi ~ -lɔxi; -dolaxi ~ -duləxi ~ -dolɔx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방위격의 ‘-la ~ -lə ~ -lɔ; -dola ~ -dulə ~ -dolɔ’ 뒤에 탈격 표지 ‘-txi’의 ‘-xi’가 결합된 것인 듯하다. 명사뿐만 아니라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 재귀대명사와 결합하여 구체적이지 않은 ‘쪽에서(부터)’라는 의미를 표현한다. -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laxi ~ -ləxi ~ -lɔxi’ -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 ‘-dolaxi ~ -duləxi ~-dolɔxi’ - ‘juu(집)’은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지만 ‘-duləxi’와 같이 쓰인다. - 양성모음 a, aa, o, oo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laxi/-dolaxi’ - 음성모음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ləxi/-duləxi’ - 양성모음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lɔxi/-dolɔxi’가 결합된다. {{{eg>huih1238 (kalina:2018) ər beenci-wa bi ada-laxi əmuu-suu. this dumpling–ACC 1SG elder.sister-ELAT bring-PST.1SG 이 만두를 내가 언니 집에서/언니 쪽에서 가져왔다. }}} {{{eg>huih1238 (kalina:2018) ta-laxi əmən bəi əmə-ji-rən. there-ELAT one person come-PROG-3 저 쪽에서 한 사람이 오고 있다. }}} {{{eg>huih1238 (kalina:2018) Mandi min-duləxi əmə-suu gunə-n. Mandi 1SG-ELAT come-PST.1SG say-3 만디는 내 집에서/쪽에서 왔대. }}} #### (11) 방면탈격 방면탈격 ‘-giji/-ggiji’에 의해 실현된다. 이는 동작행위의 시작점/출발점임을 나타내는 표지이고 처소명사, 대명사, 방위사와 결합하여 쓰인다. 그러나 시간 명사와 친족용어 뒤에는 쓰일 수 없다. - ‘juu(집)’, ‘ə-(이)’, ‘ta-(그/저)’ 뒤에는 '-ggiji' - 나머지 경우에는 '-giji' {{{eg>huih1238 (kalina:2018) Mandi juu-ggiji-wi(>juu-ggiji) sorgol-do ul-ji-rən. Mandi home-from-SG.REFL school-DATL go(from.here)-PROG-3 만디가 집에서 학교에 다닌다. }}} {{{eg>huih1238 (kalina:2018) timaasin som-giji adi bəi əmə-rən gunə-n. tomorrow village-from how.many person come-3 say-3 내일 마을로부터 몇 명이 온대. }}} {{{eg>huih1238 (kalina:2018) dɔɔ-wɔl təlin-giji əəkkəə-gəri. song-PL.REFL just.before-from start-HORT 노래를 처음부터 시작합시다. }}} {{{eg>huih1238 (kalina:2018) mu-ni ami-giji-mon əmən moc-ci bəi əmə-ji-rən. 1PL.EXCL-GEN behind-from-2PL.EXCL one horse-have person come-PROG-3 우리 뒤에서 말을 탄 한 사람이 오고 있다. }}} #### (12) 경로격(prolative) 경로격 조사는 ‘-li; -doli ~ -duli’에 의해 실현된다. ‘-을 통과해서’와 ‘-을 따라’라는 의미 외에 ‘-쯤’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 ‘-n’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doli ~ -duli’ - 'juu(집)'의 경우 '-duli'와 결합한다. - 나머지 경우에는 '-li' - 양성모음으로 a, aa, o, oo, ɔ, ɔɔ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doli' - 음성모음으로 ə, əə, u, uu로 구성된 명사 뒤에는 '-duli' ###### -을 통과해서 {{{eg>huih1238 (kalina:2018) Mandi juu-ni anoxo-wi əmi baxa-ra sɔŋkɔ-li ii-səə-ø. Mandi home-GEN key-SG.REFL NEG find-PTCP.NPST window-PROL come.in-PST-3 만디가 자기 집 열쇠를 못 찾아서 창문으로 들어왔다. }}} {{{eg>huih1238 (kalina:2018) Olan-Bolag-li-son əmə-ggii-səə-mun. Olan.Bolag-PROL-2PL.POSS come-back-PST-1PL.EXCL 우리가 (너희들이 살고 있는) 올란뽀락을 통과해서 돌아왔다. }}} {{{eg>huih1238 (kalina:2018) tar odan-doli pəcci-m mun-dulə əmə-səə-ø. (S)he rain-PROL brave-CVB 1PL.EXCL-DIR come-PST-3 그는 비를 무릅쓰고 우리 집에 왔다. }}} ###### -을 따라 {{{eg>huih1238 (kalina:2018) bu Xoi dɔɔ-li əmə-ggii-səə-mun. 1PL.EXCL Hoi river-PROL come-back-PST-1PL.EXCL 우리는 호이 강을 따라 돌아왔다. }}} ###### -쯤 {{{eg>huih1238 (kalina:2018) bi juur sag-li dɔɔtɔr-do ninə-mi. 1SG two hour/watch-PROL hospital-DATL go(to.destination)-1SG 내가 두 시쯤에 병원에 갈 것이다. }}} {{{eg>huih1238 (kalina:2018) imanda tokka-cci bolcidda-li esa-saa-ø. snow fall-CVB calf-PROL arrive-PST-3 눈이 내려서 종아리쯤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