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리어의 양사에는 명량사와 동량사가 있다. #### 명량사 - 일반 양사 : hom53(개, 个), tsuːn1(개, 분 位) laŋ53(마리, 只), khɯːŋ55(그루, 棵), fan11(건,件) - 도량형 양사 : 이들은 대부분 한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mou11(亩), do53(丈), tshiːu55(尺), da11(石), kha55(升), kin11(斤), lɯːŋ55(两)등이 있다. - 동사에서 변화 양사 : khop55(捀), khoːn11(捆) #### 동량사 - faːi53(下, 次), kaːi11(回, 次, 遍), kuːn(趟, 遍, 顿)등이 있다. ### 양사의 특성 - 명량사와 명사가 결합할 때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즉, 사람은 성별에 관계없이 반드시 tsuːn53를 사용해야 하고, 동물은 반드시 laŋ53를 쓰고, 상의는 fan11를 사용하고, 바지는 반드시 hja55를 사용해야 한다. - 동량사의 용법은 보편성이 비교적 강한데, 하나의 동사는 몇개의 다른 양사로 부정확한 '양'을 나타낼 수 있으며, 하나의 양사가 각기 다른 동사와 결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hai55tsɯ55faːi53(打一下), thaːi55kuːn53(打一顿)이다. - 리어의 양사는 중첩할 수 없다. - 동족 언어의 양사는 종종 단독으로 명사의 앞에 쓰일 수 있으나, 리어의 양사는 단독으로 쓰일 수 없으며, 반드시 수사가 있어야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3) tsɯ55 hom53 hwou11 nei55 pheːk55 dat55 one CL mountain this high very 이 산은 매우 높다. }}} - 언어환경이 있을 경우, 양사와 수사가 결합하여 주어와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 지시대사의 수식을 받을 때는 앞에 올 수도 있고, 뒤에 올 수도 있다. - pun1은 집체양사로 11, 10개, 10마리의 의미를 나타낸다. - 동량사는 수사와 결합하여 동사를 수식할 수 있으며, 동사의 뒤에 놓여 보어로 쓰인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4) tsɯ55 hwan53 aːp55 fu11 kaːi11 one day Takeashower three CL 하루에 세번 샤워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