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6_ptcl : 첨사(particle) 리어의 첨사에는 kɯ11, ɯ11, daːn11, leːŋ11, dua11, laːi11, la55 등이 있다. ### 첨사 kɯ11 - kɯ11는 종속관계를 나타내는 구조조사이다. 그 위치는 종속자의 앞에 놓인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9) nei55 kɯ11 ɯ11ra11? this PTCL Q 이것은 누구의 것입니까? }}} - 만약 피종속자의 명사를 중복 출현하고자 한다면, kɯ11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9) koŋ53 nei55 koŋ53 ɯ11ra11 thing this thing Q 이 물건은 누구의 것입니까? }}} - 모든 종속자를 나타내는 대사와 명사의 앞에는 kɯ11를 부가할 수 있다. 그러나 'kɯ11+대사(명사)'를 수식어로 쓰지는 않는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9) jou11 pat55 kɯ11 aːu53 don't take PTCL other 다른 사람의 책을 가져가지 마세요. }}} ### 첨사 ɯ11 - ɯ11는 동사, 형용사 혹은 구의 앞에 부가할 수 있으며, 조사구조를 구성한다. 이러한 조사 구조는 문장의 주어, 목적어, 관형어 등으로 쓰일 수 있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9) ɯ11 loŋ53 fei53, ɯ11 eɳ55 gou55 PTCL big go PTCL small run 큰 것은 걷고, 작은 것은 달린다. }}} - 경우에 따라 ɯ11는 어떤 명사의 앞에 쓰일 수도 있는데, 이때 명사와 ɯ11은 결합한 후에 의미상에 변화가 있는데, 하나의 형용사처럼 쓰이며 이 또한 명사의 활용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 첨사 daːn11 - daːn11의 원래 의미는 '도착하다(到)'로 동사나 형용사의 뒤에 놓여 구조조사로 쓰이며 뒤에 있는 보어를 연결한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19) na53 raːu53 daːn11 rak55 nom11tsha53 3SG smile PTCL flow tear 그는 웃겨서 눈물이 흐른다. }}} - daːn11를 사용하여 연결된 보어는 단지 정도나 결과를 나타낸다. 즉 동작 혹은 상황이 어떠한 정도에 다다랐음을 나타낸다. ### 첨사 leːŋ11 - leːŋ11는 구조조사로 관형어의 주술구와 피수식 명사의 사이에 쓰인다. ### 첨사 dua11 - dua11의 원래의미는 '~한 적이 있다(过)'로 동사의 뒤에서 시태조사로 쓰이며 동작의 경험을 나타낸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20) ɯ11ra11 hei53 dua11 bak55kiŋ11? Q go PTCL PR.beijing 누가 북경에 가 본 적이 있니? }}} ### 첨사 laːi11 - laːi11는 동사의 뒤에 쓰여 동작의 시도를 나타낸다. {{{eg>hlai1239 (ouyangjueyazhengyiqing2006:420) zau53 hou53 vuːk55 laːi11 let 1SG do PTCL 나에게 한번 해보게 해주세요. }}} ### 첨사 la55 - la55는 이중목적어구에 쓰이는데 사람목적어의 뒤에서 승계함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