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아래와 같은 음절구조가 가능하다(Laanest1993:57) 1) (C)V: ka-la 'fish', a-has 'narrow' 2) CV̅: hā-pa 'aspen' 3) (C)VV: au-ki ‘open.ADJ’ 4) (C)VC: ek-len ‘yesterday’ 5) (C)V̅C: sāp-pahat ‘boots’, ōt-telen ‘wait.1SG.PRS’ 6) (C)VVC: peit-täk ‘hide', euk-si 'entrance hall' 7) (C)VCC: help-i ‘easy’, ant-tā ‘give.3SG.FUT’ 8) (C)V̅CC: ȫks ‘(stay) for night’ 9) CVVCC: voiks ‘turn into fat' - 모음보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이 빈번하다 - 2-3개의 자음군으로 시작하는 음절은 차용어나 의성어에서만 나타난다 예) trah-tori ‘tractor’, stol-la-ri 'joiner, carpenter' klāt-tiak 'iron.INF' - 음절의 마지막에 오는 자음군은 유음/비음 + 파열음/s: lk, lp, ls, mp, ŋk, nt, rk, rp, rs, rt - 역사적으로 이중모음은 i, u, ü로 끝나는 이중모음이 먼저 생겨났고, 추가적으로 자음 탈락의 결과로 생긴 이중모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