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_verb : 동사 (verb) ### 부정사(INF) - 접미사: -tak, -täk, -ak, -äk, -ma-/-mä- (Laanest1993) - 비고. Chernjavskij(2005:34): 두 가지 종류의 부정사 형태가 있으며, 각각의 형태가 몇 가지 격변화형을 지닌다 1) 제1 부정사 : 주로 -(t)- 접미사 + 격어미 형태를 갖는다 1-1) 부분격(INF.PART): 동사 küssüüä, püütää (ask), alkaa 'begin', tahota 'want', suvata 'love', vässüüä 'get tired of', pittää 'need to' 다음에 쓰이며 -a(ä), -ta(tä), -ssa(ssä)의 어미를 쓴다 {{{eg>ingr1248 (Chernjavskij2005:34) Tahon lää-tä want.PRS.1SG speak-INF.PART 나는 말하고 싶다 }}} 1-2) 재내격(INF.INE): 본동사와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을 가리키며(러시아어의 현재능동분사와 유사), -eez, -teez, -sseez의 어미를 쓴다 {{{eg>ingr1248 (Chernjavskij2005:34) Höö männää lää-teez 3PL go.PRS.3PL speak-INF.INE 그들은 이야기를 나누며 가고 있다 }}} 2) 제2 부정사 : 주로 -m- 접미사 + 격어미 형태를 갖는다 2-1) 내향격(INF.ILL) : manna ‘go(идти)’, lähtiä ‘go(пойти)’, noissa ‘become’ 과 함께 쓰이거나 러시아어의 접속사 что 'that' 나 чтобы 'in order to' 다음에 오는 동사의미와 유사하다. -maa(-mää), -mmaa(-mmää)어미를 쓴다 {{{eg>ingr1248 (Chernjavskij2005:34) Miä lähen lakkää-mää 1SG go.FUT.1SG speak-INF.ILL 나는 말하러 갈 것이다 }}} {{{eg>ingr1248 (Chernjavskij2005:34) Issuu lakkää-mää! sit.IMP.2SG speak-INF.ILL 이야기 좀 하게 앉아봐! }}} 비고. 2인칭 단수 명령법은 동사의 어간만 사용(어미 없음). 48_TAME 문서 참조. 2-2) 재내격(INF.INE): 영어의 진행형처럼 과정의 지속을 의미하며 -maaz(määz) 어미를 쓴다. {{{eg>ingr1248 (Chernjavskij2005:35) Miä oon läkkää-määz 1SG BE.PRS.1SG speak-INF.INE 나는 지금 말하고 있다 }}} 2-3) 외향격(INF.ELA): 어미 -mast(mäst)로 이전 행동과 그 영향의 끝을 의미한다. {{{eg>ingr1248 (Chernjavskij2005:35) Hää poistui läkkää-mäst 3SG leave.PST.3SG speak-INF.ELA 그는 이야기하던 곳에서 떠났다 }}} 2-4) 결여격(INF.ABE): 행위의 불완료를 의미하며 러시아어의 부정 부동사(negative gerund) 및 완망상 과거분사에 해당한다. 어미 -mata(mätä)를 쓴다. {{{eg>ingr1248 (Chernjavskij2005:35) Hää poistui läkkää-mätä 3SG leave.PST.3SG speak-INF.ABE 그는 말을 하지 않고 떠났다 }}} ### 정형동사 - 주어와 수, 인칭 일치 | 현재 단수 || 현재 복수 || | 인칭 | 어미 | 인칭 | 어미 | | 1 | -n | 1 | -(m)man/-(m)män | | 2 | -t | 2 | -tta/-ttä | | 3 | -V, -pi | 3 | -Vt, -vat/-vät | - olla 'BE' 동사의 현재 활용형 (비고. '~가 없다'는 비인칭 부정의미로는 eijoo 형태가 굳어짐. Chernjavskij2005:11) | 인칭.수 | 긍정 | 부정 | | 1SG | oon | en oo | | 2SG | oot | et oo | | 3SG | on | ei oo | | 1PL | oomma | emmä oo | | 2PL | ootta | että oo | | 3PL | ollaa | evät oo | - olla 'BE 동사의 과거 활용형(비고. '~가 없다'는 비인칭 부정의미로는 eijolt. Chernjavskij2005:13) | 인칭.수 | 긍정 | 부정 | | 1SG | olin | en olt | | 2SG | olit | et olt | | 3SG | oli | ei olt | | 1PL | olimma | emmä olt | | 2PL | olitta | että olt | | 3PL | oltii | evät oltu | - 시제/법 표지가 인칭표지보다 선행 {{{eg>ingr1248 (Laanest1993:61) kuo-i-n weave-PST-1SG 나는 뜨개질을 했다 }}} {{{eg>ingr1248 (Laanest1993:61) kutto-isi-n weave-COND-1SG 내가 뜨개질을 할텐데 я ткал бы }}} - 비고. 비한정 인칭 표지(indefinite-personal form marker)는 다른 표지를 선행: -(t)ta/-(t)tä, -a/-ä {{{eg>ingr1248 (Laanest1993:61) kuo-tta-is weave-INDEF.PERS-COND 뜨개질을 할텐데 ткали бы }}} ### 분사 #### 능동분사 - 형태: 제 1부정사의 어간 + 모음 뒤 -nt, 자음 뒤 -t - 과거능동분사에 해당. 현대 이조르어에서 단독으로는 활용형을 갖지 않고 동사의 복합시제를 만들 때만 사용 {{{eg>ingr1248 (Chernjavksij2005:44) kuttoo-nt bind-PTCP.ACTV.PST 묶은(who have tied, связавший) }}} {{{eg>ingr1248 (Chernjavksij2005:44) tul-t come-PTCP.ACTV.PST 도착한(who had come, пришедший) }}} #### 피동분사 - 형태: -tu(tü), -ttu(ttü) - 과거피동분사에 해당. 현대 이조르어에서 단독으로는 활용형을 갖지 않고 동사의 복합시제를 만들 때만 사용 {{{eg>ingr1248 (Chernjavksij2005:44) the-tü do-PTCP.PASS.PST 되어있는 }}} {{{eg>ingr1248 (Chernjavksij2005:44) anne-ttu give-PTCP.PASS.PST 주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