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_verb : 동사 (verb) 지눠어의 판단동사(계사)와 하강조 동사, 평조 동사는 성조변화를 사용해서 서로 다른 문장 형식을 나타낸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판단동사(계사) ŋə42의 변화 판단동사(계사) ŋə42 는 세 가지 서로 다른 굴절변화를 사용해서 의문, 부정, 긍정, 감탄 등의 네 가지 서로 다른 “문장형식”을 나타낸다. (1) 의문문은 ŋə42→ŋə44 의 형식을 써서 나타낸다.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ɕe33 ɤ33 to55tshi44 ŋə44 ɛlɑ42? this TOP poison COP Q 이것은 독약이니? }}} (2) 부정문은 ŋə42→ŋə44와 그 앞에 부정부사 mɔ44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ɕe33 ɤ33 to55tshi44 mɔ33 ŋə44ɑ. this TOP poison NEG COP 이것은 독약이 아니다. }}} (3) 긍정문(肯定式): ŋə42→ŋə35 {{{eg>youl1235 (gaixingzhi2007:934) ɕe33 ɤ33 to55tshi44 ŋə35ɑ. this TOP poison COP 이것은 독약이다. }}} (4) 감탄문: ŋə42→ŋɑ55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tʃa42lœ33, ɕe33 ɤ33 to55tshi44 ŋɑ55. EXCLAM this TOP poison COP 아이고, 이것은 독약이구나. }}} (5) 일반 평서문(陈述式)은 판단동사 ŋə42의 원형을 쓴다.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ɕe33 ɤ33 to55tshi44 ŋə42ɑ. this TOP poison COP 이것은 독약이다. }}} ### 판단 동사(계사) 이외의 동사. 일반동사는 고조(高声调, 35조)로 의문문, 긍정문, 감탄문, 명령문 등 문장 유형을 모두 나타낸다. 즉, 문장 유형에 따른 성조 굴절 변화가 없다. 하강조 동사는 제일 많이는 5가지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고, 평조 동사는 3가지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고평조동사는 성조 굴절로 문장 유형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하강조동사(降调动词) 1) 5가지 변화가 있는 경우: '42조→35조'로 의문문, 긍정문, 감탄문, 명령문을 나타내고, '42조→44조'로 부정문을 나타낸다. ① 의문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nə42 phɔ35 fɑ44 lɑ42? 2sg buy PTCL Q 너 샀니? }}} ② 긍정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nə42 phɔ35 fɑ44. 2sg. buy PTCL 너 샀다. }}} ③ 감탄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tʃɑ42lœ33, nə42 phɔ35! EXCLAM 2sg. buy 어머, 너 샀구나! }}} ④ 명령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nə42 phɔ35 o44! 2sg. buy IMP 너 사라. }}} ⑤ 부정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nə42 mɔ33 phɔ44 sɑ44. 2sg. NEG buy yet 너 아직 사지 않았다. }}} 2) 2가지 변화가 있는 경우: '42조→35조'로 의문문, 긍정문을 나타내고 다른 문장 유형은 없다. ① 의문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khə42 phɛ35 fɑ44 lɑ42? 3sg. cut PTCL Q 그는 베었니? }}} ② 긍정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khə42 phɛ35 fɑ44. 3sg. cut PTCL 그는 베었다. }}} (2) 평조동사(平调动词)(33조, 44조 포함) '33조→44조', '44조→35조'의 형식을 사용해서 의문문, 긍정문, 감탄문을 나타낼 수 있다. 33조→35조: 의문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khə42 tɕhø35 fɑ44 lɑ42? 3sg. cut PTCL Q 그는 깎았니? }}} 긍정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khə42 tɕhø35 fɑ44. 3sg. cut PTCL 그는 깎았다. }}} 감탄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5) tʃɑ42lœ33, khə42 tɕhø35 fɑ44! EXCLAM 3sg. cut PTCL 어머, 그가 깎았어! }}} 44조→35조: 의문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6) khə42 tsɔ35 fɑ44 lɑ42? 3sg. eat PTCL Q 그가 먹었어? }}} 긍정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6) khə42 tsɔ35 fɑ44. 3sg. eat PTCL 그가 먹었어. }}} 감탄문: {{{eg>youl1235 (gaixingzhi2007:936) tʃɑ42lœ33, khə42 tsɔ35 fɑ44! EXCLAM 3sg. eat PTCL 어머, 그가 먹었어! }}} (3) 고평조동사(高平调动词): 문장 유형에 따른 성조 굴절이 없다. 예: tʃhɑ55 '끓이다' (4) 둘 이상의 동사가 복합형식으로 사용될 경우 두 번째 동사가 변화를 겪는다. 예: thɔ42tsɔ44→thɔ42tsɔ35 '쪼아먹다’ ### 동사-명사 동형 (1) AA형: 동사와 명사의 형태가 완전히 같은 단어. 이런 단어는 소수이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16) mi44 mi31/35 a44 nɛ33. fire extinguish PTCL DEC 불이 꺼졌다. }}} (2) ABA형: 동사와 명사의 첫음절이 같은 단어. 이런 단어는 많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16) khɤ31 ja32pja31 ja31 kɔ33 nɛ33. 3sg. broom sweep PROG DEC 그는 바닥을 쓸고 있다. }}} (3) ABB형: 동사와 명사의 두 번째 음절이 같음. 이런 단어는 제일 많다. 자연 현상이나 상황, 도구, 신체동작, 입고 쓰기 등 상황에 쓰인다. 1) 자연 현상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18) a44po33 po33 to31 nɛ33. flower bloom out DEC 꽃이 피었다. }}} 2) 도구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19) tɛ31klʌ33 (jʌ33) lo31mɔ33 klʌ33 to31. lever(noun) PTCL stone lever(verb) out 지레로 돌을 꺼내다. }}} 3) 신체동작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20) la54thu31 thu31 fist clench 주먹을 쥐다. }}} 4) 입고 쓰기의 예는 다음과 같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20) kɔ44tø33 tø33 clothes put.on 옷을 입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