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_adv : 부사 (adverb) 부사는 동사, 형용사를 수식한다. 정도, 범위, 시간, 상태, 부정, 빈도, 방식을 나타내는 부사어로 사용된다. 대부분 부사어+피수식어의 어순이며 소수는 피수식어+부사의 어순을 갖는다. 극소수의 부사는 문두나 문미에 분포한다. ### 정도부사 (1) ʈʃi54/a44khɯ33ŋje44: 매우, 가장(很,最,十分,极)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58) ŋo31 a44khɯ33ŋje44 ɯ31/44 nu44 a33 1sg. very laugh think PTCL 나는 무척 웃고 싶다. }}} (2) ʈʃɣ44: 더, 더욱(更,越)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58) zɔ44ku44 ʈʃɣ44 thʌ54 a33 tsɔ44 nu44 nɛ33 child more many PTCL eat think DEC 아이는 먹을 것을 가지고 다투려고 한다. }}} (3) thɛ31tɛ44: 바로 적합한(正(合适)), 바로 알맞은(正(好)).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59) mʌ44 ʈʃi54 mʌ44/33 thʌ44 a33 thɛ31tɛ44 jɔ44 a33 NEG little NEG many PTCL just right PTCL 적지도 많지도 않고 딱 알맞다. }}} ### 범위부사 (1) lɯ54/tɯ54/ɯ54: 단지, 다만(仅,只). 수식 명사성 성분에 뒤에 놓거나 수량구 위에 놓는다. 'lɯ54'과 'tɯ54'는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ɯ54'는 'lɯ54'과 'tɯ54'의 축약 변이음이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0) khɣ31 ja54 zɔ44ku44 thi44 xjo31 ɯ54 ŋɤ31 nɛ33 3sg. PTCL child one CL only be DEC 그는 오직 아이가 하나 있다. }}} (2) khɔ44: 것(所) 1) 동사 앞에 분포, 조사(mɣ33)와 함께 명사화구조나 관계화 구조를 만듬. (所~的)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1) a44kje44 khɔ44 ŋɤ31/44 mɣ33/44 ŋo31 tsɔ44 nu44 a33 food REL this NMLZ 1sg. eat want PTCL 모든 요리를 나는 (먹기) 좋아합니다.(所有的菜我都喜欢吃) }}} 2) 동사 앞에 쓰여서 동사와 함께 'khɔ44+동사+mʌ33+상동동사' 구조를 구성한다. 어떤 행위 동작이 매우 적게 발생하거나 혹은 사건이 매우 적게 출현함을 나타낸다. ### 시간부사 주로 동사 앞에 분포하며, 동사 뒤에 분포하는 경우도 있지만 매우 소수이다. (1) a44fu44, a44no31 : 먼저(先), 나중(后)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1) nʌ31 a44fu44 ʃɯ54khjœ31ʃɯ54/44m31/54, ŋu54ju33 a44no31 tʃhʌ31 khjœ31 ɛ33 2sg. first take.the.lead.to.do 1PL after go.with do PTCL 네가 먼저 시작하면 우리가 따라서 하겠다. }}} (2) ŋɤ54mʌ44lɛ44: 늘(经常)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2) xji33 jɔ44kho44 thi44/33 kho44 ŋo31 ŋɤ54mʌ44lɛ44/33 zo44 a33, ŋo31 zo44 sɯ44jɔ33 tɔ44 a33 this road one road 1sg. often walk PTCL 1sg. walk know PTCL PTCL 이 길은 내가 자주 가봐서 익숙하다. }}} (3) tʌ31tʃo44: 오랫동안(很久)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2) tʌ31tʃo44 mʌ44/33 mjʌ31/44 a44 nɛ33 nʌ33/35, for.long NEG meet PRF DEC 2sg. 오랫동안 당신을 보지 못했다. }}} (4) tʃhʌ33: 잠시, 임시(暂时,临时)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2) nʌ31 a44tʃi54 tʃhʌ33 tʌ44 a33, ŋo31 thi44la54 lɔ33/35 ma35 nɛ33 2sg. little for.the.time.being wait PTCL 1sg. for.a.moment come PTCL DEC 너 잠시만 기다려라, 내가 곧 올게. }}} (5) no31: 또, 다시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3) ŋo31 a44no31 kjɔ33ɬi44 tsi54 mjʌ33/53 no31 khjø33 kɔ33 a33 1sg. later think think after again fear PTCL PTCL 나는 나중에 (이 생각이) 떠오를까 또 두려웠다. }}} (6) ku54: 또, 다시 1) 어떤 일을 하면서 동시에 다른 일을 함.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3) ŋo31 a44mɛ44 tʃha54 kɔ33 mɣ33 ja54 a44kjɔ44 va44 a33kjɛ44 ku54 tsm44 nɛ33 1sg. meal boil PROG NMLZ REL period PTCL clothes again wash DEC 나는 밥을 하는 동시에 옷을 세탁한다. }}} 2) 동일 시간 내에 이 일을 하다가 저 일을 하다가 함.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3) pɔ44na31 ku54 zo44 ku54 tshɯ33, ku54 tshɯ33 ku54 zo44, a33tsɔ44 xø31/44 khjɛ54 kɔ33 a33 water.buffalo again walk again stop again stop again walk food carry bite PROG PTCL 물소가 가다가 서고, 서다가 가고, 한편으로는 풀도 먹고 있다. }}} 3) 한 동작이 끝난 후 다시 다른 동작 행위가 출현함.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3) xji33 khjœ31 sɔ44 mjʌ33/53 sʌ44 khɣ31 ku54 khjœ31 this do 好 after for.the.first.time that again do 먼저 이 일을 잘 마치고나서 저 일을 더 해라. }}} (7) sɯ44 여전히, 아직도 : 서술어 뒤에 분포함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4) a44mɛ44 mʌ44 tʃa54 sɯ44 a33 meal NEG cooked still PTCL 밥이 아직 익지 않았다. }}} (8) tɛ54, tʌ31pai44 : 하자마자 곧~. 'tɛ54'은 '막', 그리고 'tʌ31pai44'은 '즉시'이다. 이 둘은 자주 같이 하나의 고정 격식인 'tɛ54... tʌ31pai44...'을 형성하는데 그 의미는 '...하자마자 곧...'의 의미이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4) ŋo31 tɛ54 zo44 to31 le33 tʌ31pai44 mi31tha54 xo31 lɯ33 nɛ33 1sg. just walk out go as.soon.as rain fall come DEC 내가 나서자마자 비가 내렸다. }}} (9) sʌ44 : 비로소 이것의 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1) 사건 발생시간이 늦음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5) xji33 a44sɯ44 ŋo31 thi44tʃo44tʌ44tʃo44, mʌ44/33 mjʌ31/44 tsʌ33 tɔ44 a33, ja44tshɯ54 sʌ44 mjʌ31 nɛ33 this fruit 1sg. all.one's.life NEG see get.used.to PTCL PTCL now for.the.first.time see DEC 이런 종류의 과일은 내가 일생 동안 보지 못하다가 지금에서야 보게 되었다. }}} 2) '어떤 조건을 만족한 후에야 어떤 결과가 출현함'을 나타낸다. 혹은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만 어떤 결과가 출현함'을 나타낸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5) a44sɯ44 a33nɣ44 nɣ44/35 lɯ33 vu31/33 sʌ44 tsɔ44jɔ33 nɛ33 fruit red.one red come when for.the.first.time edible DEC 과일이 빨개져야만 먹을 수 있다. }}} ### 부정부사 부정부사는 mʌ44 “아니다, 아니었다(不, 没)”과 thʌ44 “-지 마라(别, 莫,勿)”의 2종류가 있다. thʌ44는 명령문에만 쓰인다. thʌ44의 예: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6) thʌ44 pja31 do.not tell 입 다물어라. }}} mʌ44의 예: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6) ŋo31 khɣ31 va44 mʌ44 thɯ31 khɯ31 nɛ33 1sg 3sg PTCL NEG chase reach DEC 나는 그를 따라잡지 못했다. }}} ### 어기부사 지눠어에서 어기부사는 화자의 어기와 감정을 표현한다. (1) ŋu53nɛ35:반드시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7) nʌ31 mi44ʃɔ44nji33 ŋu53nɛ35 lɔ31 ka31! 2sg. tomorrow certainly 오다 IMP 너는 내일 반드시 와야 해! }}} (2) mɯ31:아마도(可能,或许,大概), tʃhɣ31 :마치~인 것 같다(好象,似乎) 이 두 가지는 바꿔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의미는 같다. 그다지 확실하지 않은 추측을 나타낸다. 명사화절의 뒤에 놓인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7) to54m54 lɛ31 tʃʌ44 a33 1ʌ31 klɔ33 ja54 mɣ33/54 mɯ31/tʃhɣ31 a33 tent shake reel PTCL fall drop.out drop PTCL maybe PTCL 천막이 흔들거려 아마 무너질 것 같다. }}} (3) ŋɣ31ɛ54nɛ33 : 반드시(肯定)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7) ja54ŋji33 mi31tha54 xo31 lɯ33 ɛ33 ŋɣ31ɛ54nɛ33, ʃu54plɛ44 xø31 tɔ44/53! today rain fall come FUT certainly umbrella carry PROG 오늘 틀림없이 비가 올 것이니 우산을 가져가라! }}} (4) mɯ44to44/53 : 다행히도(幸亏)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8) mɯ44to44/53 mi31tha54 xo31 lɯ33 a44 nɛ33, ŋo31/35 a44kje44 no31 tœ54 lɯ33 kɔ33 nɛ33/53 Fortunately rain fall come PRF DEC 1sg. vegetable again live come PROG PTCL 다행히 비가 외서 내 채소가 다시 살아났다. }}} (5) lɯ54/tɯ54/ɯ54 : 어기를 강조. 본래의 의미는 '단지'를 나타낸다. 범위부사에는 쓰이지 않는다. 어기부사를 충당하는데 쓰이며 어기를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1) '함께,같이,처럼(一起,一齐,一样)' 등의 방식부사의 뒤에 놓인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8) a44ŋu54 ta31mo31 thi44to44 ɯ54ŋji31 ka31! 1PL everyone together play ImP 우리 같이 놀자. }}} 2) 형용사나 동사의 뒤에 놓일 수 있고, 문미에도 놓일 수 있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8) ŋo31 va44 mɛ44 se54 lɯ54 kɔ33 nɛ33 1sg. NOM tired do die PROG DEC 나는 피곤해서 죽을 지경이다. }}} (6) lɛ44 : 도(也). 방식부사를 충당하며 또한 어기부사를 충당한다. 용법은 주로 아래 두 가지가 있다. 1) ~조차도 ~하다(连~ 也~)를 나타냄. 어기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주로 ‘ɯ54/tɯ54/ɯ54’(仅仅)와 공기.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9) khɣ31 ŋo31 va44 tɛ44 ɯ54 lɛ44/53 mʌ44/33 tɛ44 la54 a33 3sg. 1sg. OBJ see only also NEG see come PTCL 그는 나를 한번 보지도 않았다. }}} 2) 오히려 (倒是) : '동사+lɛ44+상동동사'의 구조에 쓰인다. 전환이나 양보를 나타낸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69) ŋo31 tsɔ44 lɛ44/53 tsɔ44 sɔ44 a44 nɛ33, mʌ44/33 tsɔ44 o54plɯ33/35 tɔ44 a33 1sg. eat actually eat 好 PTCL DEC NEG eat full PTCL PTCL 나는 다 먹기는 했지만 배부르지 않다(我吃倒是吃好了,但没有吃饱). }}} ### 방식부사 (1) lɛ44 : 도(也)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70) khɣ31/35 nɯ31sɯ44 kʌ31 khlɔ33/35 a44 nɛ33, nʌ31 lɛ44/53 a44tʃi54 kʌ31 khlɔ33/53 ! 3sg. heart shrink put PRF DEC 2sg. also a little shrink put 그녀는 이미 참았으니 너도 좀 참아라. }}} (2) thi44to44 : 함께(一起)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70) ta31mo31 thi44to44 ɯ54 sa54 tshu31 kɔ33 nɛ33 everybody together only chat concentration PROG DEC 모두 함께 쉬고 있다. }}} (3) thi44/33khla44 : 동시에,같이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70) ka44 ŋji54/44 lœ44/54 thi44/33khla44 ɯ54 to31 lɔ31 nɛ33 thing two CL simultaneously only out come DEC 두 가지 사건이 동시에 발생했다. }}} (4) thi44/33ʃɔ44 : 처럼(一样) 동사를 수식한다. 동사 뒤에 lɯ54/tɯ54/ɯ54 '단지'가 자주 출현하여 어기를 강화시킨다.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71) khɣ31 ŋo31 va44 thi44la54 tɯ44 tɔ44 a33, ŋo31 khɣ31 va44 thi44la54 tɯ44 tɔ44 a33, ŋɯ54ŋji54 thi33ʃɔ44 ɯ54 tɯ44 tɔ44 a33 3sg. 1sg. OBJ once beat PTCL PTCL 1sg. 3sg. OBJ once beat PTCL PTCL we.two the.same only beat PTCL PTCL 그가 나를 한 번 때리고 내가 그를 한 번 때리고 우리는 무승부가 되었다. }}} (5) te44sʌ44 : 고의로 {{{eg>youl1235 (jiangguangyou2010:171) te44sʌ44 khjoe31 nɛ33/53! deliberately do DEC 고의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