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 대부분 부치사는 동사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중국어에서 차용해온 것도 있다. ##### 탈격 조사 ta⁶ ‘~에서’는 동사 ‘건너다’에서 유래된 것이다. {{{eg>kami1255 (liangmin2006:203) jaːu² ta⁶ kwi¹jaːŋ² ma¹′. 1SG from GuiYang come.back 나는 귀양(도시 이름)에서 돌아왔다. }}} ##### 처격 조사 ȵaːu⁶ ‘~에’는 동사 ‘살다’에서 유래된 것이다. {{{eg>kami1255 (liangmin2006:203) maːu⁶ sui⁵ ȵaːu⁶ te³ məi⁴ ȶa⁵. 3SG sit LOC under tree that 그는 그 나무 밑에 앉아 있다. }}} ##### 피동 표지 ‘təu⁶’는 ‘맞다(당하다)’에서 유래된 것이다. {{{eg>kami1255 (liangmin2006:204) ȵa² ‘təu⁶’ ȵən² ko¹ pu⁶ kwe² laːi¹jak⁸. 2SG by people laugh also NEG good 너는 (다른)사람에게 조롱을 당한 것도 좋지 않다. }}} ##### 처치(處置) 표지(중국어의 ‘把’에 해당)인 təi²는 ‘가지다’에서 유래된 것이다. {{{eg>kami1255 (liangmin2006:204) maːu⁶ təi² jaːu² kaːi² laːu³ jaːn² ma¹′. 3SG PTCL SG pull in room come 그는 나를 방으로 끌고 왔다. }}} ##### ljen²는 중국어 ‘連’를 차용해 온 것인데 ‘~도/조차’의 의미를 나타낸다. {{{eg>kami1255 (liangmin2006:204) ljen² jaːu² tu¹ kwe² wo⁴. even 1SG even NEG know 나조차 몰랐다. }}} ##### li³는 동사에서 유래되었는데, 항상 동사와 동작의 상황/결과를 나타내는 보어 중간에 놓인다. {{{eg>kami1255 (liangmin2006:204) maːu⁶ ȶʰaːm³′ li³ hoi⁵′ kuŋ² la⁴. 3SG walk PTCL fast very PTCL 그는 매우 빠르게 걸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