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_num : 수사 (numeral) ### 기수사 - 카라차이-발카르어 기수사는 단순기수사(bir ‘하나’, eki ‘둘’, toguz ‘아홉’)과 복합수사(on ʤeti ‘열일곱’, ʤyz otuz beš ‘백삼십오’)로 나뉜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 bir | eki | üč | tört | beš | altï | ǰeti |segiz | toguz | nol |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 on | eki on | üč on | tört on | beš on | altï on | ǰeti on | segiz on | toguz on | ^ 100 ^ 200 ^ 300 ^ 400 ^ 1000 ^ | ǰüz | eki ǰüz | üč ǰüz | tört ǰüz |miŋ | ### 서수사 - 서수사는 기수에 접사 –nčï(-nči, -nču, -nčü)를 붙여서 만든다.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모음이 삽입되어서 -ïnčï(-unču, -inči, -ünčü)를 결합한다. - 서수사는 명사구를 수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합성수사인 경우 –nčɨ는 마지막 요소에 결합된다. 1911 bir miŋ toguz ǰüz on bir-[inči] ‘1911번째’ ### 집합수사 - 집합수사는 –aw, -ew, -owlan, -awlan, -ewlen 접사를 붙여서 만든다. altï ‘여섯’ -> altaw ‘여섯의 집합’, bešew ‘다섯의 집합’, onowlan ‘십의 집합’, altawlan ‘여섯의 집합’, ekewlen ‘둘이서’. - 집합수사 접사는 사람에 한해서만 사용된다. ### 어림수사 - 어림수사는 bir kesek ‘조금’ 등. - 또한 기수사와 후치사 čaklï ‘대략’, ‘정도’, ǰuwuk ‘대략’ 등을 붙여서 나타난다. - on čaklï ‘대략 10(개)’, bešge ǰuwuk ‘다섯 (개) 정도’ - 또한 기수사 반복해서 사용하여 나타내는데 후행 요소는 항상 더 큰 숫자이다. bir-eki ‘하나 둘 정도’, bir-eki-üč ‘두 세 (개) 정도’, toguz-on ‘아홉에서 10 가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