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_vowel : 모음 (vowel) #### 단모음 - 키르기즈 문어에서 a, e, o, ø, u, y, ɨ, i 8개의 단모음이 있다. - 이에 대한 키릴 자모는 [a(э)], [e], [o], [ө], [y], [ʏ],[ ы], [и]이다. - [e]와 [э]는 같은 /e/ 음운을 표시하는데, [э]는 어두 위치와 장음에 해당된 자리에서만 사용되며 나머지 경우는 [e]를 표기한다. - 키르기즈어에 모음조화가 규칙적으로 일어나며 모든 모음은 전/후설, 원순/비원순 두 모음군의 대립양상에 따라 분류된다. 때문에 전통문법에서 중설모음 구별하지 않고 고모음과 저모음의 이분 대립 체계 안에서 모음을 배치한다. ^ ^ 전설 |^ 후설 || |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 고모음 | i | y | ɨ | u | | 저모음 | e | ø | a | o | #### 장모음 - 키르기즈어에서 단음과 장음이 대립된다. ɨ와 i를 제외한 각 단모음에 대응되는 장모음이 있다. - 장음은 aa, ee, oo, өө, yy, ʏʏ 식으로 해당 단음을 두번 써서 표기한다. ^ 고저 ^ 전후 ^ 원순 ^ 키릴자모 |^ IPA || | ::: | ::: | ::: ^ 단음 ^ 장음 ^ 단음 ^ 장음 ^ | high | front | unrounded | [и] | | i | | | high | front | rounded | [ү] | [үү] | y | y: | | high | back | unrounded | [ы] | | ɨ | | | high | back | rounded | [у] | [уу] | u | u: | | mid | front | unrounded | [e] [(э)] | [ээ] | e | e: | | mid | front | rounded | [ө] | [өө] | ø | ø: | | low | back | unrounded | [а] | [аа] | a | a: | | low | back | rounded | [о] | [оо] | o | o: | ^ ^ 단음 ^ 장음 ^ 단음 ^ 장음 ^ ^ e ↔ e: | er ‘남편’ | e:r ‘안장’ | en ‘넓이’ | e:n ‘보살핌 없다’ | ^ a ↔ a: | ʤak ‘편’, ‘쪽’ | ʤa:k ‘뺨’ | sat ‘팔다' | sa:t ‘시계’ | ^ o ↔ o: | boluk ‘뚱뚱하다’ | bo:luk ‘고리’ | tok ‘배 부르다’ | to:k ‘닭’ | ^ ø ↔ ø: | kør ‘보다’ | kø:r ‘진주’ | søk ‘야단치다’ | sø:k ‘뼈’ | ^ u ↔ u: | bu ‘이것’ | bu: ‘증기’ | sur ‘뽑다’ | su:r ‘마르못(설치 동물)’ | ^ y ↔ y: | syty ‘그의 우유’ | sytty: ‘젖의, 유제의’ | kyčy ‘그의 힘’ | kyčty: ‘힘세다’ | #### 이중모음 ^ 고저 ^ 전후 ^ 원순 ^ 키릴자모 ^ IPA ^ | high | back | rounded | [ю] | ju | | low | back | unrounded | [я] | ja | | low | back | rounded | [ё] | j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