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_noun : 명사 (noun) - 린가오어의 명사는 일반명사, 시간명사, 방위명사로 나눌 수 있다. ### (1) 일반명사 {{{lex>ling1262 (liangmin1997:67) - [da213vən55] : 태양 - [lək88sai213] : 별 - [van33] : 바람 - [leŋ213hun55] : 사람 - [mit55] : 칼 - [kai213] : 닭 }}} - 일반명사의 문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 일번명사의 중첩 - 분류사의 품사를 겸하는 일부 명사 외에 일반명사가 중첩할 수 없다. #### 2) 일반명사와 분류사의 결합 - 린가오어 명사 앞에 분류사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없다. - 보통 명사 뒤에 해당 분류사가 결합해야 한다. {{{eg>ling1262 (liangmin1997:67) [na33 kə55 mɔʔ55]. face 3SG CL 그의 얼굴. }}} {{{eg>ling1262 (liangmin1997:67) [vɔn55nɔi11 fa33 mɔʔ55 tsui55 lun33]. today sky CL most hot 오늘 날씨가 가장 덥다. }}} #### 3) 일반명사와 수량사구나 지시사구의 결합 - 분류사의 품사 기능을 겸하는 명사와 서열을 나타내는 일부 친족명칭 이외에 일반명사가 수사나 지시가의 수식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없다. - 단 명사가 수량사구나 지시사구와 결합할 수 있다. - 수량사구나 시지사구가 명사의 앞이나 뒤에 모두 결합할 수 있지만 뒤에 오는 경우가 더 많다. - 분류사를 수식할 때 수사가 앞에 있다. - 즉, 수사+분류사. {{{lex>ling1262 (liangmin1997:67) - [tam213hui11] : 세 그릇(밥) - [ŋo11hoŋ33] : 다섯 통(물) - [vɔn33tiaŋ213] : 두 박스(옷) }}} - 친족명칭을 수식하여 서열을 나타낼 때 수사가 뒤에 있다. - 즉, 분류사+수사. {{{lex>ling1262 (liangmin1997:67) - [tok33ŋo11] : 다섯째 삼촌 - [beʔ33ŋəi11] : 둘째 큰아버지 - [xu11tami213] : 셋째 외삼촌(어머니의 남동생) }}} #### 4) 일반명사와 다른 수식어의 결합 - 일반명사가 대명사, 형용사, 동사, 분류사 그리고 다른 명사의 수식을 받아서 구가 만들어진다. - 수식어는 보통 명사 뒤에 있지만 수식어가 길면 명사 뒤에 올 수도 있다. {{{lex>ling1262 (liangmin1997:68) - [lan55] : 집 + [nau11] : 새 -> [lan55nau11] : 새집 - [bɔi33] : 언니/누나 + [mə55] : 너 -> [bɔi33mə55] : 너의 언니 - [fia11] : 밥 + [sui213] : 찌다 -> [fia11sui213] : 찐 밥 - [lək55] : 아들 + [dəi55tsiaŋ11] : 대장 -> [lək55dəi55tsiaŋ11] : 대장의 아들 }}} {{{eg>ling1262 (liangmin1997:68) [kɔn213 bɔt33 kəm55 nia55 hu55 təi33]. eat grass full this CL water.buffalo 풀을 배부르게 먹은 이 물소. }}} ### (2) 시간명사 - 자주 쓰이는 시간명사는 다음과 같다. {{{lex>ling1262 (liangmin1997:67) - [vən55] : 년(year) - [keu55] : 월, 달 - [vən55va55] : 어제 - [sɔ213ŋəi11] : 초이튿날 - [da33kɔm11] : 밤에 - [kɔm11nɔi11] : 오늘 밤 }}} - 시간명사의 문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 시간명사와 분류사의 결합 - ‘[keu55](월, 달)’ 이외의 시간명사는 보통 분류사의 수식을 받지 않는다. - 단음절 시간명사는 대부분이 분류사로 쓰일 수 있다. {{{lex>ling1262 (liangmin1997:67) - [it33] : 하나 + [mɔʔ55] : CL + [keu55] : 달 -> [it33mɔʔ55keu55] : 한 달 - [nia55] : 이(this) + [ki33] : 몇 + [vən55] : 일(day) -> [nia55ki33vən55] : 요 며칠 }}} #### 2) 시간명사와 수사의 결합 - 단음절 시간명사가 수사의 수식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다. {{{eg>ling1262 (liangmin1997:68) [huk55 tam213 vəi55 koŋ213]. do three year work 삼 년의 일을 한다. }}} #### 3) 시간명사의 중첩 - 단음절 시간명사가 중첩함으로 ‘-마다’이나 ‘모두’의 의미를 나타낸다. {{{eg>ling1262 (liangmin1997:68) [hau55lo11 vəi55vəi55 tsuŋ33 sa213 mek55fan213]. 1PL year.year always plant corn 우리는 해마다 옥수수는 심는다. }}} #### 4) 시간명사와 다른 피수식어의 결합 - 시간명사가 명사, 동사, 형용사를 수식할 수 있다. - 시간명사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 부사어 등 기능을 할 수 있다. {{{eg>ling1262 (liangmin1997:68) [vən55nɔi11 ti11 lok55ŋit55 sɔ213ku33]. today COP June the.ninth.day 오늘은 유월 초아흐렛날이다. }}} ### (3) 방위명사 - 자주 쓰이는 방위명사는 다음과 같다. {{{lex>ling1262 (liangmin1997:67) - [na33] : 앞 - [lɔi55] : 뒤 - [fiak55luŋ213] : 위에 - [fiak55uk33] : 밖에 - [doŋ213] : 동(쪽) - [nɔm55] : 남(쪽) }}} - 방위명사의 문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 방위명사와 보통명사, 지시사, 분류사의 결합 - 방위명사가 보통명사와 지시사의 수식만 받을 수 있다. - 방위명사가 보통명사나 분류사를 수식함으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관형어 등 기능을 한다. {{{lex>ling1262 (liangmin1997:69) - [da33] : 안 + [lan55] : 집 -> [da33lan55] : 집 안에 - [uk33] : 밖 + [vɔ33] : 마을 -> [uk33vɔ33] : 마을 밖에 - [lan55] : 집 + [luŋ213] : 위 -> [lan55luŋ213] : 위에 있는 집 - [lan55] : 집 + [dau55] : 아래 -> [lan55dau55] : 아래에 있는 집 }}} {{{eg>ling1262 (liangmin1997:69) [na33 lan55 lai33 it33 hiu55 hɔ55, lɔi55 lan55 lai33 it33 mɔʔ55 tia11]. the.front house EXIST one CL river back house EXIST one CL mountain 집 앞에 강 하나 있고 집 뒤에 산 하나 있다. }}} #### 2) 방위명사와 전치사의 결합 - 방위명사가 전치사와 결합되는 전치사구가 문자에서 부사어나 보어의 기능을 한다. {{{eg>ling1262 (liangmin1997:69) [kə55 ŋo213 jɔu33 niŋ55 sun213]. 3SG sit PREP side road 그는 길 옆에 앉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