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_noun : 명사 (noun) ## noun_num : 수 (number) - 만주어 구어에서 사람이나 동식물과 관련이 있는 명사에 –sa/-se/-so 등을 붙여서 복수의 의미를 나타낸다. ##### -sa/-se/-so - 명사에 붙여서 복수를 나타낸다. 비음으로 끝난 명사의 경우에 먼저 비음이 탈락한 후에 모음조화의 법칙을 따라 “-sa/-se/-so”가 구별 사용되고 있다. {{{lex>manc1252 (Parkeunyong1969:62) - hafan : 관원 + [-sa] : PL -> hafa[-sa] 관원들 - gucu : 친구 + [-se] : PL -> gucu[-se] 친구들 - monggo : 몽골인 + [-so] : PL -> monggo[-so] 몽골인들 }}} ##### -si - “haha(남자)”, “hehe(여자)” 등 일부 명사에 붙여서 복수를 나타낸다. {{{lex>manc1252 (Parkeunyong1969:63) - hehe : 여자 + [-si] : PL -> hehe[-si] 여자들 - haha : 남자 + [-si] : PL -> haha[-si] 남자들 - omolo : 손자 + [-si] : PL -> omo[-si] 손자들 }}} ##### -ta/-te - “ahūn(형/오빠)”, “deo(동생)” 등 일부 명사에 붙여서 복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모음조화의 법칙을 따라 “-ta/-te”가 구별 사용되고 있다. {{{lex>manc1252 (Parkeunyong1969:56) - ahūn : 형 + [-ta] : PL -> ahū[-ta] 형들 - deo : 동생 + [-te] : PL -> deo[-te] 동생들 - oke : 숙모 + [-te] : PL -> ake[-te] 숙모들 }}} ##### -ri {{{lex>manc1252 (Parkeunyong1969:62) - [mafa] : 할아버지 + [-ri] : PL -> [mafa-ri] 할아버지들 - [mama] : 할머니 + [-ri] : PL -> [mama-ri] 할머 }}} ## noun_num : 격 (case) | Nominative| -ø| gala| | Genitive| -i/-ni| gala[-i]| | Accusative| -be| gala[-be]| | Dative/Locative| -de| gala[-de]| | Ablative| -ci| gala[-ci]| | Instrumental| -i/-ni| gala[-i]| | Prolative| -deri| gala[-deri]| ##### 주격 -ø - 주격 표기가 따로 없다. {{{eg>manc1252 (Tusmagari2002:32) cooha bedere-me ji-he army return-CVB come-PST 병사가 돌아왔다. }}} ##### 속격 –i/-ni - “ni”는 어말 자음이 ng일 때에 한하여 나타나며 그 외에 경우는 “i”로 나타나고 있다. {{{eg>manc1252 (Parkeunyong1969:69) cenghiyang [ni] boo-de prime.minister GEN home-DATL 승상의 집에서 }}} {{{eg>manc1252 (Parkeunyong1969:69) limu se-re niyalma [i] jui jakūn se de Limu call-PTCP niyalma GEN kid eight age DATL Limu라는 사람의 아이가 8살 때에 }}} ##### 대격 –be {{{eg>manc1252 (Parkeunyong1969:64) emu sargan jui [be] sejen de te-bu-fi one girl kid ACC cart DATL sit-CAUS-CVB 한 여자 아이를 차에 앉혀서 }}} {{{eg>manc1252 (Parkeunyong1969:65) ambula gosi-ha [be] gūni-ci many love-PTCP ACC think-CVB 많이 사랑해준 것을 생각하니 }}} ##### 여처격 -de {{{eg>manc1252 (Parkeunyong1969:67) mini emgi elben i boo[-de] gene-fi turgun be gisure-ki my together hovel GEN home-DATL go-CVB reason ACC talk-OPT 나와 같이 초옥에 가서 이유를 말하자. }}} {{{eg>manc1252 (Parkeunyong1969:66) jiyanggiyūn sakda hūlha [de] uttu gele-ci general old thief DATL like.this be.afraid-CVB 장군이 영감태기에게 이렇게 두려워하면 }}} ##### 탈격 –ci - 명사에 연결되는 접미사로서 어떤 위치에서 어떤 행동이 일어나게 되는 시간이나 공간의 위치 혹은 비교의 의미를 나타낸다. {{{eg>manc1252 (Parkeunyong1969:66) kungsio loho jafa-fi furdan [ci] tuci-fi Kungsio saber hold-CVB gateway ABL come.out-CVB Kungsio가 환도를 잡아서 관문에서 나와서 }}} {{{eg>manc1252 (Parkeunyong1969:66) wa-ha[-ci] uji-he gebu dele die-PTCP-ABL keep-PTCP name top 죽음보다 기른 명성이 위이다. }}} ##### 도구격 –i/-ni {{{eg>manc1252 (Parkeunyong1969:71) ai šan [i] donji-mbi what ear INST hear-NPST 어느 귀로 듣습니까? }}} ##### 경로격 -deri {{{eg>manc1252 (Parkeunyong1969:68) durbi[-deri] liyooha bira be doo-fi Durbi-PROL Liyooha river ACC cross-CVB Durbi를 지나 요하를 건너서 }}} {{{eg>manc1252 (Parkeunyong1969:68) amargi duka[-i deri] pan ginliyan i boo-de ji-he back door-GEN PROL Pan Ginliyan GEN home-DATL go-PST 뒷문을 통하여 Pan Ginliyan의 집에 갔다. }}} {{{eg>manc1252 (Parkeunyong1969:68) muke šeri [deri] tuci-mbi water spring PROL come.out-NPST 물이 샘으로부터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