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몽구오르어의 음절구조는 4가지 유형이 있다. #### 1) 자음(단자음/자음군)+모음(단모음/이중모음) {{{lex>tuuu1240 (zhaonasitu2009:186) - bauu- : 내려가다 - ʂdza- : 수리하다 - ɕdʑauu : 채찍 }}} #### 2) 자음(단자음/자음군)+모음(단모음/이중모음) {{{lex>tuuu1240 (zhaonasitu2009:186) - xal-dan : 금 - sauul-ɢa : 나무통 - sgəl : 마음 }}} #### 3) 단모음+단자음 {{{lex>tuuu1240 (zhaonasitu2009:186) - al-da : 발(1발=약 5척) - as-ɢu : 빌리다 }}} #### 4) 모음 {{{lex>tuuu1240 (zhaonasitu2009:186) - a-vu- : 사다 - aa-ne : 할머니 }}} - 네 가지 음절구조 중에 첫 번째 유형이 제일 흔하고 그 다음은 두 번째 유형이 제일 많다. 남은 두 가지 유형은 아주 드물며 어두에서만 나타난다. - 몽구오르어에는 다음절어와 다음절어가 있는데 다음절어의 음절 구분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두 모음(단모음, 이중모음이 다 포함됨) 사이에 자음이 있으면 그 자음이 뒤 음절에 속한다. - 두 모음 사이에 자음 두 개가 있으면 그 두 자음이 각각 앞뒤 음절에 속한다. - 두 모음 사이에 자음 세 개가 있으면 앞에 있는 자음이 앞 음절에 속하고 뒤에 있는 두 자음이 뒤 음절에 속한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186) - ɢodolə- -> ɢo-do-lə- : 움직이다 - ɕorɢoldʑin -> ɕor-ɢol-dʑin : 개미 - kunsge -> kun-sge : 사람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