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_noun : 명사 (noun) - 몽구오르어의 명사는 수, 격, 소유 등 문법 범주를 가진다. - 하나의 명사가 이 세 가지 문법 범주를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문법 범주들의 순서는 ‘수—격—소유’이다. ### (1) 명사의 수 - 몽구오르어의 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있다. #### 1) 단수 ##### ① 몽구오르어의 단수는 보통 명사 어간으로 표현된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190) - kun : 사람(사람 한 명) - diuu : 남동생(남동생 한 명) - xonə : 양(양 한 마리) - ger : 집(집 한 채) }}} ##### ② 명사 어간과 수사 ‘nəge(하나)’의 결합으로 명사의 단수를 나타낸다. - 이때 수사 ‘nəge(하나)’는 추상적인 문법 의미, 즉 단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동시, 음운에도 변동이 생긴다. - 즉, ‘ŋge’로 발음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0) ku(n)ŋge redʑ(ə) a. person(one) come be 사람 한 명 왔다. }}} {{{eg>tuuu1240 (zhaonasitu2009:190) ndaa diuuŋge ii. I younger.brother(one) have 나는 남동생 하나 있다. }}} #### 2) 복수 - 몽구오르어 명사의 복수는 문법요소 ‘-ŋgula, -sge’로 나타난다. - 이들이 서로 교체될 수 있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0) təreegu ku(n)ŋgula ( or kunsge ) jaagən ii? there people ( or people ) what.do be 거기에 있는 사람들이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 ### (2) 명사의 격 - 몽구오르어의 명사는 주격, 속격·대격(領賓格), 처격·여격(位與格), 탈격·비교격(離比格), 도구격·공동격(造聯格), 목적어 공동격(連同格) 등이 있다. #### 1) 주격 - 몽구오르어에서 명사의 주격은 동작의 주체나 서술의 대상을 나타낸다. - 특별한 문법 요소가 없으며 명사 어간(복수를 나타내는 명사 어간이 포함됨)으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1) təmur xadoŋ va. iron hard be 철이 딱딱하다. }}} {{{eg>tuuu1240 (zhaonasitu2009:191) bulaii-sge naadəla ɕəva. child-PL play go 아이들이 놀러 갔다. }}} #### 2) 속격·대격(領賓格): -nə - 몽구오르어 명사의 속격·대격은 ‘-nə’로 표기된다. - 사람이나 사물의 소유 관계나 동작의 직접적인 객체를 나타낸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1) aaba-nə malɢa-nə ndəree gee. father-GEN hat-ACC here put 아버지의 모자를 여기에 놓아라. }}} ##### 대격 표지의 생략 속격·대격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를 생략할 수도 있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1) tɕaa otɕə, ʂdəme de. tea drink, steamed.bun eat 차 마신다, 찐빵 먹는다. }}} {{{eg>tuuu1240 (zhaonasitu2009:191) tɕaa-nə otɕə, ʂdəme-nə de. tea-ACC drink, steamed.bun-ACC eat 차를 마신다, 찐빵을 먹는다. }}} #### 3) 처격·여격(位與格): -də - 몽구오르어 명사의 처격·여격은 ‘-də’로 표기된다. - 동작의 목표, 확정된 지점, 목적, 결과, 성격 그리고 언급된 대상을 나타낸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1) tɕə taraa-nə ʂejun-sge-də xɢuaadʑə oɢo. 2SG food-ACC employee-PL-DAT divide give 네가 식량을 사원들에게 나눠 줘라. }}} {{{eg>tuuu1240 (zhaonasitu2009:191) te raal-də dʑaɢasə ulon a. that river-LOC fish much be 그 강에 물고기가 많다. }}} {{{eg>tuuu1240 (zhaonasitu2009:192) ne xaii ndaanə bulaii-də mulaa va. this shoe 1PL.POSS child-DAT small be 이 신발이 우리 아이에게 작다. }}} #### 4) 탈격·비교격(離比格): -sa - 몽구오르어 명사의 탈격·비교격은 ‘-sa’로 표기된다. - 동작의 시작점, 원인이나 성격, 특정의 비교를 나타낸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2) waŋdʑa aade badzar-sa re-dʑ(ə) a. Wang grandfather city-ABL come-CVB be 왕씨 할아버지가 도시에서 왔다. }}} {{{eg>tuuu1240 (zhaonasitu2009:192) ndaanə ndəree ger-sa ndur ɕdʑoosə ulon xuɢuai va. 1PL.POSS here house-COMPAR high tree much very be 여기서는 집보다 높은 나무가 많다. }}} #### 5) 도구격·공동격(造聯格): -la - 몽구오르어 명사의 도구·공동격은 ‘-la’로 표기된다. - 동작이 완성되게 하는 도구, 재료 혹은 비교 대상이나 같이 참여하는 동반자를 나타낸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2) sgo-la tɕabdʑə, soŋxo-la dʑiuurə. ax-INS cut pen-INS write 도끼로 벤다, 펜으로 쓴다. }}} {{{eg>tuuu1240 (zhaonasitu2009:192) bu diuu-la-naa naadə-va. 1SG younger.brother-COM-REFL.POSS play-PST 나는 내 남동생과 놀았다. }}} #### 6) 목적어 공동격(連同格): -dii - 몽구오르어 명사의 목적어 공동격은 ‘-dii’로 표기된다. - 주로 동작에 딸린 대상을 나타낸다. {{{eg>tuuu1240 (zhaonasitu2009:192) taraa-nə fuuda-dii av(u)-aa ɕə-va. food-ACC sack-COM.OBJ take-CVB go-PST 식량을 자루와 함께 가져갔다. }}} {{{eg>tuuu1240 (zhaonasitu2009:192) tɕə morə tauu-la ɕə-sa, xonə-dii tauu-vaa re. 2SG horse chase-CVB go-CVB sheep-COM.OBJ chase-CVB come 말을 몰러 간다면 양도 함께 몰고 와. }}} ### (3) 명사의 소유 - 명사의 소유에는 인칭소유와 재귀소유가 있다. #### 1) 인칭소유 - 인칭소유에는 1인칭소유, 2인칭소유, 3인칭소유가 있는데 단수 형태만 있고 복수 형태가 없다. - 1인칭소요, 2인칭소유를 나타내는 특별한 문법 요소가 없으며 속격의 인칭대명사인 ‘munə(나의-)’, ‘tɕənə(너의-)’로 나타난다. - 이들이 인칭소유 성분으로 명사 뒤에 나타난다. - 3인칭소유는 단수와 복수의 구분이 없으며 ‘-nə’로 표기된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192) - morə munə : 나의 말(my horse) - morə tɕənə : 너의 말(your horse) - morə-nə : 그의 말(horse-3SG.POSS, his horse) }}} - 인칭소유에서 1인칭소유와 2인칭소유는 많이 쓰이지 않고 3인칭소유가 많이 쓰인다. - 다음은 명사가 격을 가진 뒤에 3인칭소유(-nə)가 결합되는 예들이다. ##### ① 명사(-주격)-3인칭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aama-nə mudedʑ(ə) a. mother-3SG.POSS know be 그의 어머니가 알게 되었다. }}} ##### ② 명사-속격·대격-3인칭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 aama-nə-nə dauuda. 2SG mother-ACC-3SG.POSS call 네가 그의 어머니를 부른다. }}} - 속격·대격 문법 요소 ‘-nə’에서의 ‘ə’가 3인칭소유 문법요소 ‘-nə’ 앞에 장모음 ‘ii’로 바뀐다. 즉 ‘aamaniinə’가 된다. ##### ③ 명사-처격·여격-3인칭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 aama-də-nə kəle. 2SG mother-DAT-3SG.POSS say 네가 그의 어머니에게 말한다. }}} ##### ④ 명사-탈격·비교격-3인칭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 aama-sa-nə ndur a. 2SG mother-COMPAR-3SG.POSS high be 네가 그의 어머니보다 (키가) 크다. }}} ##### ➄ 명사-도구격·공동격-3인칭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 aama-la-nə guleldə. 2SG mother-COM-3SG.POSS talk 네가 그의 어머니와 얘기한다. }}} ##### ➅ 명사-목적어 공동격-3인칭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 aama-dii-nə urə re. 2SG mother-COM.OBJ-3SG.POSS invite come 네가 그의 어머니도 함께 모셔 온다. }}} #### 2) 재귀소유 - 재귀사의 소유에는 인칭과 수의 구분이 없고 문법 요소 ‘-aa, -naa’로 표기된다. - ‘-aa’는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 뒤에 연결되고 ‘-naa’는 나머지 환경에 사용된다. - 재귀소유는 격 뒤에 결합되지만 주격은 재귀소유가 없다. - 속격·대격이 재귀소유 성분과 결합할 때 속격·대격을 나타내는 문법 요소를 생략해야 한다. ##### ① 명사(-속격·대격)-재귀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bu morə-naa jarən ii. 1SG horse-REFL.POSS look.for be 내가 내 자신의 말을 찾고 있다. }}} ##### ② 명사-처격·여격-재귀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tɕə morə-də-naa vesə taii-dʑə oɢo. 2SG horse-DAT-REFL.POSS grass put-CVB give 네가 네 자신의 말에게 풀을 준다. }}} ##### ③ 명사-탈격·비교격-재귀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te morə-sa-naa bauu-dʑə re-va. 3SG horse-ABL-REFL.POSS down-CVB come-PST 그가 자신의 말에서 내려왔다. }}} ##### ④ 명사-도구격·공동격-재귀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bu morə-la-naa dʑige raaldʑə-gun ii. 1SG horse-INS-REFL.POSS donkey change-IPFV be 내가 내 자신의 말로 당나귀를 바꾸겠다. }}} ##### ➄ 명사-목적어 공동격-재귀소유 {{{eg>tuuu1240 (zhaonasitu2009:193) morə daxxa-dii-naa fuguaa ɕə-dʑ(ə) a. horse foal-COM.OBJ-REFL.POSS die go-CVB be 말과 함께 망아지도 죽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