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_verb : 동사 (verb) - 몽구오르어의 동사는 태, 서법, 시제, 인칭, 상 등 여러 범주를 가질 수 있다. - 몽구오르어의 동사는 자동태, 피동태, 사동태, 상호태(衆動互動態) 등이 있다. - 몽구오르어의 동사에는 동사의 분사(形動詞), 부동사(副動詞) 등이 있다. - 동사의 분사(形動詞)는 완망상(完成體), 진행상, 비완망상(未完成體) 등 상 범주가 있다. - 부동사에는 합병(倂合體) 부동사, 순서(順序體) 부동사, 반복(反復體) 부동사, 지속(持續體) 부동사, 계기-즉시(緊隨體) 부동사, 접속(接續體) 부동사, 질속(迭續) 부동사, 가정(假定) 부동사, 양보(讓步) 부동사, 목적(目的) 부동사 등이 있다. ### 부동사(副動詞) #### 1) 합병(倂合體) 부동사 - 합병 부동사는 문법 요소 ‘-dʑə’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2) tɕə oro-dʑə re. 2SG enter-CVB come 네가 들어와라. }}} #### 2) 순서(順序體) 부동사 - 순서 부동사는 문법 요소 ‘-aa~-aauu(혹은 –aanə), -ee~-eenu(혹은 –eenə), -oo~-oonu(혹은 –oonə)’와 ‘-vaa~-vaanu(혹은 –vaanə)’ 등으로 나타난다. - ‘-aa~-aauu(혹은 –aanə), -ee~-eenu(혹은 –eenə), -oo~-oonu(혹은 –oonə)’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결합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2) tɕə aama-də-naa kəl(e)-ee re. 2SG mother-DAT-REFL.POSS tell-CVB come 너는 너의 어머니에게 얘기하고 나서 와라. }}} - ‘-vaa~-vaanu(혹은 –vaanə)’는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결합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2) bu ntəraa-vaa ɕə-ja. 1SG sleep-CVB go-HORT 나는 자고 (일어나서) 가겠다. }}} #### 3) 반복(反復體) 부동사 - 반복 부동사는 문법 요소 ‘-n’로 나타나며 ‘동사어간-n’의 중첩형식으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2) te ɕinee-n ɕinee-n udʑen a. 3SG laugh-CVB laugh-CVB look be 그가 웃기도 하고 보기도 한다. }}} #### 4) 지속(持續體) 부동사 - 지속 부동사는 문법 요소 ‘-saŋɕulo’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2) aadʑa da diuu ɢuailo-naa ɢranaa dur(ə)-saŋɕulo ku-də-naa or(o)oo re-va. older.brother with younger.brother two-REFL.POSS hand hold-CVB home-LOC-REFL.POSS enter come-PST 형제 둘이 손에 손을 잡은 채 저네 집에 들어갔다. }}} #### 5) 계기-즉시(緊隨體) 부동사 - 계기-즉시(緊隨) 부동사는 문법 요소 ‘-gu’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2) nara ɢar(ə)-gu gaiiɕaŋ ɕə-ja. sun come.out-CVB street go-HORT 해가 뜨자마자 거리에 가겠다. }}} #### 6) 접속(接續體) 부동사 - 접속 부동사는 문법 요소 ‘-gulaa’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2) regen re-gulaa tɕə daɢaa jauu. 3SG come-CVB 2SG follow go 그가 온 후에 네가 따라가라. }}} #### 7) 질속(迭續) 부동사 - 질속 부동사는 문법 요소 ‘-dəlaa’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3) bu dzoŋnaa bal avu-dəlaa dzoŋnaa nəge nesə r(e)ee-nu ndaa nəge ʂdoɢ(o)oo ɕə-dʑ(ə) a. 1SG bee honey get-CVB bee one fly come-?? 1SG.ACC one sting go-CVB be 내가 벌꿀을 딸 때 벌 한 마리가 날아와서 나를 쐈다. }}} #### 8) 가정(假定) 부동사 - 가정 부동사는 문법 요소 ‘-sa’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3) ɢurdənxan jauu-sa kuiidʑə ʂdam quickly walk-CVB catch.up.with can 빨리 걸어가면 제시간에 댈 수 있다. }}} #### 9) 양보(讓步) 부동사 - 양보 부동사는 문법 요소 ‘-sada’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3) tɕə daaldə-sada bu lii avu-m. 2SG sell-CVB 1SG NEG buy-FUT 네가 팔아도 나는 안 살 것이다. }}} #### 10)목적(目的) 부동사 - 목적 부동사는 문법 요소 ‘-la’로 나타난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3) bu ʂdzu rgu-la ɕə-gun ii. 1SG water carry-CVB go-IPFV be 내가 물 길어간다. }}} ### 특별한 동사(特殊動詞) - 몽구오르어에는 일반 동사와 달리 특별한 동사들이 존재한다. - 이 중에는 존재·소유동사와 보조동사가 포함되어 있다. #### 존재·소유동사 - 존재·소유동사로는 ‘ii, a, va, vaii’ 등이 있다. - 이 중에서 ‘ii, vaii’는 형태적 변화가 있고 ‘a, va’는 아무 변화가 없다. - ‘vaii’는 주로 독립적으로 쓰이며 조사로 쓰이지 않는다. - ‘ii, a, va’는 독립적으로도 쓰이고 첨사(particle)로도 쓰인다. - 첨사(particle)로 쓰일 때 ‘이다’의 의미를 가진다. #### 존재·소유동사의 부정 - ‘guii, guaa’는 ‘존재하지 않다, 없다’의 의미로 쓰인다. - 우선, 이들이 독립적으로 쓰일 때 사람이나 사물이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 두 번째로 이들이 동사에 의존하여 쓰일 때는 동작이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 두 번째 용법은 주로 합병 부동사(-dʑə)와 반복 부동사(-n) 뒤에 쓰인다. {{{eg>tuuu1240 (zhaonasitu2009:204) bulaii naadə-n guaa, ku-də ntəraa-n a. child play-CVB be.NEG home-LOC sleep-CVB be 아이가 놀고 있지 않고 집에서 자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