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 몽구오르어의 파생어에는 어근 뒤에 문법 요소가 결합되는 형식, 즉 어근과 접미사의 결합 형식만 있다. - - 파생법에 의하여 명사, 동사, 형용사를 파생시킬 수 있다. - 보통 어근도 명사, 동사, 형용사에 속한다. - 다음은 명사의 파생, 동사의 파생, 형용사의 파생으로 나뉘어서 소개한다. ### (1) 명사의 파생 #### 1) 명사+문법 요소 ##### ① -tɕə(직업) - 명사 뒤에 결합되는 문법 요소 ‘-tɕə’는 어근이 지칭하는 사물에 해당되는 직업의 명칭을 가리킨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2) - təmur : 철 + -tɕə -> təmurtɕə : 대장장이 - rdaɢ : 사냥 + -tɕə -> rdaɢtɕə : 사냥꾼 - pauu : 총 + -tɕə -> pauutɕə : 사수 }}} ##### ② -bdʑə, -sar - 일부 명사 뒤에만 쓰인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2) - tɕigə : 귀 + -bdʑə -> tɕigəbdʑə : 귀마개 - xorə : 손가락 + -bdʑə -> xorəbdʑə : 장갑 - ama : 입 + -sar -> amasar : 뚜껑 }}} #### 2) 동사+문법 요소 - 명사를 파생시키는 데 동사 뒤에 붙는 문법 요소로는 ‘-dal, -l, -r, -də, -sə’ 등이 있다. - ‘-dal’가 가장 널리 쓰이는데 해당되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추상명사를 가리킨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2) - sana- : 생각하다 + -dal -> sanadal : 생각 - buraa- : 완료하다 + -dal -> buraadal : 결과 - barə- : 잡다 + -l -> barəl : 손잡이 - ɢadə- : 베다 + -r -> ɢadər : 낫 - ɕinee- : 웃다 + -də > ɕineedə : 농담 - nəmpu- : 뱉다 + -sə -> nəmpusə : 침 }}} #### 3) 형용사+문법 요소 - 명사를 파생시키는 데 형용사 뒤에 붙는 문법 요소로는 ‘-dʑin, -sə, -ŋgii’ 등이 있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2) - ʂge : 크다 + -dʑin -> ʂgedʑin : 정실 - mulaa : 작다 + -dʑin -> mulaadʑin : 첩 - ʂge : 크다 + -sə -> ʂgesə : 어른, 손윗사람 - mulaa : 작다 + -sə -> mulaasə : 어린이, 손아랫사람 - ʂge : 크다 + -ŋgii -> ʂgeŋgii : 대부분 - mulaa : 작다 + -ŋgii -> mulaaŋgii : 소부분 }}} ### (2) 동사의 파생 #### 1) 명사+문법 요소 - 동사를 파생시키는 데 명사 뒤에 결합되는 문법 요소로는 ‘-la/-le/-lo, -da/-de, -tɕile’ 등이 있다. - 이 세 가지 문법 요소가 모두 널리 쓰이며 어근이 지칭하는 사람이나 사물과 관련된 동작을 이루는 데에 쓰인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3) - sam : 빗 + -la -> samla- : 빗다 - teɕdʑə : 단추 + -le -> teɕdʑəle- : 단추를 채우다 - golgo : 새끼 + -lo -> golgolo- : 새끼를 낳다 - xalɕa : 손바닥 + -da -> xalɕada- : 손바닥으로 치다 - ɕiuuge : 송곳 + -de -> ɕiuugede- : 송곳으로 뚫다 - vardo : 잠꼬대기 + -tɕile -> vardotɕile- : 잠꼬대기하다 }}} #### 2) 동사+문법 요소 - 동사를 파생시키는 데 동사 뒤에 결합되는 문법 요소로는 ‘-ɢa/-gee’ 등이 있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3) - surə- : 배우다 + -ɢa -> sur(ə)ɢa- : 가르치다 - serə- : 깨다 + -gee -> ser(ə)gee- : 깨우다 }}} #### 3) 형용사+문법 요소 - 동사를 파생시키는 데 형용사 뒤에 결합되는 문법 요소로는 ‘-də, -raa/-ree/-roo, -la’ 등이 있다. - 이들이 어근이 가리키는 특정 동작으로 변하는 동작을 뜻한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3) - narən : 가늘다 + -də -> narəndə- : 가늘어지다 - xauudʑin : 낡다 + -raa -> xauudʑinraa- : 낡아지다 - kuiiden : 춥다 + -ree -> kuiidenree- : 추워지다 - noɢoon : 푸르다 + -roo -> noɢoonroo- : 푸르러지다 - ɕira : 노랗다 + -la -> ɕirala- : 노래지다 }}} ### (3) 형용사의 파생 #### 1) 동사+문법 요소 - 자주 쓰이는 문법 요소로는 ‘-ŋgii’가 있는데 이는 어근이 가리키는 동작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 형용사를 파생시킨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3) - ɕinee- : 웃다 + -ŋgii -> ɕineeŋgii : 잘 웃는 - baɢaldə- : 싸우다 + -ŋgii -> baɢaldəŋgii : 싸움을 잘하는 }}} #### 2) 일반명사+문법 요소 - 일반명사 뒤에 결합할 수 있는 문법 요소로는 ‘-tə, -də, -dii’가 있다. - 이들이 자유 교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어근이 가리키는 사물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 형용사를 파생시킨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4) - amun : 생명 + -tə -> amu(n)tə : 살아 있는 - kutɕə : 힘 + -də -> kutɕədə : 힘센 - seer : 돈 + -dii -> seerdii : 돈 있는 }}} #### 3) 시간,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문법 요소 - 뒤에 결합할 수 있는 문법 요소로는 ‘-gu’가 있다. - 이는 어근이 가리키는 방위, 시간을 특징으로 하는 관계 형용사를 파생시킨다. {{{lex>tuuu1240 (zhaonasitu2009:224) - ndəree : 여기 + -gu -> ndəreegu : 여기의 - niuudur : 오늘 + -gu -> niuudurgu : 오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