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_adv : 부사 (adverb) : 100% ### 부사 분류 -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 kai5(很), hən3(很), kon3(很), thaːi5(太), tswəi4(最), keŋ5(更) - 범위를 나타내는 부사 : tu1(都), piŋ3(都), lon2(都), ja6(也), taːn1(单), tok8(独一), tsi3(只) -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 hai5(才, 刚才), haːp7(刚刚), tseŋ5(正), kun5(先), tɔk7lən3(后), masjaːŋ6(马上) -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 : ŋ5(不), khɔːŋ1(不), jəu5(别), taŋ2(未曾) - 어기를 나타내는 부사 : naŋ1(还), jəu6(又), mən3(都) ### 부사 특성 - 일부 부사는 언어환경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기도 하다. 경우에 따라 가볍게 읽기도 하고, 중음으로 읽기도 하는데 이는 일정한 관련이 있다. ##### 아래의 예문의 ja6는 중음으로, 범위를 나타낸다.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6) mɔ6 ja6 si6 haːk7sɛːŋ 2SG also COP student 그 또한 학생입니다. }}} ##### 아래의 예문의 ja6는 경음으로, 완화 어기를 나타낸다.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6) ti6ca1 fɛ4tshjaːŋ5 ja6 khɔːŋ1 i1 oneself sing also NEG like 자기 혼자 노래하는 것은 좋지 않다. }}} - 부사는 일반적으로 구의 수식성분 혹은 문장의 부사어로 쓰인다.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는 형용사를 수식하거나 심리활동을 나타내는 동사를 수식하는 데 쓰인다. - 시간과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를 수식하는데 쓰인다. 일부 성질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형용사도 시간부사와 부정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부사는 일반적으로 중첩할 수 없는데, 경우에 따라 문장의 어기를 강조하고자 할 때 앞뒤에 두 개의 동의어 또는 유의어의 부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두 개의 동의어의 부사일 경우 둘 다 차용어일 수도 있고 하나는 차용어이고 다른 하나는 무라오어 고유어이다.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6) niu2 tjen1 paːi1 kun5 1PL first go first 우리가 먼저 간다. }}} - 일부 부사는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하는 작용외에 문장에서 연결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6) saːu1 paːi1 həi2 ja6 paːi1 2PL go 1SG also go 그들이 가면 나도 간다. }}} - 부사 tu1(都) 혹은 mən3(都)와 부정부사가 함께 동사의 앞에 위치할 때는 부정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종종 목적어는 술어의 앞쪽에 온다.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6) mɔ6 ljen6 hu3 tu5 ŋ5 tsaːn tu6 paːi1 ljeu6 3SG even meal all NEG eat rightaway go FP 그는 밥조차 안 먹고 바로 가버렸다. }}}